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명희-
dc.contributor.author조미현-
dc.creator조미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7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48-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사와 학교의 역할도 끊임없이 변화ㆍ발전하고 있다. 지식의 생멸주기가 빨라지면서 지식 전달자 보다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형성해나가도록 돕는 지원자이자 촉진자로서 교사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교사의 다양한 역할에 대한 요구는 그 어느 때보다 거세게 일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의 역할들은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 향상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은 궁극적으로 학생과 국가를 위한 것으로 개별 교사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되어야 할 문제이다. 2010년 현재, 교사를 위한 연수는 국가와 민간 차원에서 풍부하게 지원되고 있으며 교사들의 접근도 용이한 편이다.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어 인터넷 환경 변화가 급격히 일어나면서 교원 연수를 원격으로 수강하는 교원 원격교육연수 수강인원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교원 원격교육연수는 기존의 집합연수와 달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할 수 있으며 간단한 온라인 과제와 평가만으로 연수를 수료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직 경력이나 연령과 무관하게 교원들 사이에서 폭넓게 선호되고 있다. 원격교육연수의 저변이 넓어지는 만큼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 승진을 위한 연수점수를 비교적 쉽게 획득할 수 있고 중복적인 수강이 쉽다는 점에서 원격교육연수의 수강이 남용되고 있다. 또한 승진에 관심이 없는 교사와 초임 교사의 경우에는 연수 점수를 채우기 위해 억지로 학습을 하는 수동적 참여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렇듯 교원 원격교육연수가 가지는 문제점이 부각되는 가운데 교사를 대상으로 한 원격교육연수의 교육적 효과나 교사가 가지고 있는 학습자로서의 요인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들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원격교육연수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사이버대학이나 일반대학에 집중되어 있는 경향을 보이는데 교원과 대학생들은 학습 환경, 개별적 특성 면에서도 많은 차이가 있어 기존의 연구들을 교원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교원은 교과지도, 학생지도, 행정업무, 보직업무, 승진준비 등으로 학습에 전념하기 어려운 환경적 부담을 가지고 있으며 교직 경력, 담당 교과, 원격교육연수 경험, 근무지, 학교급, 정보화 능력, 연수 참여동기 등 원격교육연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가지 변인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황재연, 최명숙, 2006). 본 논문에서는 교사가 가지고 있는 학습자로서의 변인 중 교사 경력, ICT 활용능력, 과제가치가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원 원격교육연수에서 학습자 변인인 교사 경력, ICT 활용능력, 과제가치와 학습성과인 학습 만족도, 학업 성취도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가? 2. 교원 원격교육연수에서 학습자 변인인 교사 경력, ICT 활용능력, 과제가치는 학습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3. 교원 원격교육연수에서 학습자 변인인 교사 경력, ICT 활용능력, 과제가치는 학업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본 연구는 2010년도 T 원격교육연수원에서 '엑셀파워포인트' 60시간 직무연수를 수강한 54명의 교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교사 경력, ICT 활용능력, 과제가치와 학습 만족도, 학업 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 경력, ICT 활용능력, 과제가치 중 학습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를 예측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최적의 회귀방정식을 구하기 위하여 회귀모형에 포함될 변수를 선택하는 방법 중 단계선택법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적으로 유효하지는 않았으나 교사 경력은 다른 모든 변인들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경력이 높을수록 ICT 활용능력과 과제가치, 학습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는 낮아진다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상관계수가 크지 않아 경력에 따른 상관이 높지 않다는 것을 나타냈다. ICT 활용능력의 하위 변인들은 다른 ICT 활용능력 하위 변인들과 높은 상관을 나타냈으며 특히 정보수집의 경우 다른 ICT 활용능력 하위 변인들에 비해 학습 만족도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보수집은 웹에서 정보의 위치를 파악하고 접근, 열람하며 정보를 수집, 평가하고 저장, 관리하는 능력에 대한 측정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웹에서 정보를 탐색하고 관리하는 능력이 원격교원연수 학습 시 학습 만족도와 직결되는 주요 ICT 활용능력일 수 있음을 뜻한다. 과제가치의 모든 하위 변인들은 각 변인들간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학습성과 중 학습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내재적 가치의 경우 학습 만족도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얻어지는 보상 여부를 떠나 학습 내용 자체가 학습자에게 얼마나 흥미롭게 느껴지는지의 정도에 따라 학습 만족도가 크게 좌우될 수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둘째, 교사 경력, ICT 활용능력, 과제가치가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학습 만족도 변화량의 약 73.2%(수정결정계수에 의하면 72.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과제가치를 제외한 나머지 변인은 학습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교사 경력과 ICT 활용능력, 과제가치 하위 변인의 학습 만족도에 대한 예측모형의 유의성을 살펴보면 학습 만족도 변화량의 약 76.2%(수정결정계수에 의하면 75.3%)를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입력된 독립변인들 중 내재적 가치(β = .689, p<.05)와 성취가치(β = .225, p<.05)를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은 학습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과제가치 중 내재적 가치와 성취가치가 높았을 때 학습 만족도 역시 높아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과제가치가 학습 만족도를 예측한다는 것은 많은 선행 연구에 나타나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과제가치의 하위 변인 중 과제 자체의 흥미에 관한 내재적 가치와 학습자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성취가치가 학습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교사 경력, ICT 활용능력, 과제가치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입력된 모형은 학업 성취도 변화량의 약 45.4%(수정결정계수에 의하면 43.3%)를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인 중 교사 경력은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ICT 활용능력과 과제가치에 따라 학업 성취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교사 경력, ICT 활용능력, 과제가치의 하위 변인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제가치 하위 변인 중 내재적 가치(β = .504, p<.05)와 ICT 활용능력 중 정보 분석ㆍ가공(β = .295, p<.05)은 학업 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내재적 가치와 정보 분석ㆍ가공, 두 개의 독립변수로 학업 성취도를 예측하는 모형은 학업 성취도 변화량의 약 47.2%(수정결정계수에 의하면 45.1%)를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과제가치 중 내재적 가치와 ICT 활용능력 중 정보 분석ㆍ가공 능력이 높아짐에 따라 학업 성취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예측하는 것이다. 