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일현-
dc.contributor.author임수련-
dc.creator임수련-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9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9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5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997-
dc.description.abstract서비스 기업에서 대고객 서비스를 통해 수행되는 업무가 기업의 제품, 그 자체임을 감안할 때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의 리더십유형은 서비스 기업의 경쟁력에 직결되는 요소이다. 이러한 이유로 서비스 기업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 직무몰입, 직무만족, 직무성과 등과 같은 인사조직변수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서비스 기업의 업무 특성상 감정노동을 주로 하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전형적인 양상인 직무소진을 함께 고려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 기업, 특히 콜센터에서 발생하는 조직성과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하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와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 직무몰입에 영향을 끼치는 지에 있어 직무소진을 고려하여 분석을 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하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몰입을 예측하고, 직무소진이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가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에 있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려는 분석방법으로는 각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 그리고 매개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하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은 직무몰입을 예측할 뿐 아니라, 부하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몰입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가 존재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부하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직무소진을 예측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의 과정에서 조직구성원의 직무소진도 직무몰입을 예측하였다. 서비스 기업과 같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소진이 빈발한 조직 내에서 리더가 조직구성원에게 조직의 비전과 영감을 제시하고 조직의 성취를 위해 개별적으로 변화하도록 세심하게 배려하는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함으로써, 직무소진 현상을 낮추고, 직무몰입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과거와 달리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다양한 조직 형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다각적인 차원의 리더십이 요구되는 지금 서비스 기업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몰입이라는 보다 궁극적인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어떠한 리더십 스타일이 요구되는가를 알려준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때에도 조직구성원이 처한 직무소진의 상태는 직무몰입을 떨어뜨리며, 리더가 구사하는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조직이 종업원의 직무소진을 신속히 지각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The employee’s job attitude has influenc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service industry. That’s the why service enterprises make their efforts to improve human resources related with job performance. The prior researches have investigat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ch as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etc. Relatively limited research exists, however, on the ability of job involvement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th job burn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practical information for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on the relation between subordinates' perceiv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in the service enterprises, especially call centers.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 used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for th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and mediation analysis which wa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This study reveals subordinates' perceiv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edicts job involvement, as well as their job burnout moderate perceiv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tween job involvement. Also, subordinates' job burnout predicts their job involvement and perceiv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edicts job burnout. The present results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 service enterprises and leaders struggling with performances in their organizations, that is, leaders' leadership such as charisma, motivation and consideration for subordinates can make subordinates' job involvement and reduce job burnout. This study expands the literatur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job involvement, subordinates' perceiv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th burnout. By better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such factors on burnout within emotional labor environment, Service enterprises and leaders alike may be better able to limit or modify a variety of organizational outcom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4 C.용어 정의 5 1.직무몰입 5 2.부하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 6 3.직무소진 6 Ⅱ.이론적 배경 8 A.직무몰입 8 1.직무몰입의 정의 8 2.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9 3.직무몰입과 조직성과 11 B.변혁적 리더십 13 1.변혁적 리더십의 개념 13 2.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 17 3.부하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 20 C.직무소진 22 1.직무소진의 개념 22 2.직무소진의 발생 단계 24 3.직무소진의 결과 26 D.관련 선행연구 28 1.부하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몰입 28 2.부하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소진 30 3.직무소진과 직무몰입 31 4.부하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직무소진과 직무몰입 32 E.연구문제 및 가설 34 .연구방법 36 A.연구대상 36 B.측정도구 39 1.직무몰입 측정도구 43 2.부하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 측정도구 43 3.직무소진 측정도구 44 C.연구절차 45 D.자료의 분석방법 46 .연구결과 51 A.기술통계 51 B.상관분석 52 C.가설검증 53 1.부하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의 직무몰입 예측에 대한 검증 53 2.부하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의 직무소진 예측에 대한 검증 54 3.직무소진의 직무몰입 예측에 대한 검증 55 4.부하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의 직무몰입 예측에 대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검증 55 .결론 및 제언 57 A.연구결과 57 B. 논의 및 해석 58 C. 제한점 및 제언 61 참고문헌 63 부 록 69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18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부하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몰입 간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Perceiv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dc.creator.othernameLim, Su Ryeon-
dc.format.pagex,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