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2007년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 주생활단원의 실천적 추론 내용분석

Title
2007년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 주생활단원의 실천적 추론 내용분석
Other Titles
Analyse of Practical Reasoning Contents Housing Area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uthors
이혜령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재순
Abstract
2007년 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이 개인과 가정생활에서 직면하는 생활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천적 추론과정을 적용하는 실천적 추론학습이 강조되고 있으며, 교과서 검정기준에도 실천적 추론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는 내용인가가 포함되어 있다.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의 주생활단원에 실천적 추론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2011년부터 사용하는 중학교 2학년 기술·가정교과서 11권에 실린 주생활단원인 주거와 거주환경 중단원과 주거 공간 활용 중단원을 대상으로 실천적 추론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천적 추론 내용은 실천적 문제, 실천문제 시나리오, 실천적 추론 과정에 대한 것이다. 분석의 준거는 실천적 문제는 ‘(주제)에 대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의 형태인가, 실천문제 시나리오는 딜레마적 문제 상황이나 문제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신문기사, 사진, 동영상, 통계자료 등을 포함하고 있는가, 실천적 추론 과정은 가치를 바탕에 둔 목표, 문제의 맥락과 배경, 대안적 행동과 방법, 행동의 파급효과, 행동 및 평가의 실천적 추론 과정의 5가지 요소가 반영 되었는가이다. 본 연구의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11권의 교과서 중 실천적 문제나 실천문제 시나리오, 실천적 추론 과정을 반영한 교과서는 6권이다. 실천적 문제는 3권에서 4가지 사례가 제시되었고 실천문제 시나리오는 4권에서 12가지 사례가 제시되어 대다수의 교과서에서 실천적 문제나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실천적 추론 과정은 6권에서 10가지 사례가 제시되어, 절반 미만의 교과서에만 실천적 추론 문제나 시나리오, 또는 추론과정이 제시된 것을 알수 있다. 둘째, 10개 실천적 추론과정 사례에서 실천적 추론 과정요소는 총 23개가 제시되었는데, 가치에를 바탕에 둔 목표가 3개, 문제의 맥락과 배경이 8개, 대안적 행동과 방법이 8개, 행동의 파급효과가 2개, 행동 및 평가가 2개 제시되어 추론과정 요소는 문제의 맥락과 배경요소와 대안적 행동과 방법요소가 주로 반영되었음을 파악 할 수 있었다. 셋째, 이 10가지 실천적 추론 사례에는 실천적 추론 과정요소가 한 요소만 반영된 사례는 1가지, 두 요소가 반영된 사례는 7가지, 세 요소가 반영된 사례는 1가지, 5가지 사례가 반영된 사례는 1가지로 주로 2가지 요소가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도입, 본문내용, 활동, 정리 및 평가로 나눈 교과서 구성 체계별로 보았을 때 실천적 추론 과정 총 10개 사례에서 도입에 사례, 활동에는 7사례, 정리 및 평가에는 1사례가 제시되었으며 본문내용에는 없어서 실천적 추론 과정이 주로 활동에 제시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분석한 실천적 문제와 실천문제 시나리오, 실천적 추론 과정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시되기도 하고, 한 사례에서 두 가지가 함께 제시되기도 했다. 각각 한 가지만 반영된 경우는 총 20가지 사례 중 14가지가, 한 사례에서 두 가지가 함께 제시된 경우는 6가지이다. 주로 한 가지만 반영되어 독립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도입부분에는 실천적 문제나 시나리오를 독립적으로 제시하고, 실천적 추론 과정은 절반은 시나리오와 함께 절반은 시나리오 없이 제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추후의 교과서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실천적 추론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는 교과서로 집필되는데 자료가 되며, 학교현장에서 가정과 교사들이 교과서에 반영된 실천적 추론과정을 고려하여 수업을 설계, 운영하는 데 있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Home economics textbooks of 2007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emphasize practical reasoning study which applies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in order to solve life tasks students face in their personal and home life. Thus it is the time when a study on reviewing the change at home and in education and how to apply it in the textbook.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how the practical reasoning content is presented in housing area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of 2007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For the study, the chapters of life including the units of residence and living environment and those of utilization of living space of 11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of middle school 2nd grade were analyzed to find out how the practical reasoning content that includes the practical problem, practical problem scenario, and practical reasoning process was reflected on them. The analysis content was divided into whether or not the practical question is in the form of ‘What should I(we) do for the (subject)?’, does the practical problem scenario includes a concept that enables to solve a dilemmatic situation or a dilemmatic problem?, does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reflects its 5 elements including valued ends, context, alternative and means, consequences, and action and reflection? The results were as below: Firstly, 6 textbooks out of 11 reflected the practical problem, practical problem scenario, and practical reasoning process. 4 cases of practical problem was suggested in textbooks, while 12 cases of practical problem scenario was suggested in 4 textbooks and 10 cases of practical reasoning process was suggested in 6 textbooks. Secondly, 23 elements of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presented in the textbooks were suggested. They were valued ends(3), context(8), alternative and means(8), consequences(2), and action and reflection(2). It was identified that the context of a problem and an alternative action and means were presented mainly. Thirdly, in terms of the number of the elements of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presented in 10 cases, 1 case presented 1 element, 7cases presented 2 elements, 1 case presented 3 elements, and 1 case presented 5 elements. It was interpreted from these findings that 2 elements were presented mainly. Fourthly, when the textbooks were analyzed after reconstructing them by compositional system into introduction, body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2 cases out of 10 were suggest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and no case was detected in body contents. 7 cases were suggested for activities, while 1 case was recommended in evaluation. It showed that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was suggested in activities mostly. Finally, the analyzed practical problem, practical problem scenario, and practical reasoning process were suggested independently sometimes or two of them were suggested together in 1 case. 14 out of 20 cases presented either one of them only, while 6 suggested 2 of them at the same time in a case. It was identified that only 1 was presented mostly and was suggested independently.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tical findings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 data for writing a textbook which focus on promoting the practical reasoning ability suggested in the curriculum. It is also expected that they can be utilized by teachers for designing and management of a class by considering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presented in the textboo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