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주-
dc.contributor.author김혜진-
dc.creator김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6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2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632-
dc.description.abstractToday, a lot of middle and high schools have adopted the ability-based learning and teaching for their students. It is what they are following to the core of the 7th curriculum, that is, the learner-centered learning, which means that a teacher gives learners differentiated activities appropriate for their interest, concern, and proficiency level. Although the ability-based learning and teaching have been emphasized for more than a decade, it is doubtful whether it is being conducted properly in real educational fields. Furthermore, Korean high school EFL learners focus on studying the reading skill based on the communicative language learning, but they use only their textbooks in their class. In other words, the learners are grouped based on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 and then all of them are taught by the same textbook without any difference. This is not the ability-based learning and teaching we are talking about in the 7th curriculum. Through this classroom situation, we can see Korean high school learners need to be engaged in the graded post-reading activities providing a various of level-based reading texts instead of the same textbook while they are studying English in the acquisition of the reading skill. Therefore, this study is mainly concerned about the effects of the graded reading activities on the proficiency level of English reading ability and affective attitudes toward the reading studying in the high school classroom of the upper and lower sophomores. In order to carry out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teacher gave the learners 8 classes during 4 weeks utilizing graded reading activities designed for each learner group, which consisted of 17 students. To determine if the graded reading activities had influence on the learners' reading ability, a pre reading test and a post reading test have been conducted by each level group: once before the experimental classes, and once after the experimental classes. Besides, after the reading activities a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see what affective responses they showed about the English reading study and if there was any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earners and the lower learn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we could see several interesting findings. First, the learners were provided a various of reading texts related to the topics which were already dealt with in the textbook and they performed the graded reading activities for comprehension of the texts. Through this class activities, the learners of lower proficiency level were able to improve better their overall reading ability, and more specifically the considerably significant progress was observed in the aspect of the top-down reading process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learners of higher proficiency level also have improved their bottom-up reading process ability, but the degree of the progress was not that much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we could see the learners' affective attitudes and responses about English reading study. Both the higher and the lower proficiency level learners were interested in the graded reading activities, enjoyed them, and they were very satisfied with opportunities of reading a various of texts through these reading activities. Third, the learners had different preferred reading activities based on the level of learners and it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two reading process abilities, top-down process ability and bottom-up process ability, which has been improved through the graded reading activities. Lastly, we could find out that most of the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ink the level-based reading texts and the graded reading activities a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reading ability and they showed a high desire to take the classes with a various of level-based reading texts and graded reading activities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ere able to learn the graded reading activities with the level-based reading texts has had positive effects on read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However, these effects depend on the level of the learners and they affected positively on the learners of the lower level than the learners of the higher level. Therefore, it is definite that a teacher should be able to provide a various