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6 Download: 0

제7차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체육교과서의 성차별 실태와 학생 의식에 관한 연구

Title
제7차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체육교과서의 성차별 실태와 학생 의식에 관한 연구
Authors
박소미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7차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체육교과서에 나타나는 성차별 실태에 대하여 조사하고, 그에 따른 학생들의 의식을 파악함으로써 체육 교과서를 통한 양성평등 교육이 차후에 실현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7차 개정 교육과정 체육교과서를 선정하였고, 각 교과서의 집필진 성별비율을 알아보았으며, 교과서에 나타난 남녀의 모습을 삽화를 통해 분석을 함으로써 개정 교과서가 갖는 성차별적 요소를 알아보았다. 또한 개정된 교과서를 배운 학생들이 체육교과서를 통해 갖는 양성평등 의식을 알아보기 위해 교과서에 수록된 남녀에 관한 의식과 교과서에 나타난 양성평등에 관한 학습자 의식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과서 선정은 제7차 개정 교육과정 체육교과서 3종을 선택하였으며, 교과서의 성차별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교과서의 집필진의 성비와 교과서에 실린 사진 및 삽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양성평등의식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남, 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278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으며 학생의 성별에 따른 각 변수별 차이와 지도교사의 성별에 따른 각 변수별 차이, 체육에 대한 선호도에 따른 변수별 차이, 평상시의 체육에 대한 성선입견에 대한 변수별 차이의 분석을 t-test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교과서 집필진 성별비율을 살펴보면 교과서 집필진 총 14명 중 남자 집필진은 13명으로 전체 중 92.9%를 차지하였으며, 여자 집필진은 1명으로 7.1%로 나타났다. 또한 1명의 여자 집필진은 체육교과영역 중 표현영역만을 담당하여 집필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서의 사진 및 삽화의 성별분석 결과 중학교 체육교과서(3종)는 남자 57.5%,여자 29.0%, 혼성 13.5%로 남자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삽화의 수가 많으며, 선행연구와 비교해 보면 남녀의 비율은 거의 유사하였으며, 혼성의 삽화 비율만이 미비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셋째, 제 7차 개정 체육교과서를 본 학생들의 양성평등의식을 파악한 결과 근소한 차이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육 교과서의 양성평등에 대하여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평균적으로 남녀 학생 모두의 의식은 양성평등하지 못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한 반성을 통하여, 앞으로의 새로운 교육과정 모색시 체계적인 연구와 심의 기준을 개발하고, 교과서와 관련된 제도적인 측면과 의식전환을 한다면 충분히 양성 평등한 교과서를 집필할 수 있고, 또한 개선된 교과서로 인해 학생들의 양성평등 인식은 올바르게 자리 잡힐 수 있다고 기대해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국가와 학교 또한 교과서를 통한 양성평등 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정책적, 제도적, 경제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is to study about the ongoing sexual discrimination-based education appearing in middle school PE(Physical Education)textbooks of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understand the awareness of such education, and then, provide basic data for boy and girl students to receive the equal PE education. To do it, this thesis selected PE textbooks of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researched the sex ratio of each textbook publisher. Subsequently, this research thesis made a comparative and illustrative analysis of boy and girl students' images in such textbooks, in order to find out sexual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s that the revised textbooks have. And, this thesis conducted a survey on the awareness of each male and female appearing in textbooks and the awareness among learners of gender equality in textbooks, in an effort to study how students who have received education through the revised textbooks are aware of PE. Also, this research thesis analyzed the sex ratio of PE textbook publishers through photos and illustrations based on the three sorts of PE textbooks of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education on sexual discrimination in such textbooks. In order to study the students'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this thesis conducted a questionnaire-based survey of the 300 eighth boy and girl graders in middle schools around Kyonggi Province, and used the total 278 questionnaire copies for a final analysis. This research thesis gathered the research data and measured frequency and percentage, with the tool of the SPSS descriptive statistical program. And then, this thesis conducted t-test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variable between students' and relevant instructors' genders, and difference in variable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n PE and gender prejudice on PE. Based on these analytic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is research thesis draws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sex ratio of textbook publishers shows that out of total 14 textbook publishers, the number of male publishers accounts for 13 people and 92.9%, while the number of female publishers accounts for 1 person and 7.1%. Also, the just one female publisher has published nothing but the expression domain of PE textbooks. Second, the gender analysis of photos and illustrations in PE textbooks( three sorts)for middle school students indicates that male, female and mixed gender appear as main characters in such photos or illustrations, by 57.5, 29.0 and 13.5%, respectively in turn. This shows that male main characters appear in such photos or illustrations, to a greater extent, compared with female main characters. The currently surveyed sex ratio in photos or illustrations between male and female shows little difference from such ratio studied in preceding research. But, the sex ratio of mixed gender increases a little. Lastly, the analytic result of th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mong students who contact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veals that compared with boy students, girl students have a very little higher awareness of it. This means that girl students have a relative positive way of thinking on gender equality appearing in PE textbooks, than boy students. But, the most average boy and girl students have their awareness that gender equality does not appear in PE textbooks. If we look back on this stern reality and make a systemic research and study on new curriculum and develop adequate standards on it, and furthermore, we change our awareness of textbooks in institutional terms, it can be expected that we would publish gender equality-focused textbooks, and students can have their right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once textbooks are published to advocate gender equality. And, it is required to make administrative, institutional and economic supports, as much as possible so that education on gender equality can be conducted by the government, school or textboo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