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 역할, 사회적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Title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 역할, 사회적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 among Tutors' Roles Perceived by Learners,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in Web-Based Online Discussions
Authors
이주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명희
Abstract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급속한 인터넷의 확산으로 온라인 학습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친숙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 학습에서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는 과정을 통해 각기 다른 구성원의 다양한 시각을 접할 수 있는 토론활동이야말로 인터넷을 통한 가상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Harasim, 1990). 온라인 토론학습에서는 학습자들이 토론을 통해 심리적 고립감을 극복할 수 있고, 적극적인 학습참여와 활발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학습촉진 및 관리의 지원이 필요하다(Collins & Berge, 1995). 이러한 학습촉진과 관리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활동 중 학습촉진에 밀접하게 영향을 주는 것이 바로 튜터이다(Berge, 1995). 따라서 웹기반 토론학습의 특성을 잘 알고, 학습자들이 활발하게 토론하며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 토론을 포함한 전반적인 학습 활동에 대해 관심과 지식이 있고, 웹의 발전된 기술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전문적으로 학습촉진 및 관리를 지원하는 튜터가 필요하다. 튜터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보면 튜터 역할 및 역량 규명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튜터 역할을 하나의 변인으로만 보고 이러한 튜터 역할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이 대부분이다(임정훈, 1999; Romiszowski & Mason, 1996; 임병노, 200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규명된 세분화된 튜터 역할이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튜터의 세분화된 역할이 사회적실재감과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 역할(교수적, 사회적, 관리적, 기술적 역할)은 사회적실재감과 학습성과(참여도, 만족도, 성취도)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가? 2.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 역할(교수적, 사회적, 관리적, 기술적 역할)은 사회적실재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3.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 역할(교수적, 사회적, 관리적, 기술적 역할)은 학습성과(참여도, 만족도,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4.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 역할(교수적, 사회적, 관리적, 기술적 역할)이 학습성과(참여도, 만족도, 성취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사회적실재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본 연구는 2010년도 1학기 K 원격대학교 평생대학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재학생이 모두 포함된 전공 필수 과정 2과목을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간호학과에 개설된 모든 과목은 100% 온라인 강의로 이루어지며, 각 과목당 1명의 튜터가 참여하여 토론수업으로 진행되었다. 최종적으로 71명의 학습자의 설문결과와 참여도, 성취도가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과 다중공선성 분석, 다중회귀분석, Judd와 Kenny(1981)가 제시한 매개분석 방법(mediat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 역할과 사회적실재감, 그리고 학습성과인 참여도, 만족도, 성취도 간의 상관분석 결과, 튜터의 기술적 역할을 제외하고 각 변인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성립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여도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낸 변인은 사회적실재감(r=.764, p<.05)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튜터의 사회적 역할(r=.559, p<.05), 관리적 역할(r=.516, p<.05), 교수적 역할(r=.488, p<.05) 순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인은 사회적실재감(r=.881, p<.05)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튜터의 사회적 역할(r=.667, p<.05), 교수적 역할(r=.620, p<.05), 관리적 역할(r=.595, p<.05) 순으로 나타났다. 참여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인은 사회적실재감(r=.718, p<.05)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튜터의 사회적 역할(r=.570, p<.05), 관리적 역할(r=.568, p<.05), 교수적 역할(r=.499, p<.05)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 역할이 학습성과를 예측하는데 사회적실재감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각의 결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의 사회적 역할은 참여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β=.559, p<.05), 만족도(β=.667, p<.05), 성취도(β=.570, p<.05)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의 사회적 역할과 사회적실재감을 회귀식에 투입하였을 경우 매개변인인 사회적실재감이 참여도(β=.934, p<.05), 만족도(β=1.021, p<.05), 성취도(β=.763, p<.05)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 역할이 학습성과를예측하는데 있어 사회적실재감의 매개효과가 증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튜터가 친밀하고 사회적인 환경 조성을 통해 학습자들 간의 인간관계를 촉진시키고, 학습자의 학습공동체의 존재에 대한 인식을 강화시켜 고립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통해 사회적실재감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온라인 환경에서 사회적실재감과 참여도, 만족도, 성취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을 밝힌 선행연구의 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튜터 역할과 사회적실재감 간의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증명하여 튜터 역할과 학습성과, 사회적실재감과 학습성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기존의 연구에서 튜터 역할, 사회적실재감과 학습성과 간의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튜터 역할과 학습성과 및 사회적실재감과 학습성과의 관계에 관해서는 기존 연구들을 통해 어느 정도 밝혀졌지만, 사회적실재감이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 역할과 학습성과 간의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관하여 규명된 바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 역할의 하위요인 별로 학습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사회적실재감을 통하여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 역할이 학습성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힌 데에 그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온라인 토론환경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 역할이 사회적실재감과 학습성과를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작용하며,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 역할이 사회적실재감을 통하여 학습성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과 이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K 원격대학교 평생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 71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모두 여성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여학생들은 동성소집단에서 수업환경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이것은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한다(김선자 외, 2007). 여학생들의 이러한 성향은 학습자들이 함께 협동하여 고제를 달성해 나가는 온라인 토론학습 상황에서 유리하게 작용했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참여자 집단을 혼성으로 구성해서 검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들에게 자기보고식(self-report) 설문지에 대한 응답 자료를 통해 변인 간의 관계를 추정하였다. 