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권태이-
dc.creator권태이-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92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4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923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와 교사의 역할 수행의 정도를 알아보고 관계를 규명해봄으로써 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학교 체육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개인적 배경에 따라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 정도를 알아보았으며,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교직전문성 인식수준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으로는 2009년 현재 경기도 소재의 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체육교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조사대상의 표본은 임의로 무선표집하여 추출하였으며 최종 표집된 체육교사는 150명이였다. 우편 또는 직접방문을 통해 조사대상자들에게 교직 전문성 인식 수준과 역할수행을 측정하는 문항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답안 검토 작업을 거쳐 불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132부를 분석 대상으로 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SPSS WIN 14.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독립 t-검증과 일원변량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조사 대상자의 개인적 배경(성별, 연령, 직위, 교직경력, 학력, 근무학교급별 등)에 따른 교직 전문성 인식 수준과 역할수행 수준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또한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교직 전문성 인식 수준과 역할수행 수준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마지막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교직전문성 인식 수준이 역할수행의 하위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자료수집 및 분석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교사의 개인적 배경 변인에 따른 교직전문성 인식 수준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0대가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30대, 40대, 20대 순으로 교직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는 성별에 따른 교직전문성 인식수준의 차이에서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높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차이에서도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사의 개인적 배경에 따라서는 역할수행의 정도가 다르지 않았지만 하위 영역별로 분석했을 때 연령에 따라서 수업지도, 운동부지도, 교수스타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0대 이상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직위에 따라서는 운동부지도, 교수스타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에서도 운동부지도, 교수스타일의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교직전문성 인식 수준과 역할수행 정도와의 관계는 교사 자율성과 사명감과 생활지도, 사회·경제적 지위와 교수스타일, 교사 자율성과 사명감과 교수스타일, 사회·경제적 지위와 수업지도, 교사 자율성과 사명감과 수업지도 및 교사 자율성과 사명감과 자기계발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교직전문성 인식 수준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교직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인 교사의 자율성과 사명감 요인이 역할수행의 하위요인인 생활지도, 수업지도, 교수스타일 및 자기계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중등학교 체육교사들의 개인적 배경에 따라 교직전문성 인식 및 역할수행 정도에는 대부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교직전문성과 역할수행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남으로써 대체적으로 교직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역할수행 정도가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직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 중 교사의 자율성과 사명감 요인이 역할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요인 중 자율성과 사명감을 고취시키는 것이 역할수행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학교체육 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해서 중등학교 체육교사들이 현장에서 교직전문성에 대한 인식 수준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현직연수나 자기연찬의 기회 등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공교육의 내실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This study was ai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level of teaching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in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such purpose, the following issues were studied.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level of teaching professional by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career, position and academic background?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role performance by personal characteristics? Third, what relations exist between recognition level of teaching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Forth, how influence the level of teaching professional on role performance? For the survey, 1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 at middle and high school in Kyunggi province. Disregarding inadquate questionnaire, 132 out of 150 questionnaires were proces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tatistical. For statistical analysis, conducted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Ver 14.0) computer software. The results were as folloe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level of teaching professional by age.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ole performance by any personal characteristic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autonomy and life guidance(r= .417), teacher's autonomy and teaching style(r= .319), teacher's autonomy and class instruction(r= .347), teacher's autonomy and self development(r= .417), social?financial status and teaching style(r= .210), social?financial status and class instruction(r= .207). Forth, teacher's autonom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life guidance, class instruction, teaching style and self deveopment.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level of teaching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and especially, teacher's autonomy had much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So it can be recommended that various policies for enhancing teacher's autonomy should be supplied to enhance role perform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가설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교직전문성 = 5 1. 전문직의 개념 및 기준 = 5 2. 교직전문성의 개념과 교직의 특성 = 7 3. 체육교사의 전문성 = 16 B. 교사의 역할수행 = 18 1. 역할 이론 = 18 2. 교사의 역할 = 21 C. 선행연구 고찰 = 25 Ⅲ. 연구방법 = 29 A. 연구대상 = 29 B. 연구 도구 = 31 1. 교직전문성 인식 측정 질문지 = 32 2. 역할수행 측정 질문지 = 33 C. 질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 34 D.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36 E. 자료 처리 = 36 Ⅳ. 연구결과 = 38 A. 체육교사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교직전문성 인식의 차이 = 38 1. 성별에 따른 차이 = 38 2. 연령에 따른 차이 = 39 3. 직위에 따른 차이 = 41 4.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 = 42 5. 학력에 따른 차이 = 43 6. 근무학교급별에 따른 차이 = 44 B. 체육교사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역할수행의 차이 = 45 1. 성별에 따른 차이 = 45 2. 연령에 따른 차이 = 46 3. 직위에 따른 차이 = 47 4.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 = 48 5. 학력에 따른 차이 = 49 6. 근무학교급별에 따른 차이 = 50 C. 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간의 관계 = 51 D. 교직전문성 인식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52 1. 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이 생활지도에 미치는 영향 = 52 2. 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이 수업지도에 미치는 영향 = 53 3. 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이 운동부 지도에 미치는 영향 = 54 4. 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이 교수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 55 5. 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이 자기계발에 미치는 영향 = 56 Ⅳ. 논의 = 57 A. 체육교사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교직전문성 인식의 차이 = 58 B. 체육교사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역할수행의 차이 = 60 C. 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간의 관계 = 62 D. 교직전문성 인식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63 Ⅵ. 결론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68 부록 = 74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49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등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level of teaching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in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c.creator.othernameKwon, Tae i-
dc.format.pageⅸ,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