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6 Download: 0

한국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변화에 대한 연구

Title
한국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변화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Educational Goal and Change of Junior College Students in Korea
Authors
유영미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욱환
Abstract
In spite of considerable numbers of junior colleges, they have been neglected as they are in Korean education system, by being interested in only universities. Junior colleges, however, should receive attention, because they count for 40%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and change under the junior college's educational policy in Korea. To achieve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es in this paper are set up: Firs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junior college students' aspirational educational goal and change appear. Second, according to the variables, it examines how different from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and change. Finally, it examines the variables that affect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and change. Therefore, the goal of this thesis states 6 different researches. First, how does it change junior college students' time-periodic educational goal? Second, how different is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according to the variables? Third, what are the variables in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Forth, what is the aspect of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change? Fifth, how different are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change according to the variables? Finally, what are the variables in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change? To solve the goal of this research, this thesis tries survey with interpretation. Survey with interpretation produced questionnaire as research tools in order to examine 6 different researches such as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and change, the differences between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and change according to the variables and also the variables in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and chang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questionnaire were set up individual background of the students, academic background, academic awareness and academic life. Dependent variables were set up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and change. For survey with interpretation, research objects were sampled 2,057 surveys of junior college students in 29 junior colleges in Korea. On the basis of returned questionnaires, this study was examined by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x²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according to the subjects. The summary of this thesis will be following 6 statements. First,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is generally stronger to graduate from college both when their entrance into college and while in college now.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to the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according to the variables but there are also lots of variables which cannot be found any differences. Third, if looking at the variables affect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there are 4 variables in individual background; mother’s educational level, parents’ education expectation level, parents’ education support and path plan in high school. There are 4 variables in academic background; majors, departments, grades and different entrance examination. There are 5 variables in academic awareness; facilities of school libraries, degree of guidance with faculty adviser, relationship with college counselor, the college admissions process and satisfaction in college. There are 3 variables in academic life; use of school library, consultation with professor and average credits. Forth, change aspects of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are as followings. Educational goal stayers for graduation from college are 999 students(48.5%), educational goal stayers for entrance into university 314 students(15.3%), educational goal coolers for graduation from college 394 students(19.2%) and educational goal warmers for entrance into university 350 students(17.0%). Fifth, there are differences to the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and change according to the variables but there are also lots of variables which cannot be found any differences. Sixth, if looking at the variables affect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and change, there are 3 variables in individual background; parents’ education expectation level,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path plan in high school. There are 5 variables in academic background; different entrance examination, grades, departments, majors and term of classes. There are 2 variables in academic awareness; satisfaction in entrance college and facilities of school libraries. There are 2 variables in academic life; average credits and a leave of absence from school.