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래영-
dc.contributor.author이민희-
dc.creator이민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5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5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5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590-
dc.description.abstract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수학교육은 세계적 동향이며 우리나라도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학교육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TIMSS, 2003)의 설문조사에 의해 우리나라도 테크놀러지를 활용하는 비율이 높은 편에 속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수학수업은 실제로는 차이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테크놀러지를 활용한 수업이 확산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테크놀러지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교수학적으로 확장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학교 교육경험이 TPACK의 형성과 관련이 있는 지와 교육경험에 따른 반성적 사고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초임교사와 경력교사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교육경험이 다른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그래픽계산기에 대한 테크놀러지 내용교수지식(TPACK) 형성과정과 개발과정을 조사, 비교, 분석하고 수업 후 학생들의 학습과정과 교사 자신의 수업을 비디오로 관찰하면서 교사의 반성을 유도하여 교사의 반성이 두 교사의 테크놀러지 내용교수지식(TPACK)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경력이 다른 두 교사의 그래픽계산기에 대한 테크놀러지 내용교수지식(TPACK)개발과정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2. 두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을 녹화, 관찰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반성적 사고가 테크놀러지 내용교수 지식(TPACK)의 개발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얻기 위해 경력이 다른 두 교사를 대상으로 사전조사와 그래픽계산기, Cabri 3D에 대하여 학습하고 협의를 통한 지도안을 구성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때 지도안 구성은 오디오 녹음을 하였고 수업 실행은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수업 이후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유도하고 반성적 사고를 토대로 지도안을 수정•보완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이 진행됨과 동시에 Niess et al.(2009)가 제시한 TPACK의 테마 별 내용과 Korthagen의 ALACT모형의 반성적 사고과정을 토대로 TPACK의 형성과 반성적 사고에 의한 TPACK의 변화과정을 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이 다른 두 교사의 TPACK의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경력교사는 테크놀러지를 다루는 지식이 초임교사보다 조금 부족하더라도 교육 경험으로부터 학습 내용의 구조를 이해하고 있고 학생들의 학습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하며 학생들을 장악하는 능력과 학생들의 반응에 대처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이러한 능력은 테크놀러지를 사용하는 수업에서도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이끄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경력이 많은 교사의 TPACK수준이 초임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므로 교육경험은 TPACK의 형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둘째, 자신의 수업을 비디오로 관찰, 분석하는 과정과 인터뷰를 통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TPACK의 발전과 관련성이 있다. 교사의 반성으로 교사는 학생들의 수학학습에 대한 관심과 흥미의 향상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또 교사측면에서도 반성적 사고에 따라 자신의 수업의 단점을 수정, 보완하는 활동은 자신의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상승시키고 나아가 교직에 대한 긍정적 마인드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따라서 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TPACK 의 발전뿐 아니라 교사가 수업을 실행하는데 테크놀러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전문성 있는 교사가 될 가능성을 높이고 학생들의 효과적인 학습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매우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연구의 진행과정과 결론을 바탕으로 한 제한 점과 제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제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TPACK 개발과 교사의 반성적 사고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경력이 다른 두 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연구이므로 일반화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다룬 수학적 내용이 일차함수에만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내용영역까지 확대하여 해석하는 것에는 제한이 따른다. 셋째, 본 연구의 대상교사들은 모두 남자 중학교 교사이므로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래픽계산기를 사용한 수업을 진행하였을 때의 차이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성별에 따른 테크놀러지를 사용한 수업의 효과성에 대한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본 연구의 제한 점 이 있기는 하지만 연구를 통해 참여 교사가 제안한 것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두 교사는 다양한 테크놀러지 연수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교사도 수준별로 연수를 들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연수 프로그램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 지원해 주고 어떤 교구를 도입하는데 일관성 있는 보급으로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평등 성이 유지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두 교사는 자신의 수업을 녹화하여 관찰하고 분석하는 활동에 대하여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교사교육에 있어 교사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모니터 링 하는 과정을 통해 반성적 사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경력교사는 다양한 교육 경험에서 얻은 많은 노하우를 경력이 많지 않은 교사들에게 전수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하였다. 경력이 많은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들의 멘토가 되어 바람직한 교사로 발전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 참여하였던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교직 관이나 가치관에서 차이가 있었다. 각기 다른 사고와 요구를 가진 교사들에게 적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천하여 효과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교사의 교직에 대한 자긍심과 전문성을 향상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a novice teacher and an experienced teacher in forming and develop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of a graphic calculator. Then the researcher explored how the two teachers’ reflections upon their classes through the analysis and observation of their videotaped classes affected their TPACK. The TPACK here refers to knowledge emphasizing the relationships among technology, the content of curriculum, and the pedagogical approach, which teachers need to acquire to conduct a class using educational technology according to grade level and achievement level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d teacher was found to have higher level of TPACK than that of the novice teacher. This indicates that teaching experience is likely to have an effect on the formation of TPACK. Second, teachers’ reflection upon their classes not only reinforces their TPACK but also helps them effectively and expertly use technology in classes. Therefore, the process should be required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effective learning opportunitie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government support should provide various teacher training programs meeting to teacher`s ability and to carry out various programs consecutively. Second, teachers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to reflect upon their classes through self-monitoring when training teachers. Third, experienced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help novice teachers to develop into good teachers as their mentors. Fourth, a variety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meet the teachers` demands and various thoughts should be developed. Al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teacher training programs, so as to do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services, and to improve teachers’ expertise and confidence in their teaching job.-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용어의 정의 4 D. 논문의 구성 4 Ⅱ. 이론적 배경 6 A. 테크놀러지 내용교수지식(TPACK) 6 B. 교사의 반성적 사고 27 Ⅲ.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 37 A. 연구대상 37 B. 연구방법 및 절차 38 C. 검사도구 및 분석도구 40 D. 사전조사 및 가설설정 45 Ⅳ. 결과 및 해석 51 A. 경력이 다른 두 교사의 TPACK 개발수준 51 B. 경력이 다른 두 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TPACK수준의 이동 63 C. 연구결과의 정리 및 가설검증 74 Ⅴ. 결론 및 제언 76 A. 요약 및 결론 76 B. 제한점 및 제언 78 참고문헌 81 부록 86 ABSTRACT 1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778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통한 TPACK의 개발에 대한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경력이 다른 두 교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PACK through Teachers’ Reflection upon Their Classes :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a novice teacher and an experienced teacher-
dc.creator.othernameLee, Min-Hee-
dc.format.pagexi, 14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수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