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1 Download: 0

무용동작창안과정의 이론적 모형개발연구

Title
무용동작창안과정의 이론적 모형개발연구
Other Titles
A Theoretical Model Development Study of the Creative Processes of Dance Movements
Authors
정순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기웅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reative processes that comes before the actual movement expression itself. The creative processes of dance movements means the thinking process that occurs in our mind during the development of new dance movements. To study these processes, a hypothesis was set up using deductive reasoning based on previous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general creative process, and in an attempt to prove this hypothesis inductively, 74 dance majors and 6 dance expert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8 open-ended questions: 1) question about the detailed list of dance movement creational process, 2) question about the first thing that comes into mind when devising a movement, 3) question about the reason for the movement selection, 4&5) questions about the existence of an imagery movement simulation 6) question about the necessity of creational process of dance movements, 7) question about the consistency of this thinking process, 8) question about the sequence of this process. An inductiv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data revealed that the creative process of dance movements could conclusively be categorized into not-necessarily-serial processes of theme recognition, idea searching, idea selection, idea composition, movement searching, movement selection, movement composition, imagery movement simulation, and reviewing and revision. By using a frequency analysis method, the answers were inductively categorized in contents similarity and notion orientation. They were assorted into 42 detailed categories and 26 regular categories. In question 2 thoughts of incidents and situations, theme searching, image searching, thoughts of movement patterns, thoughts of emotional and sensational experiences, and movement searching were answered as movement devising cue. Choreographers considered theme consistency, self-expression suitability, movement objectivity, physical suitability, artistic characteristic of the movement and movement creativity in question 3. In question 4&5, a majority of the dance improvisers responded that they first imagine a movement before an actual expression because of movement clarity, maximization of movement imagination, plot course composition, choreography efficiency, and movement objectivity. A min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expressed physically beforehand because of difficulty of the movement anticipation, usage of physical eloquence and importance of intuitive sensual expression. As for question 6, dancers thought it necessary due to movement significance maximization, necessity of thinking procedure, movement objectivity, creation efficiency, theme 'self-mization', and movement originality. In the 7th question, respondents inclined to practice the creative movement process consistently. Finally, in question 8, the frequency of both answers were similar. This was later confirmed by the analysis of question 1. According to these results, a large portion of the thinking process that happens when creating dance movements consists of the composition process of the actual movement itself. And by this, we could ascertain that the creative movement process should be considered separately with other general creative procedures, since it is expressed through the 'body'. By providing a more essential and basic data for movement creation and choreograph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retain its applicative value in developing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strategy in both the field of professional dance education for professional dancers and choreographers and in the field of general dance education that aims for creativity development.;본 연구는 무용에서 실제가 되는 무용동작의 발현에 있어서 그 근원이 되는 무용동작창안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무용동작창안과정이란 새로운 무용동작을 만들어내기까지 인간의 머릿속에서 진행되는 사고의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무용동작창안과정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창의적 과정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연역적 추론을 통해 가설을 설정하고 그것을 검증하기 위해 74명의 무용전공자와 6명의 무용전문가를 대상으로 자유롭게 응답할 수 있는 8문항의 개방형 설문과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경험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상위 연구문제에 해당하는 무용동작창안과정의 전체적 흐름에 대한 문항의 응답내용을 분석한 결과 무용동작창안과정은 최종적으로 주제인식 과정, idea탐색 과정, idea선택 과정, idea구성 과정, 동작탐색 과정, 동작선택 과정, 동작구성 과정, 동작발전 과정, 이미지화 과정, 검토 및 수정보완 과정의 단계로 범주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용동작창안과정과 관련해 보다 심층적인 탐색을 위해 이루어진 7개의 문항은 무용동작을 만드는데 가장 처음 무엇을 생각하는지 cue에 대한 질문, 무용동작창안의 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 무용동작창안의 과정이 항상 똑같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일관성에 관한 질문, 계열성을 갖는지에 대한 질문, 발현될 동작을 어떻게 선택하는지에 대한 질문, 발현될 동작을 상상하는 이미지화 과정의 유무에 대한 질문으로 이루어졌다. 각 문항에 응답한 자료를 유사한 내용과 의미중심으로 범주화하는 귀납적 방법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한 결과 총 42개의 세부영역, 26개의 일반영역으로 도출되었다. 무용동작을 만드는데 가장 처음 무엇을 생각하는지의 질문에 대해 주제에 대한 사건과 상황 회상, 주제 탐색, 이미지 탐색, 동작양식 회상, 감성적․감각적 체험 회상, 동작 탐색을 가장 먼저 생각하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발현될 동작을 어떻게 선택하는지에 대해서는 주제와의 적합성, 자아표현의 적합성, 동작의 객관성, 신체와의 적합성, 동작의 미적 특성, 동작의 독창성을 고려하여 선택한다는 응답이 도출되었다. 발현될 동작을 상상하는 이미지화 단계의 유무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먼저 상상하고 표현 한다 의 대답이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고 그 이유에 대해서는 동작의 명확성, 동작적 상상력의 극대화, 전체의 흐름 구성, 안무의 효율성, 동작의 객관화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먼저 몸으로 표현하는 것에 대해서는 움직임 가동성 예측의 어려움, 신체 유창 성 이용, 직관적 감각 표현중시의 이유로 응답이 범주화되었다. 무용동작을 만드는데 사고과정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동작의 의미표현 극대화, 사고과정의 필요성, 동작의 객관성, 창안의 효율성, 주제의 ‘나’화, 동작의 독창성 때문으로 나타났다. 무용동작창안과정이 항상 똑같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늘 그러한 과정을 거친다 의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내어 응답자 안에서의 무용동작창안과정이 일관성을 가지는 경향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무용동작창안과정의 계열성의 유무에 대해서는 비등한 빈도를 나타내는 바 무용동작창안의 전체적 과정을 서술하는 문항의 분석을 통하여 각 과정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 확인되어 질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살펴볼 때 무용동작을 만드는데 진행되는 사고과정은 많은 부분이 발현의 실제인 ‘동작’에 대한 사고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무용동작창안과정은 발현의 매개가 ‘몸’이라는 점에 있어서 다른 창의적 과정과는 구별되어 고려 되어져야 한다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작과 안무의 보다 근원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전문적 무용교육에 있어서 무용수, 안무가 양성과 함께 일반 교육에 있어서도 창의성발달을 목표로 하는 무용창작 수업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의 전략을 개발하는 데 응용적 가치를 지닐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