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education policy of junior college is consistent policy of vocational education. The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is stronger to graduate from college with 67.7% than to enter 4 year college(university) with 32.3%. The vocational education of junior colleges generally agrees with graduation from college which is the aspirational goal of junior college students.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and change counts educational goal stayers for graduation from college(48.5%), educational goal coolers for graduation from college(19.2%), educational goal warmers for entrance into university(17.0%) and educational goal stayers for entrance into university(15.3%).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42% of junior colleges in Korean high education system and 40% of junior college students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examine the education policy of junior college and the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and change in order to analysis the education policy of junior college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The relationship of junior college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are the organization and members in basic. Moreover, junior colleges as education providers should reflect junior college students’ need through products of education, and junior colleges students as education consumers should reflect junior college’ policies through products of education. If seen in that sense, the variables affect the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goal and change in this study were set up with individual background of the students, academic background, academic awareness and academic life that give lots of information to understand junior college students’ academic life. Especially, among academic backgrounds, junior college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 such as colleges' whereabouts, scale, selected outstanding college or not, central body of college establishment, type and establishment of service which are the variables unrelated to junior colleges' education goal and change. According to the preceding research,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and goal turned out that they are related to colleges' where abouts in capital area or non-capital area, the scale of college, national college or private, specialized college, and the period of establish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however, academic backgrounds in case of Korean college students are not related to their education goal at all. Especially, whether it is selected outstanding college in education capacity or not does not give any influences at all. On the other hand, among academic backgrounds, departments and majors characteristic itself such as affiliated major, type of department and the years required for class give considerable influences to junior college students' education goal. In other words,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junior college students chose their department for the future job or profitable major to transfer to a university rather than junior college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 itself when they enter into a junior college. That is to say, it can be assumed junior college students choose their 'department' with consideration to affiliated major, type of department and the years required for class, not simply 'school' as college itself. This result of research has great implications from each junior college of view. Therefore junior colleges as providers should reflect junior colleges' education policy through junior college students’ department awareness and need. According to various research result, the outcome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in improvement of junior college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preliminary data for support their career plan of junior college students. Finally, the reconsideration through this study should be more than positive results that the vocational education of junior college’s advocate policy generally agrees with graduation from college which is the aspirational goal of junior college students. Korean junior college’s advocate educational goal is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he aspirational goal of junior college students is to graduate from colleg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re are also educational goal coolers from entering into a university just to graduate from college and even it is minority, one third of junior college students want to transfer to a university. As mentioned in theoretical background, therefore, the review of junior college’s advocate educational goal should be considered with democratic policies, diversi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nsfer education. And also it should be added collegiate function of junior colleges as well as non-collegiate function as the standard of the review.;이 연구는, 한국의 전문대학이 전반적으로 직업교육을 지향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와 그 변화를 주제로 삼았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다루어진다. 