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사회성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 차이 연구

Title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사회성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 차이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Sociality and a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in Accordance with whether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in After-school Athletic Activities
Authors
윤용선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사회성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차이를 파악하여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의 효율성을 규명하고, 사회성과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은 2011년 현재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에서 방과후학교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설문을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40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하고 최종분석에 394부를 이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 참여 학생의 학년과 성별을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사회성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의 사회성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를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사회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이 참여하지 않는 학생보다 사회성 하위요인 중 활동성, 사려성, 사교성, 책임성, 협동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에서도,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이 참여하지 않는 학생보다 학습에 대한 호기심과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중학생의 개인적 특성별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사회성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의 경우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보다 사회성 요인 중 활동성, 사려성, 사교성, 책임성, 협동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경우 학습에 대한 책임감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여학생의 경우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이 참여하지 않는 학생보다 사회성 하위요인 중 사려성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 하위요인 중에서는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과 학습에 대한 열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이 참여하지 않는 학생보다 1학년의 경우 사회성 하위요인 중 협동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2학년의 경우 사회성 하위요인 중 활동성, 사려성, 사교성 요인, 자기주도 학습능력 하위요인 중 학습에 대한 책임감과 학습에 대한 열정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고, 3학년의 경우 사회성 하위요인 중 활동성, 사려성, 사교성 그리고 책임성 요인이, 자기주도 학습능력 하위요인 중 학습에 대한 호기심과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사회성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성 하위요인 중 활동성은 자기주도 학습능력 하위요인 중 학습기회의 개방성과 학습에 대한 열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사회성 하위요인인 사려성은 자기주도 학습능력 하위요인 중 학습에 대한 호기심과 학습기회의 개방성, 학습에 대한 열정 그리고 자기이해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회성 하위요인 중 사교성은 자기주도 학습능력 중 학습에 대한 책임감과, 사회성 하위요인 중 성취성은 자기주도 학습능력 하위요인 중 학습에 대한 책임감과 학습에 대한 열정 그리고 자기이해와, 사회성 하위요인 중 책임성은 자기주도 학습능력 하위요인 중 학습에 대한 호기심과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학생들의 신체운동기능과 사회성 그리고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고루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방과후학교 체육활동 프로그램에 여러 가지 변화를 주는 것이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고 더 즐겁고 자발적·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이 단순히 학생들의 여가시간을 소비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정규체육수업의 연장선상에서 지·덕·체가 조화롭게 발달한 전인육성을 목표로 한다면 청소년 시기의 즐거운 체육활동 경험이 평생체육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체육학습능력을 판단하고 각자 목표를 설정하여 자기주도 학습과정을 통해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겠다.;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social development and a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fter-school athletic activities an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after-school athletic activities and the effect of sociality on a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Following the examination and identification, we aims at providing relevant, fundamental data to the further development by creating more various athletic activities and applying them to the school practices. To attain the research objectives, we conducted surveys which include the middle schools that belong to GyeongGi-Do Province and participate in an after-school program as of the year 2011, set as a population. We drew on 394 respondents after taking out 6 disrespectful ones out of totally 400 respondents. For a data analysis, we used a cross-tab analysis and calculat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to examine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did t-test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sociality and a self-initiated leaning ability in accordance with whether to participate in an after-school program. Further, we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to see the effects of sociality that might arise from the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athletic activities on a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We used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 for those statistical works.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we have drawn several research outcomes as followings: First, for the difference in sociality in accordance with whether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in after-school athletic activities, those who participated in are more likely to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tiveness, consciousness, friendliness, responsibility, and cooperativeness than those who did not. For the difference in a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those who participated in are more likely to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riosity and self-knowledge as an effective learner than those who did not. Second, for the difference in sociality and a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in accordance with whether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in after-school athletic activities on whic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based, the mal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are likely to represent differences in activeness, consciousness, friendliness, responsibility, and cooperativeness than those who did not. For a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we could se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onsibility in relation to learning. For femal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are likely to represent differences in consciousness than those who did not. For a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we could se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knowledge as an effective learner and ambitiousness toward learning. For a school year, the athletic activity participation of 1st-year students leads to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operativeness. Other sub-dimensions and a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turned not to be influenced by athletic activity participation. For 2nd-year students, they turn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tiveness, consciousness, and friendliness. For a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we could se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onsibility in relation to learning and ambitiousness toward learning. For 3rd-year ones, they turn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tiveness, consciousness, friendliness, and responsibility, and curiosity on learning and self-knowledge as an effective learner. Third,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soci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after-school athletic activities on a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and found that activeness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openness of learning opportunities, the ambitiousness toward learning, and that consciousness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uriosity on learning, the openness of learning opportunities, ambitiousness toward learning, and self-knowledge. Friendliness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esponsibility associated with learning. Achieveness also h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the responsibility associated with learning, ambitiousness toward learning, and self-knowledge. Responsibility h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the curiosity on learning and the self-knowledge as an effective learner. In conclusion, it is likely that the changes in the program of after-school athletic activities in the way that the activities develop physical and athletic capabilities, sociality, and a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could encourage the students to feel more interested and excited and to voluntarily and sustainably engage in the program. After-school athletic activities is not the program where students simply spend their leisure time but the one that could extend the experiences of athletic activities during an adolescent period to a life-time physical education if school authorities aim to develop the intelligence, ethics, and physical capacity for students as part of regular physical education. For this goal, research into the development of the new athletic activity programs is needed that enable students to evaluate their own physical learning capability, to set a goal, and to assess learning processes themsel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