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0 Download: 0

코퍼스를 활용한 연어(collocations) 학습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코퍼스를 활용한 연어(collocations) 학습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Corpus-based Learning on Korean EFL Learners' L2 Vocabulary Proficiency
Authors
손유경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In recent years, the use of linguistic corpora in the field of corpus linguistics has increased rapidly over the last few decades due to revolutionary developments of the computer. With corpus-based research, the use of native English corpora in the design of syllabus and teaching materials for English language teaching has expanded as well at the same time. The belief that better descriptions of authentic native English would make yield syllabus and teaching materials for English language teaching is the main reason of this wide use of linguistic corpora. In particular, the growing interest in linguistic corpora has brought to the fore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which refer to fixed word combinations, that is, strings of words that conventionally appear together. In spite of the usefulness of linguistic corpora, the actual use of copora in language classroom is quite limited yet. Therefore,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orpus-based post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especially grammatical collocations, of Korean EFL learners in an attempt to link corpus linguistics and EFL language classroom. For this study, a total of 68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a two-week session of either explicit corpus-based learning only or explicit corpus-based learning with a corpus-based post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matching, followed by formative tests and two post-tests. Both groups also answered the attitude-questionnaire toward corpus-based learning.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effects on short-term memory was not significant compared both groups regardless of students' level despite vocabulary acquisition. Second, in long-term memory, the corpus-based post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corpus-based learning group without any post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Especially, the effects of long-term memory was significantly high on lower students. This result provides evidence that corpus-based post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is effective in longer vocabulary retention by relating target vocabulary to relevant established entities in cognitive structure. Especially, lower-level students have a chance to review and consolidate their learning through exercise. Therefore, well-designed corpus-based post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is required to achieve highly effective vocabulary acquisi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cated that the attitude toward corpus-based learning were significantly positive. Both groups, especially the corpus-based post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group, answered that corpus-based learning was helpful in remembering vocabulary meanings longer. However, some expressed difficulties about the heavy cognitive load and the time-consuming aspect of corpus data because of their lack of language proficiency. Although lower-level students may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corpus data, they said they can still benefit from exposure to target vocabulary through corpus data. Also, there were answers that the matching activity was rather boring and confusing.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various and well-designed corpus-based vocabulary activities is necessary to facilitate learners' vocabulary acquisition.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corpus-based post vocabulary learning can be crucial in EFL context where the exposure to natural language is extremely limited. With paying great attention to the students' levels of language proficiency and our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it is required to develop corpus-based teaching material and syllabus which can enrich the learning proces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nglish pedagogic corpus which can be an effective input in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Lastly, further corpus-bas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constantly to provide insight of the pedagogical implication to language teaching and teachers.;최근 수십 년 동안 컴퓨터 기술의 눈부신 발달과 함께 언어 연구에도 컴퓨터의 역할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코퍼스의 발전은 방대한 양의 언어를 아주 짧은 시간 내에 손쉽게 검색하여 각 어휘들 간의 실질적인 결합 양상과 어휘 빈도수를 알아낼 수 있게 하였다. 