먼저 한국의 전문대학생이 열망하는 교육목표 및 변화는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및 변화는 관련된 변인들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및 변화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내용은 다음의 여섯 가지 연구문제들로 구체화된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시기별 교육목표는 무엇인가? 둘째,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는 변인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셋째,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은 무엇인가? 넷째,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다섯째,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변화는 변인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여섯째,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변화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은 무엇인가? 이 논문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고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질문지를 사용한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도구인 질문지의 독립변인으로 전문대학생의 개인 배경 변인, 학교 배경 변인, 학교 인식 변인, 학교 생활 변인 등을 설정하였고, 종속변인으로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및 변화를 설정하였다. 질문지 조사는 전국 29개 전문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2,057명의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이들로부터 회수된 질문지 응답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교차분석, x²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 판별분석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논문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의 여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한국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는 전문대학 ‘입학 당시’와 ‘재학 현재’ 두 시기 모두 4년제 대학 진학 보다는 전문대학 졸업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전문대학생의 입학 당시 교육목표 양상을 보면, 전문대학 졸업을 목표로 하는 학생은 1,349명(65.6%), 4년제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은 708명(34.4%)을 차지하였다. 또한 전문대학생의 재학 현재 교육목표 양상을 보면, 전문대학 졸업을 목표로 하는 학생은 1,393명(67.7%), 4년제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은 664명(32.3%)을 차지하였다. 둘째, 변인에 따라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면, 먼저 개인 배경 변인 가운데 연령, 부모의 교육수준, 가정의 월평균 수입, 부모의 교육기대 수준, 출신 고등학교 계열, 고교시절 진로 계획 변인에서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 부모의 직업, 부모의 교육지원 정도, 고교 내신 성적 변인에서는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구체적으로 전문대학생의 연령이 낮을수록,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가정의 월평균 수입이 적을수록, 부모의 교육 기대 수준이 낮을수록, 출신 고등학교 계열이 전문 계 고등학교일수록, 고등학교 재학시절 진로계획이 대학 비 진학 계획과 전문대학 진학 계획일수록 전문대학생은 전문대학 졸업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문대학생의 연령이 높을수록,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정의 월평균 수입이 많을수록, 부모의 교육 기대 수준이 높을수록, 출신 고등학교 계열이 일반계 고등학교일수록, 고등학교 재학시절 진로계획이 4년제 대학 진학 계획일수록 전문대학생은 4년제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 배경 변인 가운데 학과의 수업 연한, 학과 유형, 학년, 입학 전형 방법 변인에서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교 소재, 학교 규모, 교육역량 우수대학, 학교 설립 주체, 학교 유형, 학교 설립 연한, 학과의 전공 계열 변인에서는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구체적으로 학과의 수업연한이 2년제일수록, 학과 유형이 전문대학 특성학과일수록, 학년이 낮을수록, 수시 전형 모집으로 입학할수록 전문대학생은 전문대학 졸업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반면, 학과의 수업연한이 3년제일수록, 학과 유형이 4년제 대학 유사학과일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정시 전형 모집으로 입학할수록 전문대학생은 4년제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 인식 변인 가운데 취업 프로그램 제공 정도, 편입학 프로그램 제공 정도, 학교도서관 시설 인식, 수업의 교육목적 적합성 인식, 학과 지도교수의 면담 정도, 입학 과정 인식, 학교 만족도, 전공 적성도 변인에서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교등록금 인식, 수업의 교육적 자극 인식, 학과 지도교수와의 관계 인식, 학과 지도교수와의 상담 절차 인식, 교과목 담당 교수와의 상담 절차 인식, 전공 만족도 변인에서는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구체적으로 전문대학생의 학교 인식에서 취업 프로그램과 편입학 프로그램을 제공한다고 인식할수록, 학교도서관 시설이 우수하다고 인식할수록, 수업이 교육목적에 적합하다고 인식할수록, 학과 지도교수가 면담을 하는 편이라고 인식할수록, 입학 과정에 쉬운 편이라고 인식할수록, 입학한 학교에 만족할수록, 전공이 적성에 맞을수록 전문대학생은 전문대학 졸업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 프로그램과 편입학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인식할수록, 학교도서관 시설이 우수하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수업이 교육목적에 적합하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학과 지도교수가 면담을 하지 않는 편이라고 인식할수록, 입학 과정에 어려운 편이라고 인식할수록, 입학한 학교에 만족하지 않을수록, 전공이 적성에 맞지 않을수록 전문대학생은 4년제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 생활 변인 가운데 학교도서관 이용 정도, 교과목 담당 교수와의 학업 상담 정도, 평균 학점 변인에서는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아리 활동 여부, 교내 진로 프로그램 참석 정도, 학과 행사 참여 정도, 학교 동문 의미 부여 정도, 학과 지도교수와의 진로 상담 정도, 휴학 여부 변인에서는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구체적으로 전문대학생의 학교 생활에서 학교도서관을 이용하지 않을수록, 교과목 담당교수와 학업상담을 하지 않을수록, 평균 학점이 낮을수록 전문대학생은 전문대학 졸업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반면 학교도서관을 자주 이용할수록, 교과목 담당교수와 학업상담을 할수록, 평균 학점이 높을수록 전문대학생은 4년제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살펴보면, 먼저 개인 배경 변인에서는 어머니의 교육수준, 부모의 교육기대 수준, 부모의 교육 지원, 고교시절 진로계획 등 4가지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 배경 변인에서는 학과의 전공 계열, 학과 유형, 학년, 입학 전형 방법 등 3가지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 인식 변인에서는 학교도서관 시설 인식, 학과 지도교수와의 면담 정도, 학과 지도교수와의 관계 인식, 입학 과정 정도 인식, 입학 학교 만족도 인식 등 5가지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 생활 변인에서는 