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송승민-
dc.creator송승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10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2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105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서울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해금과 바이올린 음색의 차이에 따른 정서적 반응과 선호도를 보고자 하였다. 음색에 대한 정서적 반응과 선호도를 보기 위하여 해금 음색과 바이올린 음색을 비교하였으며 대학생 30명씩 4그룹의 총 120명이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제공된 음악을 들은 후, 정서적 반응과 선호도를 제공된 설문지에 작성하였다. 설문의 결과는 형용사 반응을 긍정적, 부정적 반응으로 분류하였고 음향학적 특성은 Smart-office를 사용하여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장조 음악에서 해금은 부적-활성 형용사, 긍정-진정 형용사, 긍정-활성 형용사, 부적-진정 순으로 나타났다. 바이올린은 긍정-진정 형용사, 부적-활성 형용사, 긍정-활성 순으로 나타났고 부적-진정 형용사는 분류되지 않았다. 둘째, 단조 음악에서 해금은 부적-활성 형용사, 부적-진정 형용사 순으로 나타났고 긍정-진정, 긍정-활성 형용사는 분류되지 않았다. 바이올린은 부적-활성 형용사, 부적-진정 형용사, 긍정-진정 형용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의 선호도는 전체적으로 바이올린의 선호도가 해금보다 상대적으로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바이올린의 주파수 모양은 진폭이 넓은 모습을 보이지만 해금의 주파수 모양은 진폭이 작으면서 좀 더 뾰족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원리 중 동질성(ISO)은 ‘equal'을 뜻하는 그리스어로 대상자의 내부 에너지 수준을 외부의 음악적 에너지로 동일하게 맞추는 데에서부터 시작한다(Benezon, 1997). 그러므로 부적 감정을 지닌 내담 자에게 동질성을 지닌 음악으로 다가갈 때 해금을 감상음악으로 활용하고 긍정적 감정을 지닌 내담 자에게는 바이올린을 감상음악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심상과 음악(Guided Imagery Music : GIM) 대상 군에게 적합한 음악과 접근 성이 높은 악기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음악 치료를 통한 특정 정서 유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제시하며 한국 음악 악기도 대상의 상태에 따라 선곡되어 선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도구로 가능성이 있는지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에서 해금과 바이올린의 악기를 이용한 치료기법과 선곡 및 활동을 고안하고자 할 때 치료적 측면에서 악기가 가지는 이점을 고찰하기에 앞서, 치료 외적인 상황에서 특정 악기가 보유하는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는 음악치료사가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인 준거를 제시하고, 음악을 치료적 음악 경험으로 전이하는 작업에 대한 토대를 제공하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감상 치료 활동에 활용하고자 한다.;In this thesis is aiming at the emotional effects and preferences of tunes and tones between Korean fiddle, which is called Hae-Geum, and a violin for human being. This research is based on earlier studies, besides, the experiment has composed 14 bars and has arranged in major and minor keys. After the arrangement, it has played for transcription at recording room in the same conditions and tempos with a Hae-Geum and a Violin. According to the results, Ha-Geum is described as traditional, Korean traditional and Korean classical, and the Violin is only described as folk-like for general thoughts. Lastly, the higher preference of instrument is the Violin. When the students hear the same tone of melodies, even though the emotional effects are similar between the Hae-Geum and the Violin, they choose the violin. The results of the estimation, it is not only the tones of major or minor but also the timbres that when the students describe the emotional adjectival effects from the melodies of Hae-Gum and the violin. Moreover, the negative emotional effects of Hae-Gum has much influences from the tones even if it is major key. In short, the tone of Hae-Gum is related with negative emo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it is not the matter of tones that the students choose the Violin as well.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motional reaction to adjectives in the music in major, the emotional reaction to major and minor music appears to hav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the timbre of Hae-geum and violin. Also, the emotional reaction of Hae-geum is influenced by the tonality, but it is related to the negative emotional reactions as well, even in the minor. That is, Hae-geum is more related to the negative emotional reaction than violi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ference of Hae-geum and violin music, whether it is major or minor music, the respondents preferred the timber of violin. Through the present research, music does not originate negative emotion that is up to the danger of ethically dangerous degree and does not infringe the respondents' rights. The research result that says that utilizing the strength that there is no danger when the music induces the negative and individual emotional reaction, and we should consider this when choosing music. We should also consider Hae-geum as the therapeutic tool when inducing negative emotion and relating to the emotional homogeneity of the client in providing music according to the nationally and ethically emotional reaction. Much research on the adjective reaction about emotional reaction has been done, but the research that looked into Koreans' emotional reaction between Korean and Western music in terms of musical and special elements are just few. Through the present research, we may learn to use this in the research that deals with special reactions looking into the emotional reaction of Korea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5 A. 음악과 정서 5 1. 음악 감상의 과정 5 2. 음악과 정서 7 3.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적,음악 외적 요소 9 B. 정서 14 1. 정서의 개념 14 2. 정서의 구성과 기본 정서 15 3. 한국의 정서 분류와 구성 차원 16 C. 선호도 21 D. 해금과 바이올린 22 1. 해금과 바이올린 악기 비교 22 2. 해금과 바이올린의 물성 비교 24 3. 연주기법 및 주법 26 4. 해금과 바이올린의 음향적 특성 비교 31 Ⅲ. 연구방법 37 A. 연구 설계 37 B. 연구 대상 37 C. 연구 절차 39 D. 자료 수집 방법 40 E. 자료 분석 방법 41 Ⅳ. 결과 및 논의 43 A. 형용사 분류 분석 43 1. 형용사 분류의 조작적 정의 43 2. 해금과 바이올린 장조곡의 형용사 반응 47 3. 해금과 바이올린 단조곡의 형용사 반응 49 B. 음악의 선호도 51 1. 조성에 따른 선호도 51 2. 음악 교육 경험에 따른 선호도 52 3. 음악 감상시간에 따른 선호도 54 4. 성별에 따른 선호도 결과 55 C. 음색 분석 57 1. 해금 음색 분석 57 2. 바이올린 음색 분석 59 3. 해금과 바이올린 음색의 비교 62 D. 논의 65 Ⅴ. 결론 및 제언 69 A. 결론 69 B. 제언 71 참고문헌 73 부록 80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459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해금과 바이올린 음색에 대한 정서적 반응 및 선호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장조와 단조 곡의 비교-
dc.title.translatedThe Differences and Preferences of Timbre between Hae-Gum and Violin : with major and minor-
dc.creator.othernameSong, Seung-Min-
dc.format.pagevii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