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8 Download: 0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성취도와 만족도 예측

Title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성취도와 만족도 예측
Other Titles
Exploring Self-regulated Learning as a Predictor of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Cyber-Home Learning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정진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희
Abstract
Cyber-home learning system provides tailored learning contents on different levels for diverse learners and has been used nationwide since 2004. Although it encouraged teachers and students to teach and learn based on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he system, various challenges has been emerged in implementing at the classrooms. While self-regulated learning is being highlighted theoretically in e-learning, we have insufficient research results on verifying which substituent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fluence on specific outcomes of cyber-home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cyber-home learning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162 fifth grade students at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Prior to the investigation, they were questioned about their ow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rough the on-line survey with 49 items on three domains: motivation (task values, self-efficacy); cognition (memorizing, elaborating, organizing, meta-cognition); behavior (efforts, help seeking, resource utilizing, learning environment managing). The five-week-long cyber learning was constituted of on-line contents learning (two lessons for each week) with the support of checking board and additional supplements on main ideas of each lesson and off-line discussion during class. In order to minimize possible mediating variables, the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work on the cyber class only during weekends as well as the learning contents were selected from the non-academic common lessons. The data on the academic achievement were collected from a paper-and-pencil test which was devised based on Bloom's taxonomy; the data on satisfaction were collected by on-line survey. Multiple regression method was employ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of self-regulated learn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predictor that makes an impa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yber-home learning. It might imply that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on subject learning or on-line activities resulted in high achievement scores. Second, 'self-efficacy' and 'help seeking' of self-regulated learn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predictors that make an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cyber-home learning. The result might be analyzed that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on class learning or on-line activities and those with more active problem solving skills lead to high levels of satisfaction. In th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specific strategies for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in both subject learning and on-line activities. Additionally, a new system that aligns cyber-home learning with the current student management system of public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우리나라에서는 2004년 8월에 초·중·고 학생들 대상으로 수준별 맞춤식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서비스인 사이버가정학습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해마다 그 이용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인 사이버환경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을 해나가는 일이 쉬운 일은 아니기 때문에,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으며 성공적인 사이버가정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사이버가정학습의 교수·학습과정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교사들에게 학생들의 어떤 능력을 중점적으로 향상시켜야 하는지를 제시해 주기 위해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어떤 하위 요인들이 학습 성과를 예측하는지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 요인들이 성취도, 만족도를 예측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에 기반을 두었다. 1.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성취도를 예측하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 요인은 무엇인가· 2.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에서 만족도를 예측하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 사이버가정학습 사이트 꿀맛닷컴 사이버학급에서 공부하고 있는 서울시 S초등학교 5학년 전체 학생(168명, 남: 82명 여: 86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도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하는 한국교육종단연구에서 사용한 자기조절능력 측정 검사지(봉미미 외, 2008)을 토대로 동기영역(과제가치: 3문항, 자기효능감: 10문항), 인지영역(암기: 4문항, 정교화: 4문항, 조직화: 5문항, 초인지: 5문항), 행동영역(노력: 4문항, 도움요청: 5문항, 자원활용: 5문항, 학습환경관리: 4문항)의 총 4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2009년 9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5주 동안 사이버가정학습을 통해 학습을 진행하였으며, 학습 진행은 주말 동안에 이루어졌다. 학습내용 또한 선행학습과의 관련성이 적은 ‘GO! GO! 문화재속으로’라는 비교과 초등 공통 학습과정으로 선정하였다. 학습자들은 매주 두 개의 콘텐츠를 학습하고 학습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는 출석체크 게시판을 운영하였으며 매주 주어진 토의 주제에 관해 학급별 토의를 실시하였다. 또한 사이버가정학습을 도와주기 위한 학습지를 개발 및 제공하여 학생들이 사이버가정학습을 수행하면서 주요학습내용을 정리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5주간의 학습과정을 마친 후 이원목적분류표에 의해 구성된 지필평가를 통한 성취도 평가점수를 측정하고,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 연구에서 개발한 학생대상의 만족도 검사지 문항을 통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성취도와 만족도를 예측하는 자기조절학습의 하위 요인(과제가치, 자기효능감, 암기, 정교화, 조직화, 초인지, 노력, 도움요청, 자원활용, 학습환경관리)을 조사하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 요인은 자기효능감이다. 이는 구체적으로 과목 학습 및 온라인 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이 높은 성취도 점수를 받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 요인은 자기효능감과 도움요청이었다. 이는 과목 학습 및 온라인 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들, 그리고 적극적인 문제 해결 성향을 지닌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 요인들 중 자기효능감이 성취도, 만족도를 공통적으로 예측하며 도움요청은 만족도를 예측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도출된 향후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목 및 온라인활동)의 향상을 위해 교사들이 실천해야 할 전략적 측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 사이버가정학습과 공교육의 학생관리시스템과의 연계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특별활동의 실적으로 생활기록부에 누가 기록되거나 사이버가정학습의 평가 점수가 수행평가에 반영하여 단순한 지필고사 위주의 성취도가 아닌 학습자의 수행까지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