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9 Download: 0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

Title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 Based on The 2009 Revised Art Curriculum
Authors
박현의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이 연구는 2009 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편찬된 중학교 검정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반영을 조사하고 차후에 개발될 교과서 제작을 위한 참고 자료를 제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1997년 12월에 처음 제 7차 교육과정을 고시한 이후, 문제점 지적 및 개선안에 대한 다양한 시각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2007년 2월 새 개정안을 발표하였고,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고시를 전후로 하여 시대적인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개정안을 보완·수정하여 2009년 12월에 개정 교육과정을 확정 발표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수 있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사람의 육성’이라는 시대적인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지난 2010년부터 새로운 중학교 3년 통합 미술 교과서를 발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이 구현되는 과정에 있어 미술 교과서는 중요한 매개체로서 학습목표를 손쉽게 이해시키고, 학습활동의 전개에 활용된다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였다. 21세기는 정보화 사회로서 정보 수집과 처리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창조적인 아이디어, 새로운 상황을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능력 등이 요구되고 시시각각 변화하는 우리 사회의 시각문화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미술 교육에 있어서도 그 가치관이 변함에 따라 유연한 대응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이 개정되고, 개정된 교육과정에 대응하여 교과서도 변해야만 한다. 먼저 일차적으로 교과서 내용 구성의 근간이 되는 2009 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를 분석하여 현 시행되는 미술 교육과정의 전반을 알아보았다. 또한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시하는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검정기준을 살펴보고 그 내용체계와 외형체제를 알아보았다. 새롭게 시행된 중학교 미술 교과서가 중학교 3년 통합 미술교과서임을 감안할 때 중학교 3년 과정의 학습자의 인지적 발달, 미적 표현 발달로 나누어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또한 청소년 시기에 미치는 미술 교육의 기능과 영향을 개인적인 측면과 사회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해보았다. 이러한 이론 연구를 바탕으로 현행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내용 체계와 외형적 체계를 나누어 분석해 볼 수 있었다. 교과서의 내용 체계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미적 체험, 표현, 감상 영역으로 나누어 그 구성과 내용이 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볼 수 있었으며,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시하는 검정기준을 바탕으로 미술 교과서의 외형체제가 그 기준을 준수하고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볼 수 있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각 미술교과서의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종합해 볼 수 있었다. 첫째, 다양한 표현 기법과 재료, 그리고 그 용구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자기주도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각 단원의 표현 활동에 따른 학습 평가와 토의 등을 제시하여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작품에 대한 비평의 시간을 갖을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셋째, 새로운 교과서를 보는 방법에 대한 충분한 설명 역시도 필요할 것이다. 넷째, 표현 활동 영역에 대해서 어느 한쪽으로 편중된 영역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다섯째, 참고 도판 구성 분포가 외국작품, 한국작품과 더불어 전통 작품에 걸쳐서도 두루 수록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미술관·박물관 교육으로의 확장이 필요할 것이다. 일곱째, 학년이 통합된 교과서에서 같은 주제의 단원을 심화한 내용에 대해 권장 학년 구분을 두어야 할 것이다. 여덟째, 영상 미술 분야에 있어 영상 미술 매체의 활용, 표현을 기초이해 부터 심화학습까지, 단계가 보다 세분화 되어 제시 될 수 있어야 하겠다. 앞으로 개편될 미술 교과서에서는 교육의 질을 강화하고, 심화하기 위하여 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중요한 매개체인 교과서의 역할과 비중을 고려함과 동시에 개정 교육과정을 충분히 반영하여 교사와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교과서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2009년에 발표된 제 7차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안을 통한 새로운 미술 교과서에 대한 분석이 학교현장과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새롭게 논의되어 한국 실정에 맞는 교과서 제작과 함께 공교육의 정상화를 기대하여 본다.;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flection of 2009 revised art curriculum, by analyzing the government authorized middle school art textbook, compiled based on the 2009 revised art curriculum and suggest the reference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future textbook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ublicly notified the 7th educationalcurriculum in December 1997, and indicated the problems and repeated its studies on the improvement plans from various perspectives. As a result, it announced the 2nd revision plan in Feb, 2007 and complimented/modified the revision plan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closely upon the notification of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n 2007, and then confirmed and announced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n Dec, 2009. As a result,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Fosteringautonomous and creative individuals who will lead the global and information era',the integrated art textbooks for middle school have been being published since 2010. This study started from the thought that in the process of realizing school education process, the art textbooks, the important media, are used for making the learning objectives easily understood and developing the learning activities. The 21st century is the information society. So, data collection and data processing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creative ideas, the ability to effectively respond to new situations are required and in the art education performing key roles in the visual culture of our society, the flexible responses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its values. In order to reflect the trend of the times, the educational curriculums have to be revised and the textbooks also have to be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Firstly, the 2009 revised art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 the base of the configurationof textbooks, was investigated and then the nature of the curriculum,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were analyzed for overlooking the art curriculum in process. And the standards for the authoriz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reviewed and its information system and external system were investigated. Considering the new middle school art textbooks were the integrated art textbooks for the 3rd 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it was necessary to look into them by categorizing them into the cognitive development and aesthetic expression of 3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lso, the functions of art education and its effectiveness on adolescence were analyzed in the separated individual aspect and social aspect. Based o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separately analyze the information system and the external system of the current art textbooks of middle schools. For the information system of textbooks, it was classified into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ppreciation, as proposed in the curriculum and then whether its configuration and contents fully reflected the revised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could be analyzed and also, whether the external system of art textbooks observed the standard based on the standards for the authorization propos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ould be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of current each art textbook, followings are summarized. First,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learners to direct their own learning by proposing the various representation techniques and materials, and the descriptions of tool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learners to have the time to criticize his own works by proposing the educationevaluation and discussion according to the expression activities in each unit. Third, a full explanation about how to look into the new textbook will be also required. Fourth, the area for the expression activities should not be biased. Fifth, the distribution of reference artworks configuration also has to cover the traditional works, as well as foreign works and the Korean works. Sixth, the expansion of education to museum and art galleries is required. Seventh, in the textbooks integrating the grades, for the content in which the unit containing the identical subjects are intensified, the grade of the students should be classified. Eighth, in the field of visual art, the use of video art, the use of media, and expression should be proposed in the detailed segmentations from basic understanding to the intensified learning. For the future revised art textbooks, the roles and the gravity of the textbooks, the important media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ntensify and strengthen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revised curriculum should be fully reflected for the studies of textbooks to evoke the interests and attention of both learners and teachers.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of the new textbooks through the 7th revision plan of art curriculum, publicly announced in 2009 will be newly discussed between schools and the experts, so that the production of textbooks can suit Korean situation and the public education can be normaliz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