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3 Download: 0

일본인 학습자의 담화표지 '네'의 의미 기능별 사용 양상 연구

Title
일본인 학습자의 담화표지 '네'의 의미 기능별 사용 양상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about Use of Semantic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Ne' by Japanese Learners
Authors
하지혜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고는 언어 사용의 측면에 주목하여 담화표지 ‘네’의 다양한 의미 기능을 찾아 분류하고, 하위권과 상위권으로 구분된 일본인 학습자 집단과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네’ 의미 기능의 이해 및 산출에 있어서의 차이를 살펴본 연구이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기술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정리한 뒤 크게 이해 측면과 산출 측면으로 구분되는 4가지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문제 1-1은 학습자들이 이해에 어려움을 보이는 의미 기능과 그렇지 않은 것을 분석하는 것이었고 연구 문제 1-2는 숙달도에 따라 이해가 높아지는 의미 기능은 어떤 것인지를 분석해내는 것이었다. 연구 문제 2-1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했을 때 학습자들이 ‘네’의 의미 기능을 적절한 빈도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었으며 연구 문제 2-2는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비교했을 때 학습자들은 ‘네’의 의미 기능을 얼마나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분석해내는 것이었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먼저 담화표지 ‘네’의 특성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본고의 논의의 중심이 되는 담화표지 ‘네’의 의미 기능을 살펴보았다. ‘네’의 의미 기능은 총 13가지로 어휘 의미적인 것과 담화 기능적인 것으로 분류되었다. 어휘 의미적인 의미 기능에는 ‘질문에 대해 긍정적 응답하기, 주장에 대해 찬성하기, 제안·요청·명령 등에 대해 수락하기, 알고 있거나 새로 안 사실에 대해 수긍하기1, 언어적·비언어적 부름에 응답하기, 못 듣고 되묻기, 동의 요청 되묻기, 의심의 감정 표현하기, 놀람의 감정 표현하기, 주저의 감정 표현하기’의 10가지가 있고, 담화 기능적인 의미 기능에는 ‘언어적·비언어적 행위에 긍정적 맞장구 치기, 발화 상황에 대해 수긍하기2, 화자 자신의 발화 내용에 수긍하기3’의 3가지가 있었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피험자 선정 기준, 연구 대상, 자료 수집 방법으로 사용된 이해 평가 도구와 산출 평가 도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그리고 예비 실험과 본 실험으로 이루어진 연구 절차, 마지막으로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된 통계 프로그램 및 그 방법에 대해 순차적으로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습자들은 ‘주장에 대해 찬성하기, 제안·요청·명령 등에 대해 수락하기, 알고 있거나 새로 안 사실에 대해 수긍하기1, 언어적·비언어적 부름에 응답하기, 놀람의 감정 표현하기, 발화 상황에 대해 수긍하기2’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는 반면에 ‘질문에 대해 긍정적 응답하기, 언어적·비언어적 행위에 긍정적 맞장구 치기’에 대해서는 하위권 학습자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였고 ‘못 듣고 되묻기, 동의 요청 되묻기, 의심의 감정 표현하기, 주저의 감정 표현하기, 화자 자신의 발화 내용에 수긍하기3’에 대해서는 하위권과 상위권 학습자 모두 잘 이해하지 못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 문제 1-1을 해결할 수 있었다. 둘째, 숙달도에 따라 ‘질문에 대해 긍정적 응답하기, 언어적·비언어적 행위에 긍정적 맞장구 치기, 놀람의 감정 표현하기’에 대한 이해는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서는 연구 문제 1-2가 해결되었다. 셋째, ‘질문에 대해 긍정적 응답하기, 주장에 대해 찬성하기, 제안·요청·명령 등에 대해 수락하기’에 대해서는 적절한 사용 빈도를 보인 반면에 ‘언어적·비언어적 부름에 응답하기’에 대해서는 하위권 학습자들이 적절히 사용하지 못했고 ‘알고 있거나 새로 안 사실에 대해 수긍하기1, 언어적·비언어적 행위에 긍정적 맞장구 치기, 못 듣고 되묻기, 동의 요청 되묻기, 의심의 감정 표현하기, 놀람의 감정 표현하기, 주저의 감정 표현하기, 발화 상황에 대해 수긍하기2, 화자 자신의 발화 내용에 수긍하기3’에 대해서는 하위권과 상위권 학습자 모두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연구 문제 2-1이 해결되었다. 넷째, 하위권 학습자 · 상위권 학습자 < 한국어 모어 화자 순으로 더 다양한 의미 기능을 사용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연구 문제 2-2를 해결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본고의 의의 및 제안점을 기술하였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담화·화용론적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연구 실적이 미진했던 개별 담화표지의 의미 기능을 살펴봄으로써 담화·화용론적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일조하였다. 기초 자료로서 한국어 교육 현장뿐만 아니라 담화·화용론적 가치에 중점을 두는 교재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학습자들이 적절하면서도 다양한 ‘네’의 의미 기능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통해 체계적인 담화·화용론적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었다. 특히 하위권과 상위권 학습자 간의 차이가 크지 않았던 것을 미루어 볼 때, 기존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할 수 있었다. 셋째, 응대하는 표지인 ‘네’를 연구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화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존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 대해 청자 또한 그 중심에 있어야 함을 주지시켜 주었다.;In this thesis, the writer focused on the aspect of language use, and classification has been made having found out diverse semantic functions of the discourser marker, ‘Ne’, and targeting Japanese learners who were classified into lower rank and higher rank and the group of Korean native speakers as well, the researcher closel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understanding of semantic function of ‘Ne’ and yields thereof. This thesis consists of as follows: In Chapter Ⅰ, the writer has stat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elicited four kinds of research subjects through studies of the precedent works. The research subject 1-1 was to analyze the case in that learners showed difficulties in their understanding of semantic function, and also the other case in which they didn’t exhibit any difficulties. The research subject 1-2 was to conduct an analysis to find out what semantic functions would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The research subject 2-1 was to analyze if Japanese learners could use the semantic function of ‘Ne’ in an appropriate frequency comparing with Korean native speakers. The research subject 2-2 was to conduct an analysis to figure out to what extent Japanese learners could use the semantic function of ‘Ne’ diversely comparing with Korean native speakers. In Chapter Ⅱ, the writer described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functions of the discourse marker, ‘Ne’. The kind of semantic functions of ‘Ne’ was 13 in total, and was classified into lexico-semantic alternations and discourse-functional variations. There are 10 kinds of semantic functions, which are