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인령-
dc.contributor.author이다은-
dc.creator이다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9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11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2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117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적 노래 만들기가 중도시각장애인의 자기효능 감에 어떠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도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을 시행 후 이들의 자기효능 감 점수 변화와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 내에서 나타나는 자기효능 감과 관련된 반응들을 알아보았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 소재 시각장애인 복지관에서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대상자들은 시각장애가 발병된 지 8~10년 정도 되었고, 시각장애를 가지기 전 결혼 혹은 사회생활 경험이 있는 50대의 이력 성 중도시각장애인 3명이다. 그리고 사전 척도검사, 사전 세션,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관찰한 결과 자기효능 감 척도의 하위요인인 유능 성, 자신감, 추진력에서 낮은 자기효능 감을 보이는 자들이다. 자기효능 감 측정은 치료적 노래 만들기 세션이 시작되기 전과 종결 된 후에 이루어졌고, 사전․사후의 점수변화를 전체적으로, 그리고 각 하위요인 별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상자들의 음악적 반응의 내용을 매 회기마다 분석하였다. 또 사후 인터뷰를 실시하여 대상자들이 치료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을 통해 경험한 자신 및 타인의 의미 있는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 감 증진을 위한 치료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에 측정한 대상자들의 자기효능 감 점수가 평균 48점에서 75점으로 약 27점 증가하였다. 자기효능 감의 세 가지 하위내용 중 유능 성 문항은 평균20점, 자신감요인은 평균 16점, 추진력 요인은 평균 약 11점 정도의 증가를 보였다. 둘째, 자기효능 감 증진을 위한 치료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음악적 반응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들은 자기효능 감과 관련된 음악적 반응에 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 종결 후 실시한 사후 인터뷰 결과 대상자들은 자신 및 타인에게 자기효능 감과 관련된 긍정적인 반응이 있었음을 말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자기효능 감 증진을 위해 개발된 ‘치료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이 이력 성 중도시각장애인의 자기효능 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료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이 중도시각장애인의 낮은 자기효능 감의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치료적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치료적 노래 만들기 중심의 음악치료가 이력 성 중도시각장애인을 위한 상담 및 치료 현장에 도입 될 수 있음을 제언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herapeutic song writing on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adults who have visual-impaired in halfway.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nvestigate the alternation of both the response and the score relevant to Self-efficacy after offering the program for therapeutic song writing to adults who have visual-impaired in middle of life.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invited participants, the visually impaired, who are undergoing rehabilitation in welfare center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Seoul. The participants whose age range from 50 to 60 are the visually impaired in halfway of their life and lived in society before becoming the visually handicapped. And, it is about 8 to 10 years since they became the visually impaired. Also,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post-test, session, and interview to choose the participants, and then choos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ho lack self-confidence, initiative, and competence. Self-Efficacy scal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herapeutic song writing session and the quantitative data with answers are analyzed based on the alternation of score. Musical and verbal reactions for each participant have been described every session. In addition, the researcher has developed the interview questionnaire to find out about the changes and experiences that participants recognized.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described as below. First of all, when the researcher compare the Self-Efficacy score measured before the therapeutic song writing program with the one measured after the program, the average of the Self-Efficacy score were increased by 27 point from 48 pint to 75 point. Competence and self-confidence are increased 20 point and 16 points on an average, respectively. Initiative also is increased about 11 point on an average. Second, through the interview questionnaire after the Self-Efficacy development program and the analysis, it was quite obvious to see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on decrease in depression and increase on Self-Efficacy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therapeutic song writing program designed to improve the Self-efficacy is effective on increasing the Self-Efficacy of adults who have Visual-impaired in halfway.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therapeutic song writing program to be used as one of the psychotherapy at consultations which helps the Visually impaired adults coping with lack of the Self-Efficac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정리 4 II. 이론적 배경 5 A. 중도시각장애 5 1. 중도시각장애의 개념 5 2. 중도시각장애의 원인 6 3. 중도시각장애인의 심리적 특징 9 B. 자기효능감(SelfEfficacy) 11 1. 자기효능감의 개념 11 2. 자기효능감과 중도시각 장애인 16 C. 치료적 노래 만들기 21 1. 치료적 노래 만들기의 개념과 치료적 의미 21 2. 중도시각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치료적 노래 만들기 24 III. 연구방법 28 A. 연구대상 28 B. 측정도구 및 연구자료 분석방법 31 1. 자기효능감 척도 31 2. 내용분석 32 3. 치료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사후 인터뷰 32 C. 연구 설계 및 절차 32 1. 연구 설계 32 2. 연구 절차 33 D. 치료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 33 1. 치료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의 구성 33 2. 치료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 구성과 내용에 따른 논거 40 IV. 결과 및 논의 49 A. 자기효능감 척도 사전 사후 점수에 대한 결과 49 B. 치료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대상자별 내용분석 52 1. 대상자 A 52 2. 대상자 B 67 3. 대상자 C 80 3. 치료적 노래 만들기에 대한 사후 인터뷰 질문지 내용 기술 94 가. 치료적 노래 만들기에 참여했던 경험에 대한 대상자들의 반응 94 나. 치료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을 경험하면서 대상자들에게 가장 많은 이득이 되었던 사항 94 다. 그룹의 다른 참여자들에게 보이는 변화 95 C. 논의 95 V. 결론 및 제언 102 A. 결론 102 B. 제언 113 참고문헌 115 부록 122 부록1. 자기효능감 척도 123 부록2. 회기별 음악치료 세션 구성과 내용 124 부록3. 회기별 음악치료 세션에 사용된 음악적 자료 131 부록4. 연구 참여 동의서 136 ABSTRACT 1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60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도시각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치료적 노래 만들기 (Therapeutic song writing)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n therapeutic song writing for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adults who have Visually-impaired in halfway-
dc.creator.othernameLee, Da-Eun-
dc.format.pagex, 13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