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은미-
dc.contributor.author박지은-
dc.creator박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6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5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57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적 악기 연주(Therapeutic Instrument Music Performance; TIMP) 중재가 뇌성마비 아동들의 상지 및 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방식으로 설계되었으며, 연구대상자들의 수가 적고, 장애의 정도와 유형에 따라 상지 및 손기능 정도와 특성이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치료적 악기 연주 중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E지체장애 특수학교의 초등학교 4학년 과정에 재학 중인 뇌성마비 아동 4명을 대상으로, 1회기에 40분씩 주 3회, 총 18회기를 6주 동안 그룹 세션으로 진행하였다. 치료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은 학교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와의 논의를 통하여 협력하여 개발하였으며, 대상 아동들의 상지 및 손기능과 관련된 일상생활에서 기능적이고 가장 우선적으로 수정되어야 할 동작을 선별하였다. 개별화된 목표에 따른 기능적 동작을 훈련하기 위하여, 음악, 악기의 배치, 연주 방법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효과적인 움직임을 이끌어내도록 구성하였다.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및 손기능은 치료적 악기 연주 중재 실시 전과 후에 QUEST 검사, Jebsen-Tylor 손기능 검사,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아동의 QUEST 검사 점수는 분리된 움직임과 쥐기 영역에서 각각 21.9점, 25.9점 상승하였으며, Jebsen-Tylor 손기능 검사에서는 우세손 21.0%, 비우세손 14.1%의 향상을 보였다.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는 우세손 19.0%, 비우세손 5.6%의 향상을 보였다. 둘째, B아동의 QUEST 검사 점수는 분리된 움직임과 쥐기 영역에서 각각 1.6점, 7.4점 상승하였으며, Jebsen-Tylor 손기능 검사에서는 우세손 14.4%의 향상을 보였고, 비우세손은 사전, 사후 모두 측정이 불가하였다.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는 우세손 -11.1%, 비우세손 25.0%의 향상을 보였으나, 사후 검사 시 B아동이 집중하지 못하여 검사 수행에 어려움이 있었기에 정확한 결과라고 보기는 어렵다. 셋째, C아동의 QUEST 검사 점수는 분리된 움직임과 쥐기 영역에서 각각 12.5점, 14.8점 상승하였으며, Jebsen-Tylor 손기능 검사에서는 우세손 23.2%, 비우세손 9.8%의 향상을 보였다.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는 비우세손에서 14.3%의 향상을 보였으며, 우세손에서는 사전, 사후의 결과값이 동일하였다. 넷째, D아동의 QUEST 검사 점수는 사전, 사후 동일하였으나, 사전 검사 시 측정이 불가하였던 Jebsen-Tylor 손기능 검사와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는 사후 검사 시 측정 가능한 영역이 생겼다. Jebsen-Tylor 손기능 검사에서는 양 손 모두 카드 뒤집기가 가능해졌고(우세손: 58초, 비우세손: 52초),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도 양 손 모두 수행이 가능해졌다(우세손: 4개, 비우세손: 6개). 각 아동의 검사 결과를 토대로 종합한 결과, 치료적 악기 연주는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및 손기능을 매우 효과적으로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치료적 악기 연주가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및 손기능 훈련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임상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rapeutic Instrumental Music Performance(TIMP) on upper extremity and hand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single group pre-post test case study. Fou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were students of E special school for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located in Inchoen, S. Korea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essions were conducted for 40 minutes, three times a week during 6 weeks, total of 18 sessions. The school physical therapist and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E special school collaborated with this study to decide the necessary functional movement and to develop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ndividual participant. In order to evaluate function of upper extremity and hand, QUEST test, Jebsen-Tylor hand function test, and box and block test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ld A’s QUEST test scores increased 21.9 points in the dissociated movements area, and 25.9 points in the grasps area. In Jebsen-Tylor hand function test, dominant