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반어적 의미에 대한 인식 연구

Title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반어적 의미에 대한 인식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the meaning of Korean Irony by Japanese Learners
Authors
이지혜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고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축자 적 의미(literal meaning)와 비축자적 의미(non-literal meaning)가 다른 반어적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조사하여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을 돕는 데 목적이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어 교육 기관에 상당수를 차지하며, 한국어와 비슷한 부분이 많은 일본어를 모어로 하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살펴보고 반어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를 찾아보아 반어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와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보았다. 반어에 대한 연구는 화용론과 수사법에서 다루어진 논문이 대부분으로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 연구는 거의 없었다. 반어는 문장의미(sentence meaning)와 발화의미(utterance meaning)가 다르므로 맥락을 통한 적절한 추측이 필요한데 한국어를 사용하는 상황과 외국인 학습자의 모국어 상황이 다른 경우 외국인 학습자는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반어 표현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조사하여 어려워하는 부분을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반어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숙달 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여부와 반어를 나타내는 방식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Ⅱ장에서는 일본인 학습자가 반어적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에 앞서 반어의 정의와 기능, 반어를 나타내는 실현 양상을 정리하여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한길(2005, 32)의 정의에 따라 반어법을 “축자 적 의미와 비축자적 의미 사이의 관계가 반대관계나 모순관계에 놓이며 뜻을 세게 나타내는, 문장에 내재하는 규칙 체계”로 정의하였고, 반어의 기능으로는 강조, 빈정거림과 비꼼, 체면유지 및 유머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반어를 나타내는 실현 양상은 한길(2005)의 분류를 기준으로 한국어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외국인을 상대로 한 한국어교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2를 참고하여 통사적 요인, 음운적 요인, 음운+통사적 요인, 어휘+통사적 요인으로 재 분류 하였다. Ⅲ장은 연구 방법에 대한 것으로 피험자, 연구 도구, 연구절차, 자료 분석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피험자는 일본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 30명, 일본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 30명, 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국어 모어 화자 30명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Ⅱ장에서 분류한 반어를 나타내는 실현 양상 중 일부분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자료 분석은 분산분석(ANOVA)과 t-검정, 빈도 분석을 하여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반어적 의미를 묻는 설문지에 응답을 한 것을 토대로 하여 설문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문제1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반어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숙달 도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학습 여부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통사적 요인이 반영된 문제에서만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 간의 반어 인식 비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문제2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반어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반어를 나타내는 방식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서는 반어적 의미를 나타내는 요인들을 서로 비교해 봤을 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 모국어에 있는 통사적 요인으로 나타나는 반어적 의미를 가장 쉽게 인식하였고, 한국 자 모국어에 없는 음운적 요인만으로 나타나는 반어적 의미를 가장 어려워하였다. 음운+통사적 요인, 어휘+통사적 요인에서 나타나는 반어적 의미에 대해서는 음운적 요인만으로 나타나는 반어적 의미보다는 쉽게 이해했지만 통사적 요인만으로 나타나는 반어적 의미보다는 어려워함을 알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반어를 어떻게 제시하면 한국어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을지를 생각해 보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어 교재에 반어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본 뒤 교재에 어떻게 반영되면 좋을지에 대해 제시하였다. 한국어 교재에서 반어는 ‘-지 않아요?’, ‘가 아니에요?’ 형태의 ‘통사적 요인’의 반어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의문사, 대명사, 부사 등과 함께 쓰인 ‘어휘+통사적 요인’이 많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학습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음운적 요인’에 대해 명시적으로 제시한 내용은 없었으며 반어적 의미를 명확하게 제시한 교재 또한 없었다. 학습자의 이해를 위해 좀 더 다양한 예시를 활용하여 명시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Ⅵ장에서는 연구 결과에 대해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이 논문이 갖는 의의와 제한 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의의로는 첫째, 실제 실험과 인터뷰를 통해 학습자의 입장에서 반어를 살펴보았으며, 둘째, 어떤 부분에 주의를 기울여 교수해야 할지 교수자 입장에서도 생각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다만 실험을 일본인 한국인 학습자에 한정하여서 다른 다양한 언어권의 한국어 학습자를 살펴보지 못하였고, 반어를 나타내는 유형을 일부분인 9개에 한정하여 보았다는 점은 한계점으로 남는다. 이를 보완하는 반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With the objective of helping foreigners in their studies of Korea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way foreigners recognize the differences between literal, non-literal and other ironic meanings. There is a considerable number of Korean learners with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he target of this study is Japanese native speaker who are learning Korean. Japanese were chosen because the language shares many similar features with Korea language. Chapter 1 will examine both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also look into the progress of previous research about irony and its connection with the current study. There is almost no research about “irony”, that has dealt with pragmatics and rhetoric, which has had mostly foreigners as the subject of the experiment. When it comes to irony, because the sentence meaning and the utterance meaning are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n educated guess based on the contex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whenforeigner