of level-based reading texts related to the topics of the textbook and graded reading activities appropriately to the EFL Korean high school learners in order to make them encourage to become competent readers.;제 7차 교육과정의 핵심은 학습자들이 학습자 개개인의 흥미, 관심, 학습 수준에 적절한 과업 중심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오늘날 중·고등학교에서 수준별 수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바로 이를 실현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이에 따라 수준별 학습은 꾸준히 강조되고 실제로 행해지고 있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수준별 학습이 보다 효율적으로 행해질 수 있도록 수준별 수업의 방법과 내용면에서 보다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의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경우 말하기 중심의 의사소통 기능을 학습하는 중학교의 학습과는 달리 읽기 학습을 중점적으로 하고 있지만, 학습 자료는 대개 교과서 한 권이다. 즉, 수준에 따른 학급 편성만 이루어질 뿐 교과서라는 동일한 학습 자료로 읽기 수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해볼 때,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 학습에 있어서 수준에 따른 다양한 읽기 텍스트와 등급화된 과업 활동은 필수적인 것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등급화된 과업을 활용한 읽기 후 활동 수업이 상·하위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과 읽기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각 17명으로 구성된 상·하위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4주간의 등급화된 과업을 활용한 읽기 후 활동이 이루어졌다. 실험 수업이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 이전과 이후에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 평가를 위한 사전·사후 읽기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등급화된 읽기 후 활동 후, 영어 읽기 학습에 대한 상·하위 학습자들의 정의적 태도 및 반응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수준별 집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내용과 연관된 다양한 읽기 텍스트와 이의 이해 점검을 위해 고안한 등급화된 읽기 후 활동 학습지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결과, 하위 학습자 집단의 전반적인 읽기 능력이 향상되었고, 특히 하향식 읽기 능력 측면에서 상당히 유의미한 정도의 향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상위 학습자 집단의 경우 상향식 읽기 능력이 약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정도가 매우 미미하였다. 둘째, 상·하위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학습에 대한 태도와 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 분석 결과, 상·하위 학습자 집단 모두 읽기 수업에 흥미를 가질 수 있었고 다양한 텍스트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 점에 있어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등급화된 읽기 후 활동을 통해 다수의 학습자들이 개인의 수준에 적합한 다양한 읽기 과제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러한 형태의 활동 수업이 지속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에 따라 학습자 개개인이 선호하는 등급화된 읽기 후 활동 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는 등급화된 읽기 후 활동 수업을 통해 향상된 학습자들의 상·하향식 읽기 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등급화된 읽기 후 활동 수업이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학습 능력과 읽기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위 학습자보다는 하위 학습자들에게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 개인의 학업 성취도에 따라 그들의 영어 읽기 능력에 적합한 읽기 텍스트와 등급화된 읽기 후 활동 과업이 제공될 때, EFL 상황에서의 학습자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영어 읽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수준별 교육과정 = 4 1. 수준별 교육과정의 정의 및 특징 = 4 2. 수준별 교육과정의 목적 및 필요성 = 5 3. 수준별 교육과정의 유형 및 성격 = 6 B. 읽기 지도 = 6 1. 읽기에 대한 개관 = 7 2. 읽기 수업의 3단계 활동 = 10 C. 다독(Extensive Reading) = 12 D. 선행 연구 = 14 1. 수준별 영어 수업에 관한 연구 = 14 2. 수준별 읽기 지도에 관한 연구 = 17 3. 읽기 후 활동에 관한 연구 = 18 Ⅲ. 연구 방법 = 20 A. 연구 질문 = 20 B. 연구 대상 = 20 C. 실험 자료 = 21 1. 읽기 능력 평가지 = 21 2. 읽기 과제 학습지 = 24 3. 설문지 = 29 D. 실험 절차 = 29 1. 실험 이전 절차 = 29 가. 사전·사후 읽기 평가지의 동질성 검증 = 29 나. 사전 읽기 능력 평가 실시 = 30 2. 실험 수업의 절차 및 주요 활동 = 30 3. 실험 이후 절차 = 33 가. 사후 읽기 능력 평가 실시 = 33 나. 사후 설문 조사 실시 = 33 4. 자료 분석 도구 = 33 E. 연구의 제한점 = 34 Ⅳ. 연구 결과 = 35 A. 등급화된 읽기 후 활동이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35 1. 상·하위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읽기 능력 비교 = 35 2. 상·하위 학습자들의 수준에 따른 읽기 문항 유형별 능력 비교 = 36 가. 상위 학습자들의 상향식·하향식 읽기 능력 비교 = 37 나. 하위 학습자들의 상향식·하향식 읽기 능력 비교 = 38 B. 등급화된 읽기 후 활동이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40 1. 각 학습자 집단의 등급화된 읽기 후 활동 수업에 대한 폐쇄형 질문 반응 비교 분석 = 40 2. 각 학습자 집단의 등급화된 읽기 후 활동 수업에 대한 개방형 질문 반응 비교 분석 = 45 3. 상·하위 학습자들의 선호 읽기 후 활동 유형 비교 분석 = 49 Ⅴ. 결론 및 제언 = 53 참고문헌 = 56 부록 1. 사전 읽기 능력 평가지 = 59 부록 2. 사후 읽기 능력 평가지 = 62 부록 3. 사전·사후 읽기 능력 평가지 동질성 검증 시 활용한 학습자들의 점수 = 66 부록 4. A, B의 두 학급 학습자들의 사전 읽기 능력 평가 점수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추출한 상·하위 학습자들의 점수 및 각 집단별 학습자 현황 = 67 부록 5. 차시별 읽기 후 활동 학습지 = 68 부록 6. 사후 설문지 = 105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205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등급화된 읽기 후 활동이 한국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학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Graded Post-reading Activities on the English Reading Proficiency Level and Affective Aspect of the Korean High-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Kim, Hye Jin-
dc.format.pagexi,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