자기보고식 설문지는 다양한 관점에서 개개인의 개인차 정도를 추론하고 설명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나, 수집된 자료가 연구대상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설문결과에만 의존한 연구결과 도출이 갖는 근본적인 한계를 갖는다. 특히, 본 연구에서 토론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한 구성원 각자의 응답이 개인적인 인식에 근거한 결과라는 점에서 토론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을 정확하게 보여주지는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검사 방법을 통해 본 연구 결과를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참여도를 측정 시 토론방에 게시된 글의 수만으로 참여도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참여도에 대한 객관적인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참여도 분석에 있어 양적인 데이터와 더불어 전문가 관찰, 심층 면접 등을 통한 질적인 데이터의 보안적 분석을 통해 본 연구결과를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what kind of impact segmented tutors' roles would have on learners' learning outcomes and social presence in web-based online discussion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Are th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tutors' roles(instructive, social, managerial, and technical roles) perceived by learners and their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web-based online discussions? 2. Do tutors' roles(instructive, social, managerial, and technical roles) perceived by learners significantly predict learners' social presence in web-based online discussions? 3. Do tutors' roles(instructive, social, managerial, and technical roles) perceived by learners significantly predict learners' learning outcomes(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web-based online discussions? 4. Does social presence work as an intervening variable as tutors' roles(instructive, social, managerial, and technical roles) perceived by learners predict learning outcomes(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web-based online discussions? The subjects were total 71 students attending the Graduate School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Nursing Department at K Distance College for the first semester of 2010. Their survey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with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collinear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using Judd and Kenny steps(1981).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the tutor's roles perceived by the learners,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during online discussion study. As a resul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ll the variables except for the tutor's technical roles. Participation ha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presence(r=.764, p<.05), which was followed by the tutor's social roles(r=.559, p<.05), managerial roles(r=.516, p<.05), and instructive roles(r=.488, p<.05) in the order. Satisfaction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social presence(r=.881, p<.05), which was followed by the tutor's social roles(r=.667, p<.05), instructive roles(r=.620, p<.05), and managerial roles(r=.595, p<.05) in the order. And participation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social presence(r=.718, p<.05), which was followed by the tutor's social roles(r=.570, p<.05), managerial roles(r=.568, p<.05), and instructive roles(r=.499, p<.05). Secondl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ocial presence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prediction of the tutor's roles perceived by the learners for learning outcomes during online discussion study. To elaborate, the tutor's social roles perceived by the learners significantly predicted participation(β=.559, p<.05), satisfaction(β=.667, p<.05), and achievement(β=.570, p<.05). When the tutor's social roles perceived by the learners and social presence were put in a regression equation, the mediating variable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participation(β=.934, p<.05), satisfaction(β=1.021, p<.05), and achievement(β=.763, p<.05). Thus it was proven that social presence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prediction of the tutor's roles perceived by the learners for learning outcomes. The result indicates that tutors can increase learners' social presence by promo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learners with an intimate and social environment and preventing them from developing a sense of isolation by reinforcing their percep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 result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line as the previous studies that report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ocial presence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an online environment. Thus it was proven that social presence performed full mediation. Tho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re are close connections between tutors' roles and social presence and have implications for the previous studies that reported close relations among tutors' roles,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resulting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subjects were 71 students attending the Graduate School of Lifelong Education at K Distance College and all female, there can be limitations with the generalization of the findings. In future study, they need to test the results with a mixed subject group of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Second, the study estimated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based on the responses of the subjects'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calls for a need to confirm the findings through more diverse testing methods. Finally, the subjects' participation was measured only with the number of postings in the discussion room, which can raise difficulty with examining participation objectively. Thus there should be supplementary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through exper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in addition to quantitative data to confirm the resul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