lexico-semantic, i.e. ‘to respond positively to inquiry’; ‘to say yes on a claim’, ‘to approve proposal, request, and order, etc.’; and ‘to agree on the fact that the learner already knew or that the learner comes to know newly’ 1; ‘to respond to verbal and nonverbal messages’; ‘to ask again having not heard’; ‘to ask back for agreement’; ‘to express suspicious feeling’; ‘to express the feeling of surprise’; ‘to express the feeling of hesitation’. There are three kinds of discourse-functional semantic functions, i.e. ‘to chime in favorably on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to agree on utterance situation’ 2; and ‘to agree on the contents of utterance of speaker, him or herself’ 3. In Chapter Ⅲ, the writer described the research methods. These include selection criteria for subjects, research subjects, and assessment tool for understanding which had been used as the method for material collection, the detailed contents relating to yield assessment tool, and research procedures composed of preliminary test and main experiment. Lastly, the writer described the statistical program and method thereof, which was used for analysis of research materials, in a sequential manner. In Chapter Ⅳ, the writer presented the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from research revealed that: First, Japanese learners had good understanding about ‘to say yes on the claim of learners’; ‘to approve proposal, request, and order, etc.’; ‘to agree on the fact that the learner already knew or that the learner comes to know newly’ 1; ‘to respond to verbal and nonverbal messages’; ‘expressing the feeling of surprise’; ‘to agree on utterance situation’ 2, while lower ranked learners showed little understanding of ‘responding positively to inquiry’; ‘chiming in favorably on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and, regarding such the items as, ‘to ask again having not heard’; ‘to ask back for agreement’; ‘to express suspicious feeling’; ‘to express the feeling of hesitation’; ‘to agree on the contents of utterance of speaker him or herself’ 3, both lower ranked and higher ranked learners had little understanding.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solve the research subject 1-1. Second, understandings of ‘responding positively to inquiry’ and ‘chiming in favorably on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were improved according to proficiency.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solve the research subject 1-2. Third, Japanese learners showed an appropriate frequency of use in relation to the items such as ‘to respond positively to inquiry’; ‘to say yes on claims’; ‘to accept proposal, request, and order, etc.’, meanwhile, however, the lower ranked learners didn’t use the item, such as ‘to respond to verbal and nonverbal messages’ appropriately. And, as to the items, such as ‘to agree on the fact that the learner already knew or that the learner comes to know newly’ 1; ‘to chime in favorably on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to ask again having not heard’; ‘to ask back for agreement’; ‘to express suspicious feeling’; ‘to express the feeling of surprise’; ‘to express the feeling of hesitation’; ‘to agree on utterance situation’ 2; and ‘to agree on the contents of utterance of the speaker him or herself’ both lower ranked and higher ranked learners didn’t use them appropriately.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solve the research subject 2-1. Fourth, by an order such as, lower ranked learner - higher ranked learner < Korean native speakers, the learners could use more diverse semantic function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solve the research subject 2-2. Lastly, in Chapter Ⅴ, the writer has put all research results together, and stated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and suggestions. It is thought that this thesis shall be meaningful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by investigating the semantic function of individual discourse markers for which research works are still relatively poor in spite of many proposals put forward for necessity of discourse-pragmatic educations further, this research has contributed to developing discourse-pragmatic education providing the results therefrom for basic reference materials. Not only for loca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for development of textbooks focusing on discourse-pragmatic values, thes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as the basic materials. Secon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writer found out that Japanese learners couldn’t make use of varied semantic functions of ‘Ne’ in an appropriate manner, therefore, this finding enabled the writer to propose the necessity of discourse-pragmatic education. Specifically, from the fact that there were not many differences between lower ranked learners and higher ranked learners, the writer could have discovered the problems in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by taking the responsive marker, ‘Ne’, a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the writer has reminded the fact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also be carried out by putting the listener in the center of attention during discourse, and that such listener-oriented instruction is required to be applied to the locale of education where speaker-oriented conventional Korean language class has been conduc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