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8 Download: 0

공간 묘사력 신장을 위한 초등 미술감상지도 방안

Title
공간 묘사력 신장을 위한 초등 미술감상지도 방안
Other Titles
Elementary Art-viewing Teaching Mechanism to Develope Space Representation : Focusing on the Pseudo-Naturalistic Stage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향숙
Abstract
평면회화에 있어 아동의 공간묘사는 아동의 표현특성과 발달단계에 따라 다르게 표현된다. 공간묘사 발달단계에서 사실적 표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은 주관적이고 자기중심적인 표현에서 벗어나 주위환경의 변화에 개념을 갖고 눈에 비치는 현실을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형태에 가깝게 표현하려고 노력한다. 또한 기존의 평면적인 표현에서 벗어나 입체감을 내려고 시도하며, 원근법과 투시법 등 대상의 삼차원적 공간묘사에 관심을 가진다. 공간의 깊이를 인식하면서 가까운 것은 크고, 먼 것은 작게 보이는 현상과 가까운 물체가 멀리 있는 물체를 가려줌으로써 발생하는 대상간의 중첩현상에 대한 의식도 확실해진다. 따라서 초등학교 5, 6학년의 의사실기는 미술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기능이 섬세해지는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이시기에는 자신의 그림에 환멸 같은 것을 느끼게도 되는데, 이는 지금까지 그려왔던 방법이나 형식을 재현하려는 방식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보는 것과 나타내는 것 사이에서 표현의 위기를 맞이하게 되기 때문이다. 의사실기 아동의 논리적 사고의 성장은 아동들에게 객관적인 사실과 물리적 환경에 관심을 갖게 하고 보다 사실적인 표현을 시도하게 하지만 표현 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그림이 대상과 다르게 표현되었음을 인식하여 실망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급격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매스미디어의 확대로 시공간 개념 형성이 빨라지고 있으나, 시각발달에 부응하는 사실적 공간 묘사력의 부족으로 미술활동에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아동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아동들의 발달단계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초등학교의 경우 교사들도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미술 교육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아 사실적인 공간묘사 방법이나 공간감을 살릴 수 있는 표현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가 부족한 실정이다. 더욱이 현행 제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과 영역의 경우 초등학교 6학년 미술교과서의 관찰표현단원에서 서양 거장들이나 학생들의 풍경화 작품을 통해 삼차원의 공간묘사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있지만 동양의 공간묘사에 대한 관련 작품이나 이미지가 제시되고 있지 않아 동·서양의 균형 있는 공간개념과 공간묘사에 대한 이해를 가지기가 쉽지 않다. 동양의 전통적인 공간 표현이 일원시점에 의한 사실적인 공간개념을 다루고 있지 않아 지도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을 수 있으나 동양의 공간묘사는 서양의 공간묘사 원리와 함께 다루어져야할 중요 학습내용이다. 동·서양의 작품을 감상함으로써 다양한 공간묘사 방법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공간묘사가 무엇인지,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지를 학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사실기 아동의 공간묘사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공간묘사 관련 지도내용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여 지도 실태를 파악하고, 아동의 발달단계에 맞는 공간묘사 방법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에 동·서양 회화 작품 감상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6학년 미술과 공간묘사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의사실기 아동의 공간 묘사력에 미치는 영향과 실효성을 알아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술감상교육의 성격을 밝히고, 초등학교 5, 6학년 미술교과서의 공간묘사 관련단원을 분석하여 적합한 감상제재를 선정하였다. 둘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공간묘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인 ‘공간’ 개념과 동·서양 문화차이에 따른 ‘공간묘사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셋째, 감상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수-학습방법과 수업의 실제를 계획하였다. 넷째, 초등학교 6학년 대상에 적합한 공간 묘사력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다섯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여 사전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집단은 감상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미술수업을 각각 진행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여섯째, 감상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학생들의 공간 묘사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공간묘사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프로그램은 총8차시로 구성하였으며, 미술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6학년 미술교과서의 2단원 ‘관찰 표현’을 관련단원으로 설정하였다. 공간묘사 학습은 감상과 표현이 연계된 통합형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프로그램으로 계획하여 작품 감상이 단순히 작품의 이해와 감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표현 활동과 연계되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이에 따라 1~4차시는 작품 감상을 통해 동·서양의 원근표현방법을 이해하며, 5~7차시는 1~2차시에 학습한 공간묘사 방법을 활용하여 ‘교실풍경 그리기’ 활동을 한다. 8차시는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고 비평하는 시간으로 프로그램의 전반을 계획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송파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남녀 혼반 두 개의 학급이며 통제집단 28명, 실험집단 28명으로 총 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감상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미술수업을 실시하여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공간 묘사력 측정을 위한 실기평가도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미술과 교사용 지도서(교육인적자원부, 2002)와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의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예시평가도구 개발연구(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제작하였다. 평가문항과 각 문항의 평가기준은 교육전문가 1인, 초등 미술경력이 30년인 현직교사 1인으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상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실기평가의 주제표현 및 주제의 강조 영역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상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실기평가의 표현방법 및 표현의 효과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상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실기평가의 조형요소와 원리 및 공간묘사 영역에 해당하는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제집단 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 미술 감상지도방안에서 감상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의사실기 아동의 공간 묘사력 신장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감상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공간 묘사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교육적 효과를 검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아동들의 발달단계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교육과정을 보완하고 아동의 미술활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가진다.;As a painting, children's space representation is expressed differently by children's a representative character and developmental stage. In the space representative developmental stage, the en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Drawing Realism Stage are escaping from the subjective representation, and they started drawing a realistic and objective picture with concept of various surroundings. Moreover, the students tried to get out of plat space, and they have an interest with three-dimensional space. When they realized the depth of field, they will have solid sense of seeing such as near object is bigger than farther object, and farther object is hiding by near object, therefore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in the stage of the Pseudo-Naturalistic Stage, which is very important stage. The students have advance understanding and delicate sense of art in the stage. On the other hand, some students are disillusioned of their own paintings in the stage, because