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숙환-
dc.contributor.author고나영-
dc.creator고나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0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4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3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497-
dc.description.abstract20세기 초, Dewey를 비롯한 학자들에 의해 진보주의 사상이 대두되면서 통합교육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 4차 교육과정 시기에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통합교육이 적용되면서 통합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꾸준히 발전하여 제 7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관련 논의가 매우 활발해졌다. 이 같은 변화와 함께 미술교육계에서도 통합교육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졌고 미술교육 대학원에서도 미술과와 타교과의 통합교육에 관한 논문이 활발하게 발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 시기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미술과와 타교과의 통합교육에 관한 석사학위 논문을 정리·분석하여 통합교육 연구의 흐름과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 연구의 연구주제를 교육 프로그램으로 제한하였는데, 그 이유는 첫째, 연구의 성격상 연구주제가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로 크게 편중되어 있기 때문이고, 둘째, 연구주제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고 전문적인 연구의 결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08년까지 국회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학위 논문 중 국내 대학원 미술교육 전공의 미술과와 타교과의 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한 학위 논문 97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두 석사학위 논문이다. 97편의 논문을 연도별, 학교급별, 전공별, 미술내용별, 통합교과별로 정리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교육과정 시기에서 미술과와 타교과의 통합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학위 논문의 수치는 연도에 따라 등락의 형태를 보이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미술과와 타교과의 통합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학위 논문의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가 현저하게 많고 중학교, 고등학교 순으로 올라갈수록 관련 연구가 많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미술과와 타교과의 통합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학위 논문에서 초등미술교육 전공과 중등미술교육 전공의 논문 수의 차이가 크지 않으나 학교급별 연구와 연계하여 살펴보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현저하게 많다. 넷째, 미술과와 타교과의 통합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학위 논문의 미술내용은 표현영역에 치중해 있으며 미적 체험영역에 관한 연구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감상영역 및 영역간 통합에 관한 연구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섯째, 미술과와 타교과의 통합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학위 논문의 통합교과의 수는 미술과를 포함한 2개 교과부터 7개 교과까지 다양하며, 통합한 교과의 수가 많을수록 연구 수가 적어지는 현상을 보인다. 구체적인 교과의 구성을 보면, 2개 교과를 통합한 연구에서는 통합교과가 사회교과에 많이 치중되어 있고, 교과의 수가 많을수록 도덕교과, 체육교과 등 2개 교과를 통합한 연구에서는 미미하게 다루어졌던 교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정리해보면, 현재까지의 미술과와 타교과의 통합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학위 논문이 학교급, 미술내용, 통합교과의 분류 내에서 고른 분포를 보이기보다는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을 보이지만 연도에 따른 연구의 현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연구의 편중된 경향이 멈추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고른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후속 연구자들이 이러한 변화를 이어간다면 유의미한 연구가 지속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중등미술교육전공자들의 책임 있고 활발한 연구를 통해 보다 다양한 연구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 discussion about integrated education had started with the appearing of progressive thought by Dewey and other scholars. In Korea, the term ‘integrated education’ started to be used when integrated education applied to the Fourth of Curriculum for low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related discussion became very brisk developing assiduously in the Seventh of Curriculum. With this transform, various studies on integrated education have been done in the Arts educational world, and the studies about integrated education of Arts and other subjects have been revealed actively in the Arts education graduate schools. So this study is aiming at getting down on the trend and flow of integrated education research arranging and analyzing the master’s thesis about integrated education of Arts and other subjects which are based on the Seventh of Curriculum. This paper is limited the subject of integrated education research to educational program,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research subject is focusing the research for developing of Arts education program, and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 clearer and more professional outcomes can be expected by limiting the subject of the study. This paper had studied the ninety seven domestic Arts education graduate school papers which suggested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of Arts and other subjects among the master’s thesis that were maintained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from 1997 to 2008. The outcomes of the ninety seven master’s thesis categorized up to the year, school level, major, contents of Arts, and integrated subject are as following. First, the numbers of the master’s thesis about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of Arts and other subjects have been slowly increasing, even though there were fluctuations. Second, it shows that most of the papers about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studied elementary school, followed b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ird, the number of primary Arts education major papers and secondary Arts education major papers about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of Arts and other subjects are almost same, but when it comes to the school level, the papers which studied elementary school are notably more. Fourth, most of the contents of the master’s thesis about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of Arts and other subjects are focusing on expression area, and the research on the aesthetic experience area is very insufficient. Meanwhile, the weight of the paper about impression and integration area between fields is getting bigger. Fifth, the number of the integrated subject of the master’s thesis about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of Arts and other subjects are various from two to seven subjects including Arts, and there are smaller number of papers if the paper studies more subjects. Most of the researches which integrated two subjects are studying Social studies, and the number of the subjects like Ethics and Physical education which were insignificantly studied when two subjects were handled is growing when the more subjects are studied. This study shows that the master’s thesis about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of Arts and other subjects are focusing on school level, contents of Arts, or classification of integrated subject so far, rather equally distributed. However, more detailed researches up to the year indicate that the focusing trend of the research is getting broader equally. If followers maintain this transform trend, meaningful studies can be continuously carried out, and especially thrdetailed resp thible and active research of the secondary Arts education majors,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searches can be expec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교과통합교육의 이해 = 4 B. 미술교육과 교과통합교육 = 13 C. 미술과 교수 · 학습방법 및 실험적 연구의 이해 = 17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대상 = 24 B. 분류기준 설정 = 25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4 A. 연구결과 = 34 B. 논의 = 60 Ⅴ. 결론 = 65 참고문헌 = 67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58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미술과와 타교과의 통합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석사학위 논문 실태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제 7차 교육과정 시기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urvey of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of Art and General Education's Thesis in Arts Education for the Period of 7th School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Ko, Na Yeong-
dc.format.pageⅸ,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