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근-
dc.contributor.author정연수-
dc.creator정연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4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4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3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442-
dc.description.abstract외국어 교수·학습에 있어 읽기는 영어로 된 텍스트를 읽고 정보를 얻는 측면 뿐 아니라 읽기를 통해 언어 습득에 필요한 언어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은 EFL 환경에서는 영어 입력에 노출될 기회가 부족해 읽기를 통해 입력에 노출되는 기회를 증가시키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는 이해 가능한 입력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의 언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읽기 자료 및 읽기 자료 수정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읽기 텍스트 수정의 두 가지 방법인 단순화 및 상세화 수준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제적 텍스트, 3단계로 단순화한 텍스트, 3단계로 상세화한 텍스트의 7가지의 텍스트 수정 유형별로 읽기 이해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7개 집단을 대상으로 2개의 지문과 10개의 읽기 이해 문항으로 구성된 실제적, 단순화I, 단순화II, 단순화III, 상세화I, 상세화II, 상세화III 텍스트 수정 유형을 읽고, 읽기 이해 문제를 풀도록 하였다. 단순화는 실제적 텍스트의 어려운 어휘를 쉬운 어휘로 바꾸고, 복잡하고 긴 문장구조를 간단하고 짧은 문장으로 수정하여 단순화I에서 단순화III로 갈수록 더 쉽고 간단한 문장이 되도록 수정하였다. 상세화는 어려운 어휘나 복잡한 문장을 삭제하지 않고, 잉여 정보를 추가하여 이해를 돕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즉, 어려운 어휘에 대해 동의어나 정의를 제공하거나 예를 들어 설명하고, 바꾸어 말하기 등을 이용하여 문장의 의미를 분명히 하였다. 읽기 이해도 측정을 위한 읽기 이해 문항은 전체적인 이해, 세부적인 이해, 추론적인 이해를 묻는 질문으로 구성되어 텍스트 수정의 유형별로 서로 다른 이해의 과정을 요구하는 읽기 이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전체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텍스트 수정 유형별로 읽기 이해도를 비교했을 때, 수정된 텍스트는 실제적 텍스트 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전반적으로 단순화의 정도가 커질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고, 상세화 정도가 커질수록 이해도 점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총점의 경우, 단순화II와 단순화III 유형의 텍스트에서 지문2의 점수에 대해서는 단순화III 유형의 텍스트 집단에서 나타났다. 즉, 전체 실험 집단에 대해서 단순화I 정도의 단순화는 점수 향상을 보이는데 부족하고, 단순화II와 단순화III는 점수 향상을 보였으며, 두 유형간의 차이는 없었다. 둘째, 상·하위 수준별 텍스트 수정 유형에 따른 읽기 이해도를 비교했을 때, 텍스트 수정 유형과 상·하위 수준은 상호작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위 집단의 경우, 텍스트 수정 유형별로 유의미한 읽기 점수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수정된 텍스트가 실제적 텍스트 보다 1.5점 정도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하위 집단의 경우는 텍스트 수정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유의미한 차이는 단순화III 수정 텍스트와 실제적 텍스트 집단에서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단순화를 많이 적용할수록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즉, 상위 집단의 경우, 6가지 유형의 텍스트에 비슷한 수준으로 도움을 받았고 하위 집단의 경우, 상세화한 수정 보다 단순화적인 수정의 도움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읽기 이해 측정 영역별 텍스트 수정 수준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이해 문항의 경우, 텍스트 수정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상세화II, 단순화II, 상세화I, 단순화I, 상세화III, 단순화III, 실제적 텍스트 집단의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세부적 이해 문항의 경우 전반적으로 단순화 유형의 텍스트가 상세화 유형의 텍스트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단순화III 텍스트 집단의 경우 실제적 텍스트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추론적 이해 문항의 경우, 텍스트 수정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상세화III, 단순화III, 상세화II, 단순화II, 단순화I, 상세화I, 실제적 텍스트 집단의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각 수정 유형의 세 번째 단계의 수정 수준의 텍스트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상·하위 수준별 읽기 이해 측정 영역별 텍스트 수정 수준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전체적 이해 문항에 대해서 상·하위 집단 모두 텍스트 수정 유형별로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텍스트 수정 유형과 상·하위 수준 간의 상호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인 이해를 묻는 문항의 수가 2개로 너무 적기 때문에 텍스트 수정 유형별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세부적인 이해 문항의 경우에도 상·하위 집단 모두 텍스트 수정 유형별로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텍스트 수정 유형과 상·하위 수준 간의 상호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아니지만, 상·하위 집단 모두 단순화III 텍스트가 가장 높은 세부적 이해 문항 점수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추론적 이해 문항의 경우,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모두 텍스트 수정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텍스트 수정 유형과 상·하위 수준 간에 상호작용이 없었다. 그러나 추론적인 이해를 요하는 문항을 처리할 때, 상위 학습자는 대체적으로 상세화의 도움을 많이 받고 하위 학습자의 경우는 단순화한 텍스트의 도움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으로 단순화 방식의 텍스트 수정이 유의한 차이로 학습자들의 이해를 향상시켰다. 특히 하위 수준의 학습자의 경우 단순화를 가장 많이 한 유형의 텍스트에서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위 학습자들의 경우는 6개의 수정된 텍스트 수정 유형에 대해 전반적으로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단순화하는 방식의 수정이 학습자들이 읽기 이해 전략을 연습하는 기회를 감소시키고, 언어 습득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 많고, 단순화를 대체하는 텍스트 수정 방식으로 어휘와 문법구조에 잉여정보를 주어 명확성을 높이는 상세화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 단순화하는 방식으로 수정된 텍스트도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나 학습 상황에 따라 이해 가능한 입력을 제공하고, 학습자가 진정성 있는 자료를 읽을 수 있도록 돕는 중간과정으로서의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읽기 교재를 개발하거나 읽기 수업을 설계할 때, 일률적으로 단순화 혹은 상세화하는 방법으로 텍스트를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학습자의 수준이나 수업의 목표에 따라 적절한 유형의 입력 자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과 수준으로 텍스트를 수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변인이 학습자의 이해와 언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ading is an important skill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not only because second language learners can obtain information by reading materials in English but also because they can receive language input from reading them. Especially reading is important for Korean students living in the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nvironment where there are very