코퍼스 기반 언어 연구들의 긍정적인 기여에 힘입어 코퍼스를 교실 환경의 언어 교수-학습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관심도 더불어 증대되어 왔다. 코퍼스를 활용하여 언어 교수 학습을 설계하고 언어 학습 자료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많아지고 있다. 이렇게 언어 교육에서 코퍼스가 각광 받고 있는 이유는 코퍼스 자료가 학습자들에게 목표 언어에 대한 충분한 실증적인 예시들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특히 코퍼스는 원어민 화자들이 오랫동안 사용해 온 사회·문화적인 언어 관습으로 임의적인 결합에 의해 형성된 연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코퍼스의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코퍼스 관련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로 그 연구 실적이 미비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교사들도 그들의 수업에서 코퍼스를 거의 활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 68명을 대상으로 4차시 동안 총 20개의 문법적 연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명시적으로 코퍼스만 학습한 집단과 명시적으로 코퍼스 학습 후 매칭을 통한 후행 학습활동을 실시한 집단을 비교하여 코퍼스 학습 활동에 따라 혹은 학습자 수준에 따라 영어 어휘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왔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때 본 연구자가 학습자의 수준과 학습 목표를 고려하여 사전에 가공한 코퍼스 학습 자료를 유인물로 제작하여 제공하였다. 단기적인 어휘 학습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매 차시 마다 수업 직후 단기기억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각 마지막 수업이 종료 1주 후와 3주 후에 중간 장기기억 평가와 장기기억 평가를 실시하여 장기 기억의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사후 설문을 실시하여 코퍼스 기반 어휘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인 반응도 알아보았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퍼스 학습활동이 학습자의 단기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어휘력 향상이 이루어지긴 했지만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각 집단의 상․하위 수준 학습자들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두 집단 모두 어휘력 향상이 이루어지긴 했지만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것은 교사의 명시적인 설명과 함께 목표 연어에 대한 용례를 알 수 있는 다양한 코퍼스를 제시하는 것만으로도 코퍼스 기반 학습이 단기적인 언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코퍼스 학습활동이 학습자의 장기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사전평가에 비해 어휘력 향상이 이루어졌으나, 매칭 활동을 이용해 코퍼스 기반 후행 학습활동을 한 집단이 학습한 연어를 장기적으로 더 오랫동안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코퍼스 기반의 후행 학습활동이 상․하위 학습자의 연어 학습에게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학습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두 집단의 상․하위 학습자 간의 장기 어휘 학습 효과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퍼스 제시 후 매칭 활동을 통한 후행 학습활동이 상․하위 학습자 모두에게 장기적으로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망각 정도에 있어서 코퍼스와 후행 학습활동을 함께 제시하는 것이 하위집단에게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상위 학습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해도와 같은 학습 속도가 느린 하위 학습자들이 후행 학습활동을 통해 여러 번 동일한 코퍼스에 노출됨으로써 연어를 더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셋째, 코퍼스 기반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반응을 살펴본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이 코퍼스의 어휘 학습 기여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하위 학습자들이 상위 학습자들에 비해 더 우호적이었다. 또한 어휘를 장기적으로 기억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두 집단 모두 응답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학생들의 수준을 감안하여 미리 코퍼스 자료를 가공하여 제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당 수의 학생들이 자료 분석과 생소한 단어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했다. 따라서 코퍼스 자료를 진정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학습자의 수준과 학습 목표에 맞게 교사가 미리 편집해서 준비함으로써 코퍼스 자료가 학생들에게 인지적․정의적으로 큰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 수업 시간과 자기주도학습에서 코퍼스 활용 의향을 묻는 응답에서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앞으로 코퍼스를 이용한 수업을 더 많이 시도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코퍼스 학습 방법이 연어 학습과 영어 교육 분야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학습 시 사전적 의미만을 명시적으로 언급하는 것 보다는 목표 어휘의 실제 용례를 보여줄 수 있는 코퍼스를 제시하여 자연 언어에 많이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코퍼스 학습활동에 따라 학습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코퍼스 학습활동을 고안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 시키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면, 학습자 수준에 맞는 코퍼스 학습 활동을 사용하거나, 소집단 활동과 같은 창의적이고 다양한 학습 활동을 접목한다면 어휘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의 농동적인 참여를 유발함으로써 모든 수준의 학습자들로부터 코퍼스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습자들의 언어 수준과 교육 환경에 적합한 영어 교육용 코퍼스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하여야 한다. 학년 단계의 수준에 적합한 교육용 코퍼스의 구축은 언어 학습에 있어서 교실 내에서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에도 큰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실제 영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교육용 코퍼스의 개발과 다양한 언어 발달 단계에 적합한 코퍼스를 활용한 학습 활동이나 수업 모형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교사는 우리나라 교육 환경과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 맞게 코퍼스의 양과 길이를 적절히 통제하여 점진적으로 코퍼스를 활용한 학습에 학습자들이 익숙해지도록 지도함으로써 다양한 문맥에서의 어휘 사용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결국 코퍼스를 활용한 체계적인 수업 모형과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은 연어 지도의 효과를 극대화 시켜 학습자들로 하여금 성공적인 의사소통능력을 갖출 수 있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