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1 Download: 0

학교연계 박물관·미술관 체험학습에 대한 연구

Title
학교연계 박물관·미술관 체험학습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Museum Education based on School Curriculum
Authors
박지선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연계 박물관·미술관 체험학습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학교연계 박물관·미술관 체험학습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생각하는 학교 연계 박물관·미술관 체험학습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가 생각하는 학교 연계 박물관·미술관 체험학습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교직경력 10년 이상인 서울특별시 공립초등학교 교사 5인에 대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학교연계 박물관·미술관 체험학습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본 학교 연계 박물관·미술관 체험학습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학교연계 박물관·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부재이다. 뒤이어 학년단위로 이루어지는 단체관람의 관행, 학교연계 단체를 위한 편의시설의 미비를 들 수 있다. 이에 따른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대상면에서 4학년과 5학년을 학교교육과정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것이다. 초등학교의 각 학년에 맞는 단계·심화형 교육 프로그램이 이상적이나 현실적으로 가장 먼저 개발되어야 할 학교연계 프로그램의 대상은 교육과정상 박물관 견학과 문화재 탐방이 편성되어 있는 4학년과 5학년이다. 또한 4학년과 5학년은 발달단계상 박물관과 미술관을 견학할 만큼의 체력이 갖추어졌으며 이론과 실기가 모두 가능한 인지적 특성과 손 협응성을 지녀 학습과 연결될 수 있는 심화된 조작적 체험이 가능하여 교육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교육 내용 및 방법면에서 교육 내용은 학교에서 하기 힘든 전문적이고 특별한 활동을 체계적으로 조직·구성하고, 교육 방법은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직접 체험식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박물관과 미술관의 장점을 살린 보다 체계적이고 심화된 학교연계 체험학습 프로그램은 학교 교육의 부족함을 보완하고 해결해 줄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단순히 보는 것 보다는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흥미와 호기심을 학습으로 이어간다. 단순한 놀이에서 그치지 않고 의도적인 교육방향과 철학이 존재하여 체험의 의미를 확장·심화할 수 있는 직접 체험식 학교연계 박물관·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운영 방법면에서 초등학생의 눈높이에 맞는 어린이 전문 설명사를 양성 도입하고, 다양하고 수준 높은 교육 프로그램을 학급단위로 운영하는 것이다. 전시에 대한 전문지식과 아울러 초등학생의 특성과 흥미, 학교 운영에 대해 교육 받은 특화된 학교연계 어린이 전문 설명사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수준 높은 교육 프로그램이 학급단위로 운영되어야 한다. 관람태도, 안전문제 등의 많은 문제의 근원이 되는 학년단위 체험학습 관행을 지양하고 교사들 스스로도 학급단위 체험학습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익숙해질 필요가 있으며 박물관·미술관에서도 다양하고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학급단위로 운영하여 일회성 방문이 아닌 계속 찾고 싶은 체험학습 장소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박물관·미술관은 본 연구에서 제시된 초등학교 교사들의 생생한 현장 목소리를 바탕으로 살펴본 학교연계 박물관·미술관 체험학습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을 학교연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적극 반영하여 학교 미술교육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문화예술교육의 공교육 혁신을 주도하기를 기대한다.;The link between schools and museums(galleries) creates educational effects and teachers decide on the attribute of activities. Researcher aims to understand how teachers think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museums(galleries). Researcher has three issues. First,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l about museum(gallery) education? Second, what suggestions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for better museum(gallery) education? Third, what are dual attitude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for museum(gallery) education? Researcher does preliminary research. Researcher makes questionnaire for in-depth interview which is based on references and checks if the questionnaire is proper through having an interview with a teacher. After amending and complementing the questionnaire, researcher has interviews with teachers in age range of twenties to fifties. After the preliminary research, researcher finds standard of proper interviewees, proper research issues and method. First, Teachers with over ten years experience are suitable for the research. Young teachers lack experience, therefore they have no deep understanding of the procedure and the essence of museum(gallery) education. Second, researcher adds teachers' suggestions for museum(gallery) education in the questionnaire. During the preliminary research, researcher finds out that all the interviewees think museum education programs don't reflect uniqu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Museum educators deal with people of all age groups, so they can't underst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nk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offe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museum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ir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children, reseacher adds questions about how to manage museum programs. Third, researcher finds dual attitudes that teachers have in common and adds questions about them. Using in-depth personal interview, researcher has interviews with five teachers with over ten years experience who work in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City. After the interviews, researcher reaches conclusions. First, museums(galleries) let too many spectators in, so students give a hurried glance at exhibits. Usually a whole grade of students go on a field trip to museum. Students are treated as a burden to other spectators. Museums have no children-friendly place and students have uneasy lunch there. There is no special program for children. Second, the teachers suggest that museums limit the number of spectators. They want educators(docents) to explain exhibits wh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 teachers also hope that museums(galleries) provide buses and develop curriculum related programs. Children's needs should be reflected in them and the program should offer students opportunities to experience what they cannot in school. They can include professional and special activities. Third, the interviewees have dual attitudes toward museum education. Personally they enjoy going to museums and galleries, whereas they are not affirmative of field trip to museums(galleries). The teachers think experiential learning in museums is one of duties that public education should carry out even if they don't welcome the idea of going to museum. The teachers go to galleries more than museums, but they put more importance on museums as field of experiential learning. Researcher conclude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deep understanding of museums and galleries and they appreciate art. However museums(galleries) provide poor service with students, they need improve present conditions. Researcher hopes museums(galleries) reflect the teachers' suggestions for museum(gallery) education and it'll attribute to enforce the link between elementary education and museums(galle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