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중학교 미술 영재교육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교 미술 영재교육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Middle School Gifted Education in Visual Arts within the Area of Two-Dimensional Space Representation
Authors
이민선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현재 집중이수제가 전면적으로 실시되면서 교육과정의 큰 흐름은 학생 모두가 같은 교과서에서 같은 내용을 배우던 시대에서 벗어나 학생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며 학습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즉 공교육의 미술 교과를 비롯한 많은 교과들은 필수 교과에서 선택 교과로 전락할 기로에 서 있다. 이에 따라 미술에 관심과 소질, 그리고 재능을 보이는 학생들이 미술을 보다 깊이 있게 체험하고 그에 대한 경험을 넓힐 수 있는 미술 영재교육은 앞으로 확대 및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1999년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된 이래로 10여년이 흐른 지금, 미술 영재교육에 참여한 현직 교사의 입장에서 본 연구자는 미술 영재교육에서 학생들의 영재성이 실제 작품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판별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미술 영재교육 대상 학생들의 평면 표현 영역에서의 영재성을 판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1, 2학년인 서울특별시 B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중등미술 영재교육 대상 학생들 20명 중 평면 표현에서 영재성 발현이 높은 학생 3명과 평면 표현에서 영재성 발현이 낮은 학생 3명의 평면 작품 각 3점씩, 총 18점을 비교 및 분석하여 학생들의 작품에 영재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판별하였다. 판별 도구는 Renzulli(1986)의 세 고리 모형과 Clark(1989)이 개발한 클락 드로잉 능력 검사(Clark's Drawing Abilities Test: CDAT)를 근거로 삼아 제작하여 타당도를 검증 받았으며 이를 통해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 표현의 측면이다. 평면 표현 영역에서 영재성 발현이 높은 학생들은 주제를 선택하고 이를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논리적 사고력이 뛰어나다. 그들은 주제에 자신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담아내는 자기 이해가 높으며, 주제를 표현하는 데 필요한 상징과의 연결이 참신한 점에서 창의성이 뛰어나다. 반면, 평면 표현 영역에서 영재성 발현이 낮은 학생들은 주제 표현에 있어서 논리성이 낮고, 작품 속 상징이 자신의 이야기가 아니라 진부하며 단편적이다. 둘째, 재료 및 기법 사용의 측면이다. 평면 표현 영역에서 영재성 발현이 높은 학생들은 재료 및 기법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능숙하며 높은 흥미와 자신감을 갖고 표현한다. 이에 반해, 평면 표현 영역에서 영재성 발현이 낮은 학생들은 재료 및 기법 혹은 오브제의 사용에 있어서 타당한 이유 없이 개연성이 낮은 경우가 있다. 셋째, 성격적 측면이다. 평면 표현 영역에서 영재성 발현이 높은 학생들은 스케치가 정교하며, 계획이 치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오브제를 발견하면 이에 깊이 매료되어 헤어 나오지 못하고 익숙할 때까지 반복하거나, 하나의 주제를 갖고 오랜 시간동안 고민하고 연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넷째, 영재성이 발현하는 영역에 관한 측면이다. 영재교육 대상 학생 한 사람에게 있어서 영재성은 모든 분야가 아닌 특정한 몇몇 분야에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영재성의 발현을 미술의 영역 중 평면 표현 영역에 한정하여 살펴보았는데, 미술 영재성은 입체 표현 영역, 디자인 영역 또는 그 외의 어떠한 영역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학생의 관심 분야를 잘 발견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육성하는 것이 영재교육의 주된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영재교육 대상 학생들의 작품 중 평면 표현 영역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영재성을 판별해 봄으로써 학문적으로 추상적인 영재성의 개념을 보다 구체화하는 노력을 기울였다는 데에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가 조금이나마 현장의 미술 교사들에게 적절한 학생들을 추천하는 데 도움이 되고, 미술 영재교육의 방향을 잡는 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As the Intensive Course System has been taken place at middle schools, the overall flow of education is gradually moving from the age of learning from identical textbooks to the era of learning subjects the student chooses. This indicates that almost all the subjects of the public education curriculum, including fine arts are standing at crossroads from being a required subject to being a elective one. Therefore, gifted education in visual arts, which is a brilliant course for students who have interest and show talent in fine art to broaden their experience should be enlarged and be invigorated. At present, after more than ten years have passed ever since the nation's Gifted Education Improvements had been enacted in 1999, I myself as a teacher of gifted education in visual arts and a full time teacher in middle school have realized that the matter of identifying how a student's giftedness is shown through one's artwork is quite importa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giftedness of middle school talented students in visual arts within the area of two-dimensional space representation. To attain the goal, I have identified how giftedness is shown in students' artworks by analyzing 18 artworks, 3 types of artworks from 3 students who reveal giftedness highly in the area of two-dimensional space representation and 3 students who reveal giftedness lowly in the area of two-dimensional space representation, who are selected among 20 middle school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taking courses at The Institute of Gifted Education in Visual Art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of Seoul Metropolitan B-district Education Office. The identification tool was produced based on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by Renzulli(1986) and Clark's Drawing Abilities Test(CDAT) by Clark(1989), its validity has been verified, and through it I have incorporated a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s in the aspect of representing the theme. Students who reveal giftedness highly in the area of two-dimensional space representation are good at logical thinking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theme and representing it visually. They are splendid in self-understanding as they easily put out their stories to the theme, and are excellent in creativity as the symbols they use required to represent the theme are refreshing. However, students who reveal giftedness lowly in the area of two-dimensional space representation are poor in representing the theme logically, and the symbols they use are usually not from their own experiences but stale and scrappy. Second is in the aspect of using materials and techniques. Students who reveal giftedness highly in the area of two-dimensional representation are expert in using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represent with high interest and confidence in it. In contrast, students who reveal giftedness lowly in the area of plane representation use materials, techniques and objects without a valid reason, therefore their artwork being low in probability. Third is in the aspect of personality. Students who reveal giftedness highly in the area of two-dimensional space representation produce intricate sketches and careful planning. In the course of the study, I was able to find out that when they discover an interesting object they tend to become fascinated in it, unable to fall out from it, and reproduce it until they become used to it. Also they tend to think and ponder over one theme for a very long time. Fourth is in the aspect of the area of revealing giftedness. Even though a student is taking courses in gifted education, the student's giftedness does not reveal in all areas but in a few specific areas. In this study I looked in to the giftedness revealed within the area of two-dimensional space representation, but to some gifted students their giftedness can be revealed in various other areas of visual arts such as in the area of three-dimensional space representation or in the area of design, etc. Therefore, the main objective of gifted education should be discovering students' interests and helping actively to develop i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effort of giving shape to the academic and abstract concept of giftedness by identifying giftedness in the area of two-dimensional space representation through the artworks of students taking courses in gifted education. I hope that this study may give some help to teachers in recommending appropriate students and furthermore setting directions in gifted education of visual ar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