hand function was improved 21.0%, and non-dominant hand function was improved 14.1%. In box and block test, dominant hand function was improved 19.0%, and non-dominant hand function was improved 5.6%. Second, child B’s QUEST test scores increased 1.69 points in the dissociated movements area, and 7.4 points in the grasps area. In Jebsen-Tylor hand function test, dominant hand function was improved 14.4%, and non-dominant hand function was not testable. In box and block test, though dominant hand function was improved -11.1%and non-dominant hand function was improved 25.0%. Third, child C’s QUEST test scores increased 12.5 points in the dissociated movements area, and 14.8 points in the grasps area. In Jebsen-Tylor hand function test, dominant hand function was improved 23.2%, and non-dominant hand function was improved 9.8%. In box and block test, non-dominant hand function was improved 14.3%, and dominant hand function was same as pretest. Forth, child D’s pre and post QUEST test scores were same. Jebsen-Tylor hand function test and box and block test could not be measured at pretest, but posttest were partly testable. In conclusion, each child's test results shows that TIMP improved function of upper extremity and hand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is study result imply TIMP can be a useful intervention to improve the functional movement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A. 뇌성마비 아동의 일반적 특성 6 1. 뇌성마비의 정의 및 유병률 6 2. 뇌성마비의 원인 8 3. 뇌성마비의 분류 9 가. 전통적인 분류방법 10 나. 새로운 분류방법 12 다. 뇌 손상에 의한 운동장애에 따른 분류 15 B. 상지 운동 23 1. 상지 및 손기능에 대한 이해 23 2.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운동 28 C. 치료적 악기연주 30 1. 신경학적 음악치료 30 가. 신경학적 음악치료의 이론적 모형(R-SMM) 31 나. 신경학적 음악치료의 실행을 위한 변형설계(TDM) 32 2. 치료적 악기 연주의 정의 33 3. 치료적 악기 연주의 이론적 배경 34 가. 음악에 대한 인식 전환 34 나. 음악의 역할 35 4. 치료적 악기 연주의 임상 원칙 38 가. 보편적 방법의 연주와 수정된 방법의 연주 38 나. 음악 장비의 개조 39 III. 연구 방법 41 A. 연구 대상 41 B. 연구기간 및 장소 42 1. 연구기간 42 2. 연구장소 42 C. 연구도구 44 1. QUEST 검사 44 2. Jebsen-Tylor 손기능 검사 44 3. 나무와 나무상자 검사 45 D. 연구설계 및 절차 46 1. 연구설계 46 2. 연구절차 46 E. 치료적 악기연주 프로그램 48 1. 치료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 설계 시 고려사항 48 2. 치료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 구성 절차 50 3. 치료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의 음악 구성 52 4. 아동별 치료적 악기 연주 중재 방안 53 가. A아동 55 나. B아동 58 다. C아동 61 라. D아동 63 F. 분석 방법 66 IV. 연구결과 및 논의 67 A. 연구결과 67 1. A아동의 상지 및 손기능 변화 67 2. B아동의 상지 및 손기능 변화 72 3. C아동의 상지 및 손기능 변화 76 4. D아동의 상지 및 손기능 변화 80 B. 논의 84 1. 연구 대상자별 결과에 대한 논의 84 가. A아동 84 나. B아동 93 다. C아동 95 라. D아동 96 2. 연구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에 대한 논의 97 V. 결론 및 제언 102 A. 결론 102 B. 제언 104 참고문헌 107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학생용) 115 부록2. 연구 참여 동의서(보호자용) 116 부록3. 상지기능 관련 해부학 용어 118 부록4.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검사지 121 부록5. Box & block Test 검사지 121 부록6. 상지기능 및 손기능의 구체적인 발달과정 122 부록7. 치료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 124 부록8. 아동별 치료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 125 부록9. 음악에 따른 치료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 169 부록10. 자작곡 악보 174 Abstract 1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404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치료적 악기연주 중재가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기능과 손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Therapeutic Instrumental Music Performance(TIMP) on Upper Extremity and Hand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A Case Study-
dc.creator.othernamePark, Ji Eun-
dc.format.pagexi, 1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