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향숙-
dc.contributor.author최민선-
dc.creator최민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4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9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462-
dc.description.abstract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growing adolescents have suffered emotional, physical and social change to adapt to new situations and experience complex psychological crisis. Those kinds of crisis are mainly caused by education that focused solely on University entrance. There are many teenagers who focus on percipiency development of themselves in order to please their teacher and parents and to reach their academic standard while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left behind. For those teenagers the art class which makes them able to express themselves as it is als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m is very much in need In this study, I designed the art class to help increasing self-concept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Poster design class is advertising themselves by using parody to express individual personality and character offers an opportunity to be seriously addressed in depth reflection on identity. Parody technique used in this study reflects the youth interests. So, I believe that adolescence will become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class. The result of this teaching should be containing unique creations reflect his own idea through this makes it to cultivate a self-esteem. Therefore, this study using a parody poster design class of the middle 3rd grade intended to verify to improvement of self-concept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his purpose, we can examine the following subjects. First, the test group which was provided a parody based poster drawing program for a designated duration, shows more significant progress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erms of the self concept. Second, the test group, which was provided a parody based poster drawing program for a designated duration, show more significant progress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erms of self esteem. The methods us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design of the parody poster class based on the paradigm of secondary art education, adolescent self-concept and self-esteem were created. In this study, the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Ansan, Gyeonggi Province was involved. 70 students who had evaluated same level in self-concept and self esteem then, divided in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group consisted in 35 students. Second, as the assessment measurement, I modified the self-concept scale that was developed by Lee hunjin and Won huntaek (1995) and applied by Kim jeongwon in her thesis,’ The effect of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on adolescent's self-concept and self-esteem' (2007) personality, family, community, capacity) and Kim jeongwon (2007) and used the self-esteem scale that was developed by Rosenberg (1965) and adapted by Jeon byeongje (1974). And I conducted the evaluation of each student’s work as well as the evaluation by peers and student itself.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homogeneity of the pre-test, pre and post 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re and post test for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SPSS ver 12.0 self-concept and self-esteem scale of the pre-and post results t test for independent samples were conducted to draw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sing parody poster design class in the experimental group got 9.85 increased self-concept scores, for the control group got 1.55 increased score than before. It show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elf-concept much higher than the other. 6 Sub-area of the physical, moral, personality, self-concept of ability has been improved while Families and communities of the region did not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by using parody poster design class, self esteem scores of 3.50 points rose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rose 0.14 point. It proves that self esteem 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achieves better performance. In conclusion, using parody poster design art classes for 3rdgrade middle school student brought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concept and self-esteem as it demonstrated in the thesis. However, this study carried out with certain schools and minority students. So, it's hard to standardize and apply my argument in all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But, this study has been proven to bring positive effect I expect to see further research based on this by expanding the trials of teaching hours and sample group of student in order to improve youth’s self-concept and self-esteem.;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성장하고 있는 청소년은 그 사회에서 요구하는 문화, 규범, 가치관에 적응하기 위해 복합적인 심리적 위기를 경험한다. 이러한 청소년기의 위기는 우리나라의 대학입시에 초점을 두는 교육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청소년은 교사와 학부모의 학업성취 수준에 부응하기 위하여 인지적 발달에만 편중하고, 심리적으로 건강하고 성숙한 인격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청소년에게 심리적 위기를 완화시킬 수 있는 자기표현의 수단으로서의 미술 수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개성을 표출하여 그들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을 증진하는데 도움을 주는 미술 수업을 설계하였다. 자신을 광고하는 패러디를 활용한 포스터 디자인 수업은 청소년기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할 정체성에 대해 깊이 있게 반성하고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패러디는 청소년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는 요소를 반영한 것으로서 미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의 패러디를 활용한 포스터 디자인 수업을 실시하여 이러한 수업이 청소년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탐색을 하는 패러디를 활용한 포스터 디자인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전통적인 지도 방법에 의한 포스터 디자인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자기개념이 향상될 것이다. 둘째, 자기 탐색을 하는 패러디를 활용한 포스터 디자인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전통적인 지도 방법에 의한 포스터 디자인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을 통하여 청소년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중등미술교육의과 패러의 이해를 토대로 패러디를 활용한 포스터 디자인수업을 설계하고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안산시에 소재하는 G중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남·녀 학생 70명으로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에서 동일한 집단임이 검증된 실험집단은 35명, 통제집단은 35명으로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둘째, 실험 수업을 통하여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의 향상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한 자기개념척도는 이훈진과 원호택(1995)이 개발한 자기개념척도(하위 영역 : 신체, 도덕, 성격, 가정, 사회, 능력)를 김정원(2007)의 논문인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적용한 것을 본 연구에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척도는 로젠버그(Rosenberg, 1965)가 개발하고 전병제(1974)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학생 작품 결과물의 평가와 자기평가, 동료평가를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사,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통계처리는 SPSS ver 12.0을 사용하여 자기개념척도와 자아존중감척도의 사전·사후 결과를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패러디를 활용한 포스터 디자인 수업을 통해 자기개념 점수의 경우 실험집단은 9.85점, 통제집단은 1.55점 상승하여 실험 집단의 자기개념 향상도 차이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개의 하위영역 중 신체, 도덕, 성격, 능력 자기개념이 향상되었다. 가정과 사회 영역의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패러디를 활용한 포스터 디자인 수업을 통해 자아존중감 점수의 경우 실험집단은 3.50점, 통제집단은 0.14점 상승하여 실험 집단의 자아존중감 향상도 차이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패러디를 활용한 포스터 디자인 미술수업이 중학교3학년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특정 학교와 소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기 때문에 모든 중학교 3학년에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긍정적인 효과가 입증되었으므로, 앞으로 연구 대상과 수업 시수를 확장하여 청소년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양한 미술 수업의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의 방법 및 내용 3 Ⅱ.이론적 배경 4 A.청소년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4 1.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의 정의 4 2.청소년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9 B.중등미술교육과 패러디 12 1.중등미술교육의 이해 12 가.청소년 미술표현의 특징 12 나.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14 다.청소년 미술표현과 패러디 18 2.패러디와 포스터 디자인의 이해 19 가.패러디의 개념과 유형 19 나.패러디와 포스터 디자인 기법의 미술 교육적 의의 31 다.패러디를 활용한 포스터 디자인과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34 Ⅲ.연구방법 37 A.연구대상 및 절차 37 B.연구 도구 40 1.수업도구 41 2.측정도구 55 가.검사도구 55 나.평가도구 57 C.자료처리 58 Ⅵ.결과 및 논의 59 1.결과 59 2.논의 74 Ⅴ.결론 78 참고문헌 81 부록 85 ABSTRACT 1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7141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패러디 활용수업이 청소년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3학년 미술수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Art Class using Parody Technique : from the case of Art Class of the middle school 3rd grade-
dc.creator.othernameChoi, Min Sun-
dc.format.pagex, 1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