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원-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creator김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7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8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1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83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의 명시적 반영 형태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 기준틀을 만들고 이를 2007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새 교과서 과학 1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여러 가지 과학의 본성의 정의들 중 Lederman et al.(2002)가 말한 일곱 가지 과학의 본성을 중심으로 분석 기준틀을 제작하고 이러한 일곱 가지 본성이 얼마나 골고루 얼마나 명시적으로 반영되어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과학의 본성을 분석하는 기준은 Lederman et al.(2002)이 제시한 과학의 본성 일곱 가지 측면 (과학의 경험적인 본성 (Emperical nature of science knowledge), 이론과 법칙 사이의 차이와 관계 (Scientific theories and laws), 과학의 창의성과 상상력 (Creative and imaginative nature of science), 과학의 이론의존적인 본성 (Theory-laden nature of science knowledge), 과학의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측면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과학을 하는 방법의 다양성 (Myth of the scientific method), 과학의 가변적인 본성 (Tentative nature of science knowledge))에 근거하였으며 이러한 과학의 본성이 얼마나 명시적으로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절차는 먼저 예비 분석 기준을 선정하고 예비 분석 기준틀을 거쳐 최종 분석틀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2007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새 교과서 17종 과학1 물리영역을 중심으로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을 하는 방법의 다양성 (Myth of the scientific method)과 과학의 가변적인 본성 (Tentative nature of science knowledge)이외의 측면은 대체적으로 암시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영역별 편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on the level of explicit reflection of nature of science (NOS) in physics parts of the science textbooks publish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analysis framework revealing explicit reflection of NOS is based on seven aspects in the nature of science by Lederman et al. (2002): empirical nature of science knowledge, scientific theories and laws, creative and imaginative nature of science, theory-laden nature of science knowledg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myth of the scientific method, and tentative nature of science knowledge. In each aspect of NOS, we made the rubric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explicit reflection of science textbooks as 4 steps from 0 to +3 levels. In case of full explicit reflection, the textbook is +3 level, while 0 level in case of no reflection. It was found that the myth of the scientific method and tentative nature of science knowledge in the aspects of NOS tend to be more explicitly reflected than other aspects.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difference among the areas of science textbooks in levels of explicit reflection of NOS is rather bi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 문제 2 C.연구의 제한점 2 D.용어 정리 3 Ⅱ.이론적 배경 5 A.과학의 본성 5 B.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수 학습 방법 10 C.과학의 본성에 대한 연구 동향 11 Ⅲ.연구 방법 14 A.연구 절차 14 B.분석 기준 선정 16 C.최종 분석 20 Ⅳ.연구 결과 및 논의 31 Ⅴ.결론 및 제언 44 참고문헌 47 ABSTRACT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65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2007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과학 1 물리영역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의 명시적 반영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n the Explicit Reflec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Textbooks-
dc.creator.othernameKim, Ju Yeon-
dc.format.pagevii,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