learners use Korean and when they use their own native language and so they often experience difficulties. So by examining how Japanese learners of Korean recognize Korean irony it may be possible to assist learners in those areas that they may have difficulties with. The present paper’s investigation into this research problem looks at Japanese learners of Korean who understand the meaning of irony but the level of compression depends on the form of the question. In chapter two, before looking into how Japanese learners of Korean recognize the meaning of irony, it is first necessary to define “irony” and its function. Also an outline of the phases of the experiment and background theories will be present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Hangil(2005, 32), irony is the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l meaning and the non-literal meaning, either being an opposite relationship or a contradictory relationship and the meaning is intensified when it is included into the rule structure of the sentence”. The function of irony to emphasize, ridicule, to be sarcastic, to save face and to be humorous has been analyzed. Following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Hangil(2005), the form in which irony appears has been rearranged as the following: syntactical factors, phonetic factors, phoneme + syntactical factors, and vocabulary + syntactical factors. This rearrangement was made with reference to Korean language learning resources for foreigners and Korean grammars for foreigners. All this was done with the aim of trying to be used in the education of Korean. In chapter three a description of the research method is covered and deals with issues such as the research subjects, research tools, research method and the data analysis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ed of 60 Japanese, with 30 people with an intermediate level of Korean and another 30 who were advanced level students. These were compared with 30 native Korean speakers. In addition the ironic expressions that were classified in chapter two, appear as one part of the experimental research.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variance analysis (ANOVA) and the t-test and were recorded as to frequency analysis. Chapter 4 deals with the questionnaire that was filled out b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nd they were asked questions related to ironic meanings and an account was taken of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first problem of the research was when the subjects understood the meaning of the irony to try and determine differences in proficiency. The only problem was reflected in the use of the important effect of syntax and this made a meaningful difference to the level of understanding betwee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The second problem of the research was when the subjects understood the meaning of the irony and it needed to be determined whether this depended on the form of the question.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of the different ways in which irony appears, amongst the factors a difference was noted. Irony that appears from syntactical factors was the easiest to understand and irony that appears from phonetic factors was the most difficult to recognize. The possible combinations are Phoneme + syntactical factors, vocabulary + syntactical factors and any one of these combinations mad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meaning better them simply considering just the phonetic factors. However compared with just considering the syntactical meaning alone it was more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ironic meaning using phonetic factors. In chapter five the question of how the education of Korean should deal with irony is examined. In order to try and think how Korean learners can more easily understand irony, how irony should appear in learning resources needs to be examined and after that how that could be best reflected in such resources. In Korean learning resources ‘-지 않아요?’, ‘가 아니에요?’ forms of ironic syntax are the most common and after that the interrogative, the pronoun, adverb etc. and they frequently appear together with vocabulary + syntax. However even though learners found phonetic factors to be the most difficult there were no learning resources to explain it clearly and furthermore there were also no resources that clearly explain the meaning of irony. In order for learners to better understand irony, a greater variety of examples needs to be used in a way that helps elucidate the meaning. Lastly in chapter six, a synthesis of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given and a descrip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an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The first significant result comes from examining the opinions given by the learners through the experiment and the interview. Secondly, what needs to be given careful attention to is to how irony should be taught and also what teachers think about the issue. Since there was a limit, so that onl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were examined, it was not possible to examine the case of those who had different languages. There was a limit so that only one part(9 forms) of the possible forms in which irony could appear was examined. In order to supplement this research on irony various different types of research need to be pursu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