they cannot advance their painting method what they are used to using, so their paintings are not well represented what they seeing. In the Pseudo-Naturalistic Stage, the growth of logical thinking of children makes them to get interest on objective fact, physical environment and realistic representation. However, they are disappointed with their own painting, when they realized that their painting is not similar with what they seeing. Furthermore, in the 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ss media, children's visual sense is growing faster than ever, but their painting representative skill is not catch up their visual sense, so many children have negative perception about artistic activity. There is no reasonable instruction consideration for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not having professional education of art, so they cannot teach realistic space or effective space representation to student. Moreover, the Fine Art Program in the seventh Education Program is teaching three-dimensional space with famous western painters' paintings or student's landscape paintings, but the Program does not mention about eastern paintings' formula. Therefore, students cannot have a chance to know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painting's concept of space. However, teachers might think that eastern painting does not need to teach because it does not have the realistic space concept; eastern painting should instructed with western painting. Students can understand various space descriptions by appreciating eastern and western paintings, and students can learn what the objective realistic space representation is, and how they can draw the space. This study concentrate on space representation of children in the Pseudo-Naturalistic Stage, research at present instruction condition about space description of fine art by analyzing the school textbook and find out reasonable space representation educational method adopting for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space representation skill of fine art for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understanding the differentness and similarities of eastern and western painting's space description formula, space concept by appreciation with representative activity. The context and method for complete this study is the following. First, make clear that the intention of the fine art education and appreci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and pick an appropriative appreciation material by analyzing fifth and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 about space representation. Second, this study considered about space representation principal and method by differences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 and space concept the most important point of describing space by researching literature. Third, this study developed teacher-educating program for appreciation class, and planning to teacher educating program and teaching class method. Fourth, this study developed space representation measuring tool for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fth, setting up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doing homogeneity trial. The experimental group tried by teacher educating program for appreciation class, and traditional fine art class tests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post-inspection executed. Sixth, for analyzing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l group,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program is used. The teacher educating program for growing space representation ability is planned to eight times of class, and based on the analyze of the fine art textbooks,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fine art textbook's 2nd chapter 'observation representation' is set up related chapter of the study. The space representation instruction is the teacher-educating program, which is combining with appreciation and representation of fine art, and the appreciation in the space representation instruction is not only understanding or seeing of a painting. Consequently, first to firth class are understanding eastern and western painting's perspective method by a painting appreciation, and fifth to seventh class are doing 'painting classroom' activity with space representation method done at first and second class. Eighth class is appreciation and comment on each other's paintings in the class. The subject of study is the two clas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which is consist of boy and girl students in Songpa-gu, Seoul.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re organized by 28 student each, so 56 students are participated the study totally. The effect of the study was tried by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structed by teacher-educating program for appreciation class, and the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by traditional appreciation and representative activity of fine art. The testing tools for measuring space representation ability was developed by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fine art text book for teacher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2) and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ducation's curriculum 7th edition (Jung Gyu Hyang, 2001) as a reference. The appraise questions and a valuation basis of the questions are authorized by the education expert and an incumbent fine art teacher, who has thirty years carrier.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e following. First, the subject representation and subject emphasis items of the practical examination, the experimental group gets more score than control group. Second, the representation method and effective representation items of the practical examination, the experimental group gets more score than control group. Third, the artistic element, principle and space representation items of the practical examination, the experimental group get more score than control group. Finally, teacher-educating program for appreci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is very effective to increase space representation ability of children, who is in the Pseudo-Naturalistic Stage. Thus, this study verified educational effectiveness to children's space representation ability using teacher-educating program for appreciation class. Further giving a well-organized educational instruction with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characteristics can be a basic data for complement the curriculum and understanding of children's artistic ac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