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0 Download: 0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 Korean Dietary Pattern Score)의 개발과 적용

Title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 Korean Dietary Pattern Score)의 개발과 적용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Dietary Pattern Score(KDPS) and Its Application
Authors
이경원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미숙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Korean Dietary Pattern Score(KDPS) to assess dietary pattern and diet quality of Koreans from food culture point of view. The KDPS was applied to dietary data collected dur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of 2007,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DPS were evaluated. The target of the study included 2,278 Korean adults aged between 20 and 89. The KDPS was developed using the total sum of the scores of 13 components, that each component scores up to 10 points and 130 points in total. The component numbered 1 to 7 for the Korean-Style Meal Score(KSMS) assessed the dietary balance based on the 3-Chup Bansang daily basic table setting. The component numbered 8 to 13 for the Food Group Score(FGS) measured one's degree of compliance with the 6 major food groups intake based on the Korean recommendation for one serving size: grain, meat, vegetables, fruit, milk, and oil. This KDPS was verified through content validity, concurrent-criterion validit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s a result, cont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were high. Total KDP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 appeared higher in men than that of women in average. In addition, the higher personal income, and more intake of supplements resulted in higher KDPS. Those who used to be a smoker in the past but currently non-smokers, also showed a high total KDPS. Therefore, gender, age, smoking status and BMI have shown to be the meaningful predictors of the KDPS. When the diversity of food intakes according to total KDPS was examined, Food Variety Score(FV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sequence of upper group, middle group and lower group. The diversity of food intakes also resulted higher in the upper group.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KSMS and the KDPS, the wider diversity of food intakes became. When the total KDPS and disease risk degree were evaluated, higher total KDPS dropped the elevated systolic blood pressure(p=0.02) and the risk of hypercholesterinemia(p=0.03). Also, as the KSMS increased, the risk of central obesity(p=0.02), hypertension(p=0.003) and hyperlipidemia(p=0.02)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Therefore, the higher total KDPS means the more diversity of food intakes, the higher quality of diet and the lower risk of disease. The KDPS developed in this study reflected the adherence to Korean dietary pattern and the amount of healthy diet intake. Also,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an integrated index by scoring the Korean style table setting in addition to meal evaluation from nutrition perspective. In conclusion, the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is appropriate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diet, adherence to Korean style meal pattern and risk of related diseases. This expects to be conducive for judging the nation’s diet pattern, nutrition and health status when planning nutrition policy and programs. In the future project, this study can be extended to develop of score for assessing lifetime Korean style dietary pattern and quality of meal.;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식의 특징과 문화를 반영한 식사패턴을 지수화하여 개발하고, 이것의 타당도를 검증하여 현재 한국인의 식생활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식 식사패턴 및 식사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인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 Korean Dietary Pattern Score)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한국 성인 남녀 2,278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지표를 적용하였다. 한국식 식사패턴 및 식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인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는 3첩 반상과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을 기본으로 하여 총 13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항목별로 10점을 만점으로 하여 130점을 총점으로 한다. 1번-7번 항목은 한국식 식사 구성 점수(KSMS: Korean-Style Meal Score)로 구성되었으며 한국인의 식사의 기본이 되며, 한식 상차림의 기준이 되는 3첩 반상을 기초로 하여 ‘얼마나 한국식으로 균형 있게 섭취하는가?’를 측정하였다. 8-13번 항목은 식품군 점수(FGS: Food Group Score)로 ‘각 식품군을 얼마나 한국인의 권장 1인 1회 분량에 적합하게 섭취하는가?’를 평가하였다. 개발된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는 내용타당도와 동시적 준거 관련 타당도, 주성분 분석, 그리고 신뢰도 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 총점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총점은 60대에서 가장 높았고, 20대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국식 식사 구성 점수(KSMS)는 평균 점수가 20대에서 가장 낮아 20대가 가장 한국식 식사 구성을 따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품군 점수(FGS)는 30대의 연령군에서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아 한국인의 건강식 섭취 기준 대비 가장 적절하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 총점은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았고, 개인 소득이 높아질수록, 보충제를 복용하는 사람일수록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 총점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 흡연을 했으나 현재는 흡연을 하지 않는 사람의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 총점이 높았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 성별, 연령, 흡연 여부, 체질량지수는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의 유의적인 예측인자(predictor)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KDPS 총점에 따른 식품 섭취의 다양성을 살펴본 결과, 식품 섭취 다양성 점수(FVS: Food Variety Score)는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 총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상위군, 중위군, 하위군의 순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한국식 식사 구성 점수(KSMS)에 따른 식품 섭취 다양성 점수 역시 점수가 높은 상위군으로 갈수록 식품 섭취 다양성 점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즉, 한국식 식사 구성 점수(KSMS)가 높을수록,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가 높을수록 섭취하는 식품이 다양하였다.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 총점과 질병 위험도를 살펴본 결과,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 총점이 증가할수록 elevated systolic blood pressure(p=0.02)와 고콜레스테롤혈증(p=0.03)의 위험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한국식 식사 구성 점수(KSMS)와 질병 위험성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한국식 식사 구성 점수(KSMS)가 증가할수록 복부 비만(p=0.02)과 고혈압(p=0.003), 그리고 고지혈증(p=0.02)의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 총점이 높아질수록 식품 섭취 다양성이 증가하고, 식사의 질이 높아지며, 질병의 위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한식 식사패턴 지수(KDPS)는 한식 식사패턴을 유지하는 정도와 건강식의 섭취 정도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 음식 문화의 특징인 한식 상차림을 점수화함으로써 기존의 영양학적 관점에서의 식사 평가 외에 문화적 측면에서 한식의 특징을 반영한 통합적 지표를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표는 한국식 식사패턴, 식사의 질 및 질병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하였으며, 영양 정책 수립 시 현재 국민의 식사 패턴과 영양 및 건강 상태를 판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앞으로 전 생애주기의 한국식 식사패턴 및 식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