View : 746 Download: 0

과학교사모임 활동을 통한 교사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탐색

Title
과학교사모임 활동을 통한 교사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탐색
Other Titles
Identity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involved in teacher communities : based on the teory of "community of practices"
Authors
김효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현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dentity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involved in teacher communities.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Data was collected from the teacher candidates. The data was analysed through the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 and narratives of teachers. I learned that the experience in teacher communities encouraged the teacher candidates to see themselves as a science teacher, and to seen by others, as knowing more science subject matter and pedagogy, enacting practices of teaching, building a network in participating the communities of practice.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hat the participation of teacher communities influenced positively participations' science teacher identity.;본 연구의 목적은 Wenger의 실천공동체 이론을 기반으로 과학교사모임에서 활동하고 있는 과학교사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교사모임에서 중심적인 활동을 해온 6명의 과학교사들의 모임경험을 내러티브를 통해 이해하고, Wenger의 실천공동체 이론을 통해 이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사모임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6명의 과학교사들이 교사모임에 참여해온 경험을 살펴보고, 이들이 교사모임을 통해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 대해 탐색하는데 있다. 정체성이란 개인이 환경에의 경험을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구성되며, 정체성을 형성하는 주체의 지식과 감정, 주변의 문화들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그들의 오랜 경험과 삶의 이야기와 관련이 있다(Clandinin & Connelly, 2000).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참여 교사들의 살아있는 이야기, 즉 내러티브(narrative)에 관심을 갖고 접근하였다.본 연구는 6명의 교사와 2-3회에 걸친 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1회 면담 시 소요된 시간은 연구 참여자의 사정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짧게는 30분에서 1시간 30분 정도(평균 57분)가 소요되었다. 연구자는 6명의 연구 참여자 중 교사모임에서의 발달 과정이 가장 명확히 드러나는 4명의 교사를 선택하여 각각의 사례를 구성하였다. 각 사례는 Witz와 그의 동료들(Witz et al., 2001; Witz, 2007)이 제안한 본질주의적 방법에 기반한 초상화법(essentialist portraiture)을 따랐다. 사례를 제시한 후에는 모든 사례를 대상으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 부분에서 Wenger(1999, 2000)의 실천공동체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실천공동체에서 다루는 주요 개념들(공동체, 지식, 실천, 상호작용, 정체성 등)을 중심으로 이들이 경험한 내용들을 재해석 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임에의 참여 경험은 교사들에게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모임에서 실천을 공유함에 따라서 자신들에게 의미 있는 경험을 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모임을 통하여서 다양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학교의 울타리를 넘어서 교사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할 뿐 아니라 다양한 학습과 배움의 장을 만들었다. 이곳에의 참여는 교사들에게 학습의 의미를 생성하도록 하였다. 넷째, 교사들의 모임의 참여 경험은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교사들은 교사모임에의 소속감을 습득하고, 의미 있는 학습의 경험을 통해 교사정체성을 형성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