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근-
dc.contributor.author장현수-
dc.creator장현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4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6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3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603-
dc.description.abstractThe primary goal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to improve learners to communicate competence successfully. For effective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acquire basic vocabulary knowledge. However, Korean students simply depend on memorizing words and their meaning without considering how to use them. Language teachers are required to help students to learn vocabulary effectively and to develop various and creative vocabulary learning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n effective way of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to EFL learners. In fact, the paper investigated vocabulary learning from two types of vocabulary presentation by a teacher and from prediction by themselves within the context. A total of 46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a three-week session of either 'individual vocabulary presentation' group(G1) and 'simultaneous vocabulary presentation' group(G2), followed by a post-test and an attitude-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s between pre- and post-administered by G2, indicating that participants' vocabulary ability had been improved throughout the treatme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1. Second, the findings of paired t-test showed noticeable difference only in G2 although both lower and higher level subjects in each group apparently got better. In particular, the higher level in G2 greatly improved while the G1 counterparts marginally did. It reflects that those at the higher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potentially benefit from the G2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 in their vocabulary learning. Third, as for the effect of vocabulary presentation on vocabulary lear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er level subjects in G1 and G2 group; however, the mean score of higher level in G2 was slightly above the one in G1. In the case of lower level subjects, the average score of G2 was higher than G1 average, revealing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1 and G2. The method used in G2 are more effective than the way used in G1 in both levels of English learners. The impact of G2 method was more dramatic especially for lower level students. Finally, with respect to a change in attitudes toward overall interests of English learning, i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it comes to the attention on vocabulary and the preference for vocabulary learning through the prediction from the contex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findings reflect that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through the experiment served to enhance students' awareness of vocabulary learning and helped to improve their vocabulary acquisition. To conclude, the way of presenting vocabularies in series is more effective than the way of presenting respectively. The different way of vocabulary presentation has also positive effect in affective aspects. The implication of this paper is that both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should be exploited at the same time in that the participants had a tendency to prefer learning vocabulary from context. In addition, it is needed that another study on effective ways to present a variety of vocabularies differing types they belong to.;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의사소통교수법의 대두와 더불어 영어 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우리나라 영어교육에 대한 연구도 의사소통과 유창성에 초점을 두고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종래의 연구들은 언어의 네 가지 기능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에만 집중되었고 상대적으로 어휘에 관한 연구는 소흘히 다루어져왔다. 그러나 어휘는 문장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고 어휘 지식은 외국어 학습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의사소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러한 어휘의 중요성과 더불어 1970년대에 들어서야 비로소 어휘에 관한 연구는 주목을 받기 시작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현재는 어휘 학습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어휘 학습법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어휘학습의 중요성과 더불어 특정 수업시간을 제외하고는 영어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우리나라와 같은 EFL환경에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어휘 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실제로 수많은 영어 교실 수업에서 한 단어를 배울 때 그 단어와 관련성이 있는 다른 단어들까지 함께 학습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이것은 각 항목을 분리해서 제시하는 것보다 서로 관련된 것을 묶어 제시하는 것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어휘제시방법이 학습자들의 어휘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현재 영어 수업 시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어휘 학습은 사전 정의에 바탕을 둔 암기식 기법으로 새로운 어휘가 나올 때마다 개별적으로 정의가 주어지고 그 뜻을 암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뜻이 