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성찰일지 작성 여부와 소집단 구성 방식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쓰기 성취도의 차이

Title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성찰일지 작성 여부와 소집단 구성 방식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쓰기 성취도의 차이
Other Titles
Effects of Writing Reflection Journal and Type of Grouping on Self-Efficacy and Writing Academic Achievement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영주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수업에서 자신의 학습에 대해 돌이켜 보는 성찰일지 작성의 유무와 학습자의 영어 쓰기능력 수준에 따른 소집단 구성방식에 의해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영어 쓰기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생 220명을 대상으로 사전 자기효능감 및 영어쓰기 능력을 측정하여 성찰일지 작성 여부와 소집단 구성방식에 따라 네 종류의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성찰일지 작성 집단은 매 수업 후 성찰일지를 작성하고 이에 대해 교사가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소집단은 학습자의 사전 쓰기능력을 기준으로 동일한 수준의 학습자가 모인 동질집단과 상이한 수준의 학습자가 모인 이질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영어 1 ~ 3단원의 내용을 기반으로 주당 2시간씩 6주간 총 12차시의 수업을 하였으며 수업 종료 후 사후 자기효능감과 영어 쓰기성취도를 측정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질집단은 이질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더 증진되었고 영어 쓰기성취도의 증진도 더 컸다. 성찰일지의 작성집단은 작성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쓰기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writing reflection journal and types of grouping(homogeneity group or heterogeneity group) on self-efficacy and writing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For this study, 220 elementary sixth grade students(eight classes) in Seoul participated. The self-efficacy pretest and English writing pretest were taken prior to the study. Based on the English writing pretest, classes were divided into four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Two classes wrote the reflection journal and were organized as homogeneity group(n = 50), two classes wrote the reflection journal and were organized as heterogeneity group(n = 51), two classes did not write the reflection journal and were organized as homogeneity group(n = 52), two classes did not write the reflection journal and were organized as heterogeneity group(n = 52). During six weeks, students learned twelve lessons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 textbook. The experimental groups, which were designed to write the reflection journal, wrote it twelve times and received feedback on each one. After six weeks, all the students took self-efficacy post-test and English writing post-test.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data was two-way ANOVA. As a result to this experiment, we can find writing a reflection journal increases English writing achievement. In types of grouping, homogeneity group increases self-efficacy and English writing achiev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