littl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target langu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appropriate reading materials and reading instruction which can help student have comprehensible input and acquire language. Also, second language learners usually begin to learn to read before exposure to the spoken language. They are assumed not to have a certain amount of linguistic knowledge to process all of the authentic texts written for native speakers of the target language. So when second language learners read an authentic text, which is lexically and syntactically complex or conceptually unfamiliar or dense, it can be too much burden to them. As a result, a lot of second language texts have been modified to make reading material more comprehensible and to help the learners prepare to read authentic texts. Simplification is the most common way to modify authentic texts in commercial second language materials. Texts can be simplified by making sentences shorter and replacing complicated lexis and syntax with simpler ones. Elaboration is another way to modify texts. Authentic texts are elaborated in a way that redundant information is added and thematic relations are expressed more explicitly. Current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have tested the relative effects of two different types of text modifica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or vocabulary acquisition. However they are only concerned with whether simplification or elaboration is better but not with the effect of different degree of modification.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degree of text simplification and elaboration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by comparing one authentic text, three levels of simplified texts and three levels of elaborated text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se seven different degrees of text modification have effect on the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The subject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two hundred thirty 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language proficiency level: the lower level, and the upper level. They were respectively given one of seven texts: an authentic text, a simplified text (Simplification I), a more simplified text (Simplification II), a most simplified text (Simplification III), an elaborated text (Elaboration I), a more elaborated text (Elaboration II), and a most elaborated text. Three item types of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s with the given text were carried out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text modification type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 item type: general, specific, and inference test item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whole, the modified text group gained higher scores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rehension between Simplification II and the authentic text, and between Simplification III and the authentic text. It indicates that simplified text facilitated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especially Simplification II and Simplification III versions did.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modification type and learner proficiency. Only lower level group of Simplification III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authentic text group. Second, considering the types of comprehension test item, all six types of text modification improved the students' performance on general and inference comprehension test items, but only Simplification III text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performance on specific items.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modification type and learner proficiency on the types of comprehension test item.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participants' reading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xt simplification or elaboration. Generally simplified versions were more successful in promoting comprehension, especially for lower level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learners need to be exposed to authentic material, but at some points, modified text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help students to prepare to read authentic reading materials. And in the course of developing reading materials, the appropriate text types including how to modify texts and how much to modify them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learners' proficiency level and each learning situ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제 2언어 습득과 언어 입력 = 4 B. 텍스트 수정 = 6 1. 진정성 있는 자료와 수정된 자료 = 6 2. 텍스트 수정의 유형 = 7 C. 선행연구 = 11 Ⅲ. 연구 방법 = 20 A. 연구 질문 = 20 B. 연구 대상 = 21 C. 실험 자료 = 23 1. 사전 독해 평가지 = 23 2. 실험 독해 평가지 = 23 D. 실험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 36 1. 실험 절차 = 36 2. 자료 분석 방법 = 37 E. 연구의 제한점 = 3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9 A. 텍스트 수정 유형별 읽기 이해도 비교 = 39 B. 상하위 수준별 텍스트 수정 유형별 읽기 이해도 비교 = 43 C. 읽기 이해 측정 영역별 텍스트 수정 유형별 읽기 이해도 비교 = 47 D. 상하위 수준별 읽기 이해 측정 영역별 읽기 이해도 비교 = 50 Ⅴ. 결론 및 제언 = 58 참고문헌 = 61 부록 = 65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09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읽기 텍스트의 단순화 및 상세화 수준이 한국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Degree of Text Simplification and Elaboration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dc.creator.othernameJung, Yeon Su-
dc.format.pageⅹ,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