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0 Download: 0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한 서울 지역 초등학교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조사

Title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한 서울 지역 초등학교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Seoul Elementary Schools
Authors
이순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My thesis is a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Seoul elementary schools, with a focus on how they can be improved and what demands the related groups have. I researched and analyzed the importance of these programs and satisfaction within Seoul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their parents. Using these data, I will explore the goals and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eir operation methods and targets, as well as the categories with particular need for improvement in each area. In the first chapter, I will explain the objectives of my research and why it is important, and briefly introduce related research conducted in the past. I will also pose two problems as specific guidelines for my research. The first will uncover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their goals and content, operation methods and targets, I will investigate the demands that related groups have by dividing the results into categories of maintenance, concentration, low satisfaction and excess. I will also use this information to determine which areas are in particular need of improvement. The second problem is to explore the specific demands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attained through extensive interviews. The second chapter serv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my thesis, where I will briefly introduce the history and defin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neral and in Korea. I will also introduce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I used to analyz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PA is a method that allows for simultaneous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roducts and services. Users evaluate the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preceding actual usage, followed by an assessment of performance to achieve a relative measurement. This method evaluate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roducts and services in two dimensions and divides the results into four categories, allowing for a comprehensible indication of areas in immediate need of improvement and areas where excess investment can be seen. The four categories are divided as follows: products and services in Group 1 are high in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user satisfaction); Group 2 is high in importance but low in performance, requiring immediate improvement and concentrated investment in order to make full use of limited resources; Group 3 is low in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making it an area that does not require immediate attention; and Group 4 is low in importance but high in performance, making it necessary to reconsider the amount of effort used in this area, for this effort may help improve the other areas if used otherwise. In the third chapter, I will describe the content of my research and the methods used to conduct it. I will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of information regarding those who took part in my surveys and interviews, the questions they were asked to answer and their credibility, and the methods used to analyze their answers. I will also describe my research process, comprising a preliminary survey and main survey, and explain how I gathered the necessary material. The fourth chapter presents the results of my research. Because performance can only be evaluated after a product or service has been used in the IPA method, it was impossible to gather data from teachers who had no experience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ese teachers were only asked to evaluate importance, and I proceeded to compare the importance assessments of teachers with and without exposure to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e result was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se groups, whether the area in question be the goals and content of these programs, or their operation methods and targets. When the same analysis was applied to teachers,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their parents, the following areas were indicated as requiring especial attention. Teachers felt a need for improvement in the areas of Korean education, reinforcement of self-identity, adaptation to school life, extracurricular activities both in and outside of school, and awareness of school teachers. Parents felt that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bilingual and Korean education, and raising awareness among the entire student population. Students revealed that their only concern was in the area of bilingual education. Extensive interviews showed that the main demands of these groups include reconsideration of self-identity, reinforced bilingual education, expan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argets, standardized assistance, and establishment of a practical communication system. The final chapter summarizes the results of my research and presents its importance and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I think my research is significant for two reasons. The first is that I have made clear the problem areas in today's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through careful research and analysis, providing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effectively sort out priorities. Interest in and assistance towards multi-cultural education are continuing to increase, and I hope that my research will contribute to further support. Second, I have posed the importance of educating the majority to breed understanding of minorities. In order for our society to truly become one, it is necessary for everyone to reinforce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identity from medium- and long-term standpoints. Through my research and analysis, I came to understand that emphasizing the adaptation of minorities to society is not enough; identity education including bilingual education must be achieved for minorities, but this cannot be complete without the raised awareness of our society as a whole.;본고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의 교사 및 다문화가정의 학부모, 학생 등 교육 주체를 대상으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해,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및 내용, 운영 대상, 운영 방법 등에 관한 실태를 살펴보고, 각 영역 중 중점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교육 주체의 요구는 어떠한지 살펴본 연구이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해 기술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정리한 뒤, 2가지 연구 문제를 도출했다. 연구문제 1은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및 내용, 운영 대상, 운영 방법 등에 대해 교육 주체를 대상으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여 각 영역별로 유지, 집중, 낮은 순위, 과잉에 해당하는 영역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었고, 이를 통한 세부 연구문제 1-1은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육 주체가 중점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영역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문제 2는 심층 면담을 통해 교육 주체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봤는데, 먼저 다문화교육의 배경 및 정의, 한국의 다문화교육 등에 관해 정리했다. 그리고 본고에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기 위해 활용한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에 대해 살펴봤다. IPA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 전에는 각 속성의 중요도, 이용 후에는 만족도를 이용자 스스로가 평가하게 함으로써 각 속성의 상대적인 중요도와 만족도를 동시에 비교․분석하는 평가 기법이다. 이 기법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중요도와 만족도의 두 가지 차원에서 평가하고 그 결과를 사분면에 나타내어,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영역이나 과잉 투자되고 있는 영역에 대해 고도의 학문적 지식 없이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각 사분면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사분면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은 영역으로, 이용자에게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는 만큼 공급자는 높은 만족도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영역이다. Ⅱ사분면은 중요도는 높은데 비해 만족도가 낮아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영역이다.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 영역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Ⅲ사분면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게 나타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고려할 대상이 아니다. 만족도가 낮을지라도 현재 이상의 노력은 불필요한 영역에 해당한다. Ⅳ사분면은 중요도가 낮은데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현재의 노력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 영역이다. 이 영역에 투입되는 노력을 다른 영역에 집중시킨다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Ⅲ장에서는 연구 내용 및 방법에 대해 기술했다. 중요도-만족도 분석 및 심층 면담에 참여한 연구 대상에 관한 정보와 설문지 구성 내용 및 신뢰도, 설문지 분석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했다. 또한 두 차례에 걸친 예비 조사와 본 조사의 자료 수집 과정을 기술했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중요도-만족도 분석에서 만족도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한 후에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교사 중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만족도 조사가 불가능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중요도에 대한 조사만 실시했고, 이후에 다문화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별 중요도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 봤다. 분석의 결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및 내용, 운영 대상 및 운영 방법의 모든 영역에서 다문화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 및 다문화가정 학부모, 학생 등 각 교육 주체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및 내용, 운영 대상, 운영 방법에 대해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중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된 영역은 다음과 같다. 교사는 목표 및 내용 중 한국어 교육, 자아 정체성 강화, 학교생활 적응, 운영 방법 중 교과 시간 및 교과 외의 특별, 재량 활동 시간을 통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내부 교원에 의한 다문화교육에 대해 집중 개선이 필요하다고 봤다. 학부모는 목표 및 내용 중 이중언어교육과 한국어 교육, 운영 대상에 대해서는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교육에 대해 집중 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 학생의 경우는 목표 및 내용 중 이중언어교육에 대해서 집중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심층 면담을 통해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주체의 요구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 정체성에 대한 재고 및 이중언어교육, 다문화가정의 한국인 부모 및 미취학 자녀를 대상으로 한 교육, 다수자 대상의 소수자 이해 교육, 표준화된 지원 기준 및 정보 전달체계의 마련 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본고의 의의 및 제안점을 기술했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첫째, 각 교육 주체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해 현 단계에서 집중 개선이 필요한 영역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효과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일조했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각 부처의 관심과 지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볼 때, 효율적인 지원을 위한 자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심층 면담을 통해 중요도-만족도 분석 결과의 의미와 도출 배경을 살펴 다수자 대상의 소수자 이해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었다. 진정한 의미의 사회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다문화 정체성’의 개념을 공고히 하고, 소수자의 적응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이중언어교육을 포함한 소수자 정체성 교육과 다수자를 대상으로 하는 시민 의식 교육이 함께 이뤄져야 함을 강조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