정보 분석ㆍ가공이 학업 성취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 이유는 학업 성취도 측정 도구가 정보 분석ㆍ가공 능력과 관계된 내용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과제가치의 하위 변인 중 내재적 가치는 학습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 모두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얻어지는 효용이나 자기 발전을 위한 목적을 떠나 학습자가 느끼는 과제 자체의 매력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과 이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T 원격교육연수원에서 연수 수강 중인 교원 54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수집된 데이터가 독립변인의 20배수를 충족해야 한다는(성태제, 2010) 중다회귀분석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결과는 일반화하기 어렵다. 또한, 교사 집단이 30~40대에 편중되어 20대의 초경력 교사와 50대 이상의 고경력 교사에 대한 연구 데이터가 미흡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참여자 집단의 연령대를 다양하게 하고, 집단을 크게 구성하여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아니었지만 ICT 활용능력의 다른 하위 변인들 중 정보수집에서 학습 만족도와의 가장 높은 상관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가 교원 원격교육연수를 수강하기 위해 필요한 ICT 활용능력이 정보수집 능력이기 때문이라는 판단은 본 논문에서 내리기 어렵다. 후속 연구를 통해 교원 원격교육연수를 수강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ICT 활용능력을 규명하고 특정의 ICT 활용능력이 교원 원격교육연수의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self-report) 설문지를 통한 응답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변인 간의 관계를 추정하였다. 자기보고식 설문지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며 다양한 관점에서 개인차 정도를 추론하고 설명하기 위한 자료이지만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설문 결과에 의존한 결과가 갖는 근본적 한계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검사 방법을 통해 본 연구 결과를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ow teachers from certain factors impact on learning outcom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Q1. What is the meaningful relations between learner's factors (teacher's career, ICT utilization ability, task value) and learning outcomes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Teacher Training. Q2. Do learner's factors (teacher's career, ICT utilization ability, task value) predict meaningfully learning satisfaction? Q3. Do learner's factors (teacher's career, ICT utilization ability, task value) predict meaningfully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was conducted on 54 teachers participating '2010 EXCEL, POWERPOINT 60 hours Service training' in T Online Teacher Training Center. This course completely consist of online-class, has fulfilled online-test, homework, examine during training.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1.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eacher's career, ICT utilization ability, task value, learning outcomes. Although statistical figures appear to be invalid, teacher's career h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other factors. In other word, t ICT utilization ability and task value,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s getting lower when teacher's career is getting high and higher. Unlike other factors, however, it seems that information analysis and treatment of the ICT utilization ability(r=-.049, p<0.5) and learning outcomes of academic achievement(r=-.055, p<0.5), attainment value as a task value's low rank factor(r=-.038, p<0.5), utility value(r=-.047, p<0.5),intrinsic value(r=-.040, p<0.5) have low correlation. Also, they have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not exceeding -.10. By overlapping some of item - information analysis and process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t is seen that ones and teacher's career have a lower coefficient of correlation. As the item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course prepares a document, it could agree on the item of information analysis and processing - whether word process, spreadsheet, presentation are possible or not. According to So Hee Kim(2006), a task value is getting higher when teacher's career increases more. But this study is seen conflicting results by representing negative correlation. That the low rank factors of a task value and career have lower level negative correlation means less level of decline of a task value than getting higher career level. Although ICT utilization ability and teacher's career seem to have negative correl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doesn't represent remarkably. In other words, the study to follow next - "ICT utilization ability gets higher when teacher's work experience gets lower." written by Yun Mi Park (2006) is agreement. but it doesn't prove in the statistics, too. The rank factors of an ICT utilization ability are high-correlation other factors. Especially, an information collecting skills of an ICT utilization ability has high-correlation of learning satisfaction(r=.507, p<0.5) than other factors. The low rank factors of ICT utilization ability represents high- correlation. Especially, information skills of ICT utilization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get high- correlation than other factors.