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천혜정-
dc.contributor.author안소윤-
dc.creator안소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9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5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94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에 따른 소비와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아르바이트 관련 변수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이에 따른 소비와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하고 있는 인문계·전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학생 3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중 무성의한 응답을 제외한 301명의 설문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설문문항으로는 사회인구학적 변수, 아르바이트 경험, 소비에 대한 태도, 직업에 대한 태도, 진로의식성숙도와 관련된 문항으로 크게 5가지 영역으로 나누었다. 사회인구학적 변수로는 성별, 학년, 계열, 거주지, 생활수준, 가족구성의 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아르바이트와 관련된 문항으로는 경험유무, 경험횟수, 직종, 동기, 만족도의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소비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문항은 소비지향적 태도를 묻는 9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직업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문항은 직업 자체의 가치나 중요성에 의미를 두는 내적영역과 직업을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외적영역으로 구성된 3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진로의식성숙도 관련 문항은 진로에 대한 결정성, 확신성, 목적성, 준비성, 독립성의 2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과정(coding)과 오류 검토작업(error checking)을 거친 후 SPSS for windows Ver. 1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또한 사후검증으로 Scheffe 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원시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관련 경험 실태를 살펴보면,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학생이 전체 응답자 301명 중 194명(64.5%)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경험횟수의 경우 1~5회가 154명(51.2%)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6~10회가 26명(8.6%), 10회 초과가 16명(5.3%)으로 나타났다. 직종으로는 서빙/카운터가 131명(29.8%)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단지 돌리기가 112명(25.5%), 배달이 55명(12.5%), 주유소가 46명(10.5%), 판매가 40명(9.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험 사유로는 용돈이 부족해서가 82명(41.6%)으로 가장 많았고, 꼭 사야하거나 쓸 곳이 생겨서가 38명(19.3%), 사회경험을 쌓고 싶어서가 18명(9.1%), 호기심/재미있을 것 같아서가 16명(8.1%), 생활비를 벌기 위해서가 15명(7.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험사유를 용돈이나 학비, 생활비를 벌기 위해서 등의 경제적인 요인과 사회경험을 쌓고 싶어서, 남는 시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등의 비경제적인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경제적인 요인이 137명(70.5%)으로 비경제적 요인 57명(29.5%)보다 두 배 이상 많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소비와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를 살펴보면, 1학년이 2학년과 3학년에 비해 소비지향적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이 높을수록 직업에 대한 태도와 진로의식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직업에 대한 태도의 내적영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인 경우에 진로의식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르바이트 경험여부에 따른 소비와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를 살펴보면,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소비지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대한 태도의 내적영역은 아르바이트 경험이 없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아르바이트 경험여부와 직업에 대한 태도의 외적영역과 진로의식성숙도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르바이트 만족정도에 따른 소비와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를 살펴보면, 관계만족도가 낮은 경우에 학생이 상대적으로 더 소비지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급여만족도와 작업환경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직업에 대한 태도의 내적영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르바이트 전반적인 업무 만족도, 급여만족도, 관계만족도, 작업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에 대한 태도의 외적영역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급여만족도와 관계만족도, 노동강도 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은 진로의식성숙도를 나타냈다. 다섯째, 아르바이트 경험사유에 따른 소비와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를 살펴보면, 용돈이 부족해서 또는 꼭 사야하거나 쓸 곳이 생겨서 등의 경제적인 이유로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보다는 사회경험을 쌓고 싶어서 또는 남는 시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등의 비경제적인 이유로 하는 경우에 직업에 대한 태도의 내적영역과 진로의식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xpenditure level of teenagers who have part-time job experience and their attitude toward their career and the level of career awareness maturity. This research was done by collecting survey papers from 331 male and female high-school students. Among them, survey results from 30 students were excluded because of their insincere answer. Thus, in the final stage, survey results from 301 students were analyzed. Survey questions were divided into 5 different categories of sociological variable, part-time job experience, attitude toward expenditure, attitude toward career, career awareness matur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for windows Ver. 15.0 statistics program.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question,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was performed. As a post-hoc test, Scheffe method is used. The research conclusion is as following: First, the ratio of students with part-time job experience was quite high as 194 out of 301 students (64.5%). The number of part-time job experience was highest in the range of 1~5 times with 154 students (51.2%), and the type of part-time job with highest number of proportion was a server/cashier. The lack of monthly allowance was chosen as a primary reason for students’ part-time job application by 82 students (41.6%). When the reasons for starting part-time job work we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of financial reason and non-financial reason, the financial reason with 137students (70.5%) was almost twice more than the non-financial reason with 57 students (29.5%). Second, the first-year students displayed a higher consumption orientation compared to 2ndand3rdyearstudents.Also,highergradewaspositivelycorrelatedwithhigherdevelopmentininternalandexternalpropertyofattitudetowardcareerandhighercareerawarenessmaturity.Higherlivingstandardwasalsopositivelycorrelatedwithinternalpropertyofattitudeandfemalestudentstendtoshowhighercareerawarenessmaturity. Third, students with part-time job experience were more consumption-oriented compared to students without part-time job experience. Students without part-time job experience showed relatively more developed internal property of attitude toward career. Fourth,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nsumption orientation. Also, higher salary satisfaction and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was related to higher development in internal property of attitude toward job while higher satisfaction in general work, payment, relationship, and work environment was related to higher external property of attitude toward job. Higher satisfaction in salary, relationship, and labor intensity showed higher career awareness maturity. Fifth, students who started part-time job for the reason of non-financial reasons such as building social experience or utilizing free hours rather than for the reason of financial reasons such as lacking in monthly allowance, buying goods, or needing money in urgency showed higher development in internal property of attitude toward job and career awareness matur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Ⅱ. 선행연구 고찰 4 A.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실태 4 B. 청소년의 소비에 대한 태도 5 C. 청소년의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 7 Ⅲ. 연구방법 9 A. 연구문제 9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9 C. 측정도구 11 1. 아르바이트 관련 변수 11 2. 소비에 대한 태도 13 3. 직업에 대한 태도 14 4. 진로의식성숙도 16 D. 자료분석 17 Ⅳ. 연구결과 18 A. 아르바이트 경험 실태, 이유 및 만족정도 18 B.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소비와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 21 1.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소비에 대한 태도 21 2.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 22 가.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직업에 대한 태도 22 나.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진로의식성숙도 24 C. 아르바이트 경험여부에 따른 소비와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 25 1. 아르바이트 경험여부에 따른 소비에 대한 태도 25 2. 아르바이트 경험여부에 따른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 25 가. 아르바이트 경험여부에 따른 직업에 대한 태도 25 나. 아르바이트 경험여부에 따른 진로의식성숙도 26 D. 아르바이트 만족정도에 따른 소비와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 차이 27 1. 아르바이트 만족정도에 따른 소비에 대한 태도 27 2. 아르바이트 만족정도에 따른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 28 가. 아르바이트 만족정도에 따른 직업에 대한 태도 28 나. 아르바이트 만족정도에 따른 진로의식성숙도 30 E. 아르바이트 경험사유에 따른 소비와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 31 Ⅴ. 결론 및 논의 32 참고문헌 35 설문지 37 ABSTRACT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08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에 따른 소비와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수원시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xpenditure of teenagers with part-time job experience and their attitude toward career and the level of career awareness maturity : with close focus on Suwon city high-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An, So Yoon-
dc.format.pageviii, 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