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9 Download: 0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초등 과학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과학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초등 과학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과학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Inclusive Elementary Science Classes with Universal Design on the Science Achievement of Students
Authors
조선화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희
Abstrac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enhances learning of all students with different backgrounds, learning styles,abilities, and disabilities. Many educators are becoming aware of UDL and believe that it holds promise for improving achievement. Much of the literature on UDL has focused on basic descriptions and principles of UDL, bu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impact of UDL planning and instructional methods that tailor materials and assessments to meet the demands of al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UDL on elementary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s according to achievement level. For this purpose, 99 inclusive classroom students including fou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consisted of 49 students and two control groups consisted of 50 students; each group consisted of one student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Both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science achievement leve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taught science using UDL for 11 sessions, while the control groups received normal instruction.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test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achie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s regardless of learners' academic performance level. Second, one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s had same scores i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he other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s had increased 15 points in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One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control groups had increased 10 points in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The other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control groups had increased 10 points in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In conclusion, UDL may result in improved student academic performance regardless of learners' academic performance leve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a high quality education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both non-disabled and disabled students in a way to present how to implement UDL in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nvironment. In addtion, this study verified that UDL is effective for diverse learners by examining th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s according to different academic performance levels.;학습자가 지닌 개별적 특성들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했던 기존의 교육체계에서 많은 학생들이 좌절하고 결과적으로 낮은 성취 수준을 보였다. 이런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최근에는 비장애학생, 장애학생 모두의 교육적 성취 향상에 대한 책무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다양한 능력을 지닌 학습자들이 교육과정에 쉽게 접근하여 성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보편적 학습 설계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보편적 학습 설계와 관련된 연구들은 개념과 원리의 도입 및 실행 전략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보편적 학습 설계를 실제 학습 상황에서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선행 연구들은 통합수업에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하는 구체적인 교수법 및 실행 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합학급 교사가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으로 이루어진 학급을 대상으로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과학수업을 실시하였을 때 이들의 과학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통합학급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누어 학습성취도의 향상을 살펴봄으로써 보편적 학습 설계가 다양한 능력을 지닌 학생들에게 모두 유효한지 알아보았다. 추가로 장애학생의 학습성취도 변화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지역에 위치한 E 초등학교 3학년 4학급의 학생들이다. 실험집단 2개 학급에 49명, 통제집단 2개 학급에 50명으로 총 99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학급별로 장애학생은 1명씩 통합되어 있다. 이 학생들을 학교수준의 1학기 학업성취도평가 과학점수를 기준으로 ‘상’, ‘중’, ‘하’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의 통합학급 교사 2인은 중재자이며, 특수교사 1인은 연구자인 동시에 중재자로 이들은 중재 전반에 걸쳐 협력하였다. 중재 후에 과학 학습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사용된 검사지는 연구자가 제작하여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고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과학 학습성취도 검사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상’, ‘중’, ‘하’ 수준별로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장애학생의 과학 학습성취도 점수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초등 과학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통합학급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과학 학습성취도에서 ‘상’, ‘중’, ‘하’의 모든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상’ t=2.70, p<.05; ‘중’ t=6.35, p<.001; ‘하’ t=2.16, p<.05). 둘째,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초등 과학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장애학생 A는 사전 과학 학습성취도 검사와 사후 과학 학습성취도 검사에서 동일한 점수를 받았다. 또 다른 실험집단의 장애학생 B는 사전 과학 학습성취도 검사에 비해 사후 과학 학습성취도 검사에서는 15점이 향상되었다. 통제집단의 장애학생 C는 사전 과학 학습성취도 검사에 비해 사후 과학 학습성취도 검사에서 10점이 향상되었으며, 또 다른 통제집단의 장애학생 D는 사전 과학 학습성취도 검사에 비해 사후 과학 학습성취도 검사에서는 10점이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보편적 학습 설계가 학업성취수준에 상관없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과학 학습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 교육 현장에서 보편적 학습 설계를 과학과에 적용하는 구체적 실행 방법을 제시하여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가 공동의 협력적 노력을 통해 질 높은 교육을 시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효과에 대해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나눈 집단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편적 학습 설계가 다양한 능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유효한 것임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