(r=.507, p<0.5) Item of information collect consists of approaching and grasping location of information, reading and collecting one, evaluating and preserving one, finally, measuring of management skill in web site. Expl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in web could be the most directly ICT utilization ability with learning satisfaction. A low rank factors of a task value shows high-correlation between factors, besides learning satisfaction of learning outcomes is closely linked. Particularly, intrinsic value is directly connected learning satisfaction. Regardless of getting a reward to fulfilling homework, it could depend upon that learner is interested in homework itself or how do learners feel about the project. 2. The effect of learner's factors (teacher's career, ICT utilization ability, task value) on 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which the effect of learner's factors (teacher's career, the level of ICT skills, task value), explanation of change for attainment value and intrinsic value's was occupied about 76.2% (by adjusting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75.3%). It turns out that learning satisfaction could be higher when attainment value and intrinsic value of task value is acquired high point. It is able to confirm intrinsic value deriving from a project itself and attainment value from learner's potential predict substantially learning satisfaction. Also these things have been checked through a precedent studies. 3. The effect of learner's factors (teacher's career, ICT utilization ability, task value) on academic achievement Here are effects of learner's factors (teacher's career, ICT utilization ability, task value) on academic achievement. An intrinsic value of a task value(β = .504, p < .05) and information analysis and treatment(β = .295, p < .05) predict substantially academic achievement. A role predicted intrinsic value and attainment value as independent variable was occupied about 47.2% of an explanation for an academic achievement change (by adjusting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45.1%) It turns out an academic achievement could be getting higher if intrinsic value and information analysis ability and treatment skill of ICT utilization ability is getting higher.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resulting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was conducted for 54 teachers participating service training in T Online Teacher Training Center. A condition, "collected data should occupy 20 times independent variable(Tae Jae Sung, 2007)", is not satisfied, it is hard to generalize this study. Also participants concentrating from thirties to forties, the results of research work has insufficient research from twenties to forties. For a next study, researcher need to confirm the theory expanding age group of participants and size of compositions. Second, Although it doesn't suggest statistical data, an correlation of intrinsic value and information analysis ability of ICT utilization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discovered meaningful data. But it doesn't prove that ICT utilization ability is collecting information skills to participate teacher's remote education program. For a next study, researcher need to investigate a range of ICT utilization ability, how teachers get practical use ability. Third, By analyz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researcher assumes correlation between factors. A self-report questionnaire method is widely used nowadays. It is used to explain and infer personal gap in variety angles. But it depends on researcher's subjective judgment. Therefore, there is fundamental limitation for the result depend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method. For a next study, researcher need to reconfirm the study through the various a inspection meth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9 A. 교원 원격교육연수 9 1. 교원연수 9 2. 교원 원격교육연수 14 B. 교사 경력 19 C. ICT 활용능력 22 1. ICT 활용능력의 개념 22 2. 교원 ICT 활용능력 기준(ICT SkillStandardforTeacher:ISST) 24 D. 과제가치 28 1. 과제가치의 개념 28 2. 학습동기 요인으로써의 과제가치 30 E. 학습성과 32 1. 학습 만족도 32 2. 학업 성취도 32 F. 관련선행연구 33 1. 교사 경력과 학습성과에 대한 선행연구 33 2. ICT 활용능력과 학습성과에 대한 선행연구 34 3. 과제가치와 학습성과에 대한 선행연구 35 Ⅲ. 연구 방법 38 A. 연구 대상 38 B. 연구 도구 39 1. 교사 경력 39 2. ICT 활용능력 39 3. 과제가치 41 4. 학습 만족도 41 5. 학업 성취도 42 C. 연구 절차 42 D. 자료 분석 43 Ⅳ. 연구 결과 45 A. 기술통계 45 B. 상관분석 46 C. 회귀분석 49 1. 교사 경력, ICT 활용능력, 과제가치에 따른 학습 만족도 분석 49 2. 교사 경력, ICT 활용능력, 과제가치에 따른 학업 성취도 분석 53 Ⅴ. 결론 및 제언 57 A. 결론 및 논의 57 B. 제한점 및 제언 61 참고문헌 63 부록. 교사 경력, ICT 활용능력, 과제가치, 만족도 설문지 67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71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원 원격교육연수에서 교사 경력, ICT 활용능력, 과제가치와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earch relations learner's factors(work experience as a teacher, ICT utilization ability, task value) and learning outcomes in Online Teacher Training-
dc.creator.othernameCho, Mee Hyun-
dc.format.page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