학교도서관 이용 정도, 교과목 담당 교수와의 학업 상담 정도, 평균 학점 등 3가지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변화 양상은 ‘전문대학 졸업의 교육목표 유지형’ 학생이 999명(48.5%), ‘4년제 대학 진학의 교육목표 유지형’ 학생이 314명(15.3%), ‘전문대학 졸업으로의 교육목표 하강 형’ 학생이 394명(19.2%), ‘4년제 대학 진학으로의 교육목표 상승 형’ 학생이 350명(17.0%)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변인에 따라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변화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면, 먼저 개인 배경 변인 가운데 성별, 연령, 부모의 교육수준, 가정의 월평균 수입, 부모의 교육기대 수준, 부모의 교육지원 정도, 출신 고등학교의 계열, 고교시절 진로계획 변인에서는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고교 내신성적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음으로 학교 배경 변인 가운데 학교 소재, 학교 규모, 학과의 전공계열, 학과의 수업 연한, 학과의 유형, 학년, 입학 전형 방법 변인에서는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교육역량 우수대학, 학교 설립 주체, 학교 유형, 학교 설립 연한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학교 인식 변인 가운데 취업 프로그램 제공 정도, 편입학 프로그램 제공 정도, 학교도서관 시설 인식, 수업의 교육목적 적합성 인식, 학교 만족도, 전공 적성도 변인에서는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학교등록금 인식, 수업의 교육적 자극 인식, 학과 지도교수의 면담 정도, 학과 지도교수와의 관계 인식, 학과 지도교수의 상담 절차 정도, 교과목 담당교수의 상담 절차 정도, 입학 과정 인식, 전공 만족도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학교 생활 변인 가운데 학교도서관 이용 정도, 교과목 담당교수와의 학업상담, 휴학 여부, 평균 학점 변인에서는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동아리 활동 여부, 교내 진로프로그램 참석 정도, 학과 행사 참여 정도, 학교동문 의미 부여 정도, 학과 지도교수와 진로상담 정도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변화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살펴보면, 먼저 개인 배경 변인에서는 부모의 교육기대 수준, 고교시절 진로계획, 어머니의 교육수준 등 3가지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 배경 변인에서는 입학 전형 방법, 학년, 학과의 유형, 학과의 전공 계열, 학과의 수업 연한 등 5가지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 인식 변인에서는 입학만족도, 학교도서관 시설 인식 등 2가지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 생활 변인에서는 평균 학점, 휴학 여부 등 2가지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한국 전문대학의 교육정책이 전반적으로 직업교육을 지향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전문대학생이 열망하는 교육목표는 전문대학 졸업 목표(67.7%)로 4년제 대학 진학 목표(32.3%)보다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대학이 지향하는 직업교육은 전문대학생이 열망하는 전문대학 졸업 목표와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변화는 전문대학 졸업의 교육목표 유지형(48.5%)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나머지는 전문대학 졸업으로의 교육목표 하강 형(19.2%), 4년제 대학 진학으로의 교육목표 상승 형(17.0%), 4년제 대학 진학의 교육목표 유지형(15.3%) 순으로 비슷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과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및 변화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설정된 개인 배경 변인, 학교 배경 변인, 학교 인식 변인, 학교 생활 변인 등은 전문대학생의 학교생활을 이해하는 데 많은 정보를 줄 것이다. 특히 학교 배경 변인 중 전문대학의 기관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학교 소재, 학교 규모, 교육역량 우수대학 선정 여부, 학교설립 주체, 학교 유형, 학교설립 연한 등은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및 변화와는 전혀 무관한 변인들이라는 점이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학교가 수도권 또는 비 수도권에 소재하는지, 학교 규모는 얼마나 되는지, 학교설립 주체가 국공립 또는 사립인지, 학교유형은 특성화 대학인지, 학교설립 연한은 얼마나 되었는지 등은 학생의 교육성취 및 교육목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 전문대학생의 경우에는 학교의 기관 배경이 그들의 교육목표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배경 변인 가운데 학과 및 전공 자체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학과의 전공 계열, 학과의 유형, 학과의 수업 연한 등이 오히려 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전문대학생은 전문대학에 입학할 때 학교 자체의 기관적 특성을 고려하여 학교를 선택하기 보다는 자신이 앞으로 종사하게 될 분야나 4년제 대학으로 진학 또는 편입에 유리한 전공을 고려한 학과 선택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의 전문대학생이 대학에 입학할 때 단순히 전문대학이라는 ‘학교’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전공 계열에 따른 전망, 전공의 특성, 전공의 수업 연한 등을 감안하여 ‘학과’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데 더 많은 심혈을 기울이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셋째, 선행연구에 의하면, 전문대학생 중에 적게는 2분의 1이, 많게는 4분의 3이 4년제 대학 진학을 원한다고 했는데, 한국의 경우는 오히려 3분의 2가 전문대학 졸업을 원하고 있었다. 이는 한국의 전문대학이 직업교육정책을 표방하고 있는 것은 기정 사실이고 학생은 그런 상황에서 학교가 제공하는 직업교육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전문대학 졸업을 목표로 하는 학생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외국 특히 미국의 전문대학은 학생들에게 교육과정을 제공함에 있어 다양한 교육과정의 토대 위에 편입교육 프로그램과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함께 제시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교육목표를 선택할 수 있게 하지만, 한국의 전문대학은 학생들에게 전혀 선택의 여지를 주지 않은 채 직업교육에만 충실하여 학생들이 전문대학에 입학하는 순간 전문대학 졸업의 목표를 당연시하게 하고 4년제 대학 편입 및 진학의 꿈은 개인적 차원의 문제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재고해 보아야 할 점은 전문대학이 지향하는 교육목표와 전문대학생이 열망하는 교육목표와의 관계 검토에서 기관의 목표와 기관구성원의 목표가 대체로 일치한다는 경향이 있다는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하는 데서 그쳐서는 안된 다 는 것이다. 한국의 전문대학이 지향하는 교육목표는 직업교육을 최우선으로 한다는 것과 한국의 대다수 전문대학생이 열망하는 교육목표는 전문대학 졸업이긴 하지만, 여기에는 전문대학 입학 당시 4년제 대학 진학에서 재학 현재 전문대학 졸업으로 교육목표가 하강한 학생도 포함되어 있다는 것, 그리고 비록 소수이기 하지만 3분의 1의 전문대학생은 여전히 4년제 대학 진학을 원하고 있다는 현실이다. 따라서 전문대학이 지향하는 교육목표에 대한 검토는 민주화 정책과 전환 정책 그리고 직업교육 정책과 편입교육 정책 등을 고려해야 함은 물론이고, 그것에 대한 검토 기준으로서 전문대학의 비대학적 기능 외에 대학적 기능도 함께 추가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개별 전문대학의 입장에서 보면 시사하는 바가 크고, 전문대학의 교육환경 개선과 전문대학생을 위한 진로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문대학은 교육을 공급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교육을 수요하는 입장에 있는 전문대학생의 전공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 앞으로의 전문대학 교육정책에 적극 반영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