확연하게 차이가 나거나 어휘들 간의 연관성이 없는 어휘들에게는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미묘한 의미차이가 있는 어휘들을 학습할 때는 학습자들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하며 그 의미도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어휘 학습과 관련하여 의미상 정도의 차이가 있는 어휘들에 대해 그 어휘들을 제시하는 방법상에 차이를 두어 제시 방법의 차이가 학습자들의 어휘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의미상 정도의 차이가 있는 어휘들을 함께 제시 할 때와 각각 개별 제시할 때 그 의미상의 차이를 명확하게 인지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학습자들의 어휘습득과 관련한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1학년 학생 46명을 대상으로 어휘 제시방법에 따라 개별 제시하기 집단과 함께 제시하기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어휘를 함께 제시하는 집단에게는 의미상 정도의 차이가 있는 형용사, 부사, 전치사로 구성된 목표어휘를 동시에 학습하도록 하였는데 이 때 정도의 차이를 알려주는 그림과 같은 시각 정보나 수치를 함께 제시하였다. 또한 의미상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 목표 어휘와 더불어 실험의 의도를 숨기기 위한 비 목표어도 함께 제시하였다. 개별 제시하는 집단에게는 어휘들 간의 관련성이 없도록 함께 제시하는 집단에게 주어진 단어에서 한 단어씩 분리하여 전혀 상관없는 6개의 단어를 제시하였다. 총 5차시까지 약 3주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각각 1차시는 약 25분으로 이루어졌다. 5차시의 실험이 모두 끝난 이후, 학습자들은 사후 시험과 각기 다른 어휘학습에 관한 설문지에 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제시방법의 차이가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어휘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 시험 점수와 사후 시험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함께 제시하기 집단은 사전시험과 사후 시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실험 이후 어휘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개별 제시하기 집단은 사전시험과 사후 시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두 집단의 상·하위 집단의 어휘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응 표본-t검증을 통해 사전 어휘 점수와 사후 어휘 점수 차이에 대한 유의도 검증을 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사후 시험에서 사전 시험보다 향상된 점수를 받았으나 함께 제시하기 집단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함께 제시하기 집단의 상위 집단의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보다 크게 향상된 반면 개별제시 하기 집단의 상위 집단은 가장 낮은 변화를 보여 상위 집단의 경우 의미상 정도의 차이가 있는 어휘를 함께 제시하면 어휘능력이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상·하위 집단에 따른 어휘 제시방법이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별 제시하기 집단과 함께 제시하기 집단 간 상·하위 집단의 사후 어휘 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개별 제시하기 집단과 함께 제시하기 집단의 상위 집단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함께 제시하기 집단의 평균점수가 개별제시하기 집단의 평균 점수보다는 조금 높았다. 이에 반해 하위 집단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함께 제시하기 집단의 평균점수가 개별제시 하기 집단의 평균 점수보다 높았다. 따라서 함께 제시하기 방법이 개별제시 하기 방법보다 상·하위 학습자 모두에게 효과적이며 특히 하위 학습자들의 경우 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넷째, 어휘 제시 방법의 차이가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영어 학습자의 영어 전반에 대한 흥미도, 영어 어휘에 대한 관심도, 문맥을 활용한 어휘 학습에 대한 선호도, 어휘제시방법에 관하여 설문을 실시한 결과 영어에 대한 전반적인 흥미도에 관한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어휘에 대한 관심도 영역과 문맥을 활용한 어휘 학습의 선호도에 관한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5차시의 어휘 학습활동이 학습자들에게 어휘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함께 제시하기 집단에게 실시된 어휘 제시방법에 따른 학습자들의 정의적 태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5차시동안 이루어진 어휘들을 함께 제시하는 방법이 학습자들의 어휘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어휘 제시방법 중 의미상 정도의 차이가 있는 어휘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시하는 것 보다 함께 제시하는 방법이 어휘습득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어휘 제시방법의 차이는 어휘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정의적 태도를 유발했다는 점, 그리고 학습자들이 대화문이라는 문맥을 통해서 어휘 의미를 학습하는 것에 관심을 보였고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결과는 효과적인 어휘 학습을 위해서는 명시적인 어휘 학습법과 암시적인 학습법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가 의미상 정도의 차이가 있는 어휘들에 한해서 이루어졌지만 전통적인 어휘 학습법과는 달리 학습자들이 새로운 어휘 학습방법에 대해 관심과 만족을 보였다는 결과는 앞으로 어휘들의 종류에 따른 효과적인 어휘 제시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함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어휘 교수 = 4 1. 명시적 어휘 교수 = 4 2. 암시적 어휘 교수 = 5 B. 어휘 학습 방법 = 7 1. 문맥을 활용한 어휘 학습 방법 = 7 2. 의미접근법을 활용한 어휘 학습 방법 = 9 3. 시각 자료를 활용한 어휘 학습 방법 = 13 C. 선행연구 = 14 1. 명시적 · 암시적 어휘 교수에 관한 연구 = 14 2. 문맥을 활용한 어휘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 15 3. 의미 관련 집합의 학습 용이성에 관한 연구 = 16 4. 시각 자료를 활용한 어휘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 18 Ⅲ. 연구 방법 = 19 A. 연구 질문 = 19 B. 연구 대상 = 19 C. 실험 자료 = 21 D. 실험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 30 E. 연구의 제한점 = 37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8 A. 어휘 제시 방법이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 38 1. 집단별 영어 어휘 성취도 사전 · 사후 결과분석 = 38 2. 상ㅁ하위 수준별 어휘 능력 향상에 대한 유의도 검증 = 39 B. 어휘 제시 방법이 영어 학습 및 어휘 학습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41 1. 집단 내 정의적 태도의 변화 및 집단 간 변화 비교 = 41 2. 어휘 제시방법에 대한 설문 분석 = 45 Ⅴ. 결론 및 제언 = 47 참고문헌 = 51 부록1. 영어 능력 평가지 = 58 부록2. 사전 · 사후 어휘평가지 = 63 부록3. 수업용 활동지 = 67 부록4. 연습용 활동지 = 77 부록5. 정의적 측면에 대한 사전 · 사후 설문지 = 90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479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어휘제시방법의 차이가 중학교 영어학습자들의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Different Vocabulary Presentation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dc.creator.othernameJang, Hyun Su-
dc.format.pageⅸ,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