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7 Download: 0

급원이 다른 식이지방이 흰쥐의 지방대사와 혈소판 및 적혈구 성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급원이 다른 식이지방이 흰쥐의 지방대사와 혈소판 및 적혈구 성상에 미치는 영향
Authors
홍미영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지급원을 한국인이 상용하는 참깨유, 들깨유와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 나라에서 이용가능성이 큰 미강유, 그리고 일상 식이 패턴을 반영한 mixed oil을 유지급원으로 하여, 총 에너지중 지방을 30% 함유한 식이를 4주 및 12주동안 120g-150g된 Sprague-Dawley종의 수컷 흰쥐에게 자유급식시켜 체내 지방 축적과 혈청지질 함량, 혈소판및 적혈구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각 유지 급원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보면, P/S ratio가 참깨유, 들깨유, 미강유, mixed oil순서로 9.64, 10.49, 5.58 그리고 1.68 이었다. W-3/w-6 ratio는 각각 0.001, 1.44, 0.03 그리고 0.112 이었다. 1. 체지방 함량을 추정하기 위해 측정한 epididymal fat pad의 무게는 12주 사육한 쥐들이 4주 사육한 쥐들보다 더 컸으며, 식이 종류에 따라서는 4주와 12주에서 참깨유군(SE)이 가장 적었고 mixed oil군이 가장 많았다. Epididymal fat pad의 무게를 체중으로 나눈 값은 전반 적으로 epididymal fat pad 무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2주 사육한 쥐들이 4주 사육한 쥐들보다 더 커서 나이가 들수록 체구성중에서 지방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식이 종류에 따라서는 mixed oil군(MX)이 다른 군에 비해 많았다. 반면 혈청 TG는 기간보다는 유지 급원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 들깨유군과 참깨유군, 12주에 mixed oil 군의 혈청 TG가 낮았다. 2. 혈청내 총 cholesterol 함량은 4주 사육한 쥐들이 12주 사육한 쥐들보다 유의적으로 더 컸다. 식이 종류에 있어서는 4주와 12주에 들깨유군(PE)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고, 12주에 미강유군(RB)이 다른군에 비해 높았다. HDL-Cholesterol의 총 Cholesterol에 대한 비율은 사육기간에 따라서는 12주 사육한 쥐들이 4주 사육한 쥐들보다 더 컸다. 식이 종류에 있어서는 들깨유군(PE)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3. 출혈시간은 사육기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식이종류에 있어서는 4주와 12주 모두에서 들깨유군(PE)이 다른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길었고, 참깨유군이 다른 군에 비해 짧았다. 4. 전혈응고시간은 12주 사육된 쥐들이 4주 사육된 쥐들보다 더 빨리 응고되었다. 식이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5. 혈소판의 TXA_(2) 생성량의 지표인 Malondialdehyde(MDA)의 생성량은 사육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식이 종류에 있어서는 4주와 12주에서 들깨유군(PE)과 참깨유군(SE)이 낮은 경향을 보였고, 미강유군(RB)과 mixed oil군(MX)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들깨유군과 참깨유군 중에서도 들깨유군이 MDA 생성량이 더 적은 경향을 보였다. 6. 혈소판의 지방관 조성은 들깨유군이 4주에는 참깨유군보다 w-3/w-6의 비율이 낮았으나, 12주에서는 w-3/w-6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혈소판에서 MDA함량의 감소와 그에 따른 출혈시간의 연장을 설명해 준다. 미강유군은 2기간에서 모두 w-3/w-6의 비율이 가장 낮있다. 사육 기간으로 비교해보면, 사육기간이 길어졌을 때(12주) w-3/w-6의 비율이 증가되 었다. 7. 적혈구막의 지방산 조성은 들깨유군이 4주와 12주에 EPA의 함량이 많아 다른 군에 비하여 w-3/w-6 ratio가 더 높았다. 8. 적혈구 Ca함량과 적혈구막 Ca함량은 4주 사육한 쥐가 12주 사육한 쥐보다 유의적으로 더 많았으며, 식이 종류에 있어서는 12주에 들깨유군(PE)이 다른 군에 비하여 적혈구 Ca함량이 적었고 적혈구막 Ca함량은 많았다. 그래서 trapped Ca함량은 12주에 들깨유군이 다른 군에 비해 적었다. 9. 적혈구 부피는 12주 사육한 쥐가 4주 사육한 쥐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식이 종류에 있어서는 12주에 들깨유군(PE)이 큰 경향은 보였으나, 각 군간에 뚜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10. 헤모글로빈 농도는 사육기간에 있어서는 4주 사육한 쥐가 12주 사육한 쥐보다 약간 더 높았다. 식이 종류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은 식이내 유지급원을 달리하였을 때, 그 유지의 지방산 조성과 실험 동물의 연령에 의하여 체내 지방 축적과 혈액에 미치는 기능적 영향이 다르다는것을 보여 주었다. 들깨유의 경우 체내 지방 축적정도가 적었고, hypolipidemic effect를 보여주었다. 이는 지방산 조성과 연관하여 생각해볼 때, 들깨유가 P/S ratio와 w-3/w-6 ratio가 높은데 기인하는 것이 아닌가 사료된다. 그리고 들깨유의 linolenic acid가 EPA로 전환이 많고, 반면 lino-leic acid(18:2 w-6)로부터 arachidonic acid로의 전환을 막아 혈소판에서 w-3/w-6 비율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혈전 경향을 감소시 출혈시간을 지연시키고, MDA의 형성을 감소시켰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linolenic acid로부터 EPA로 전환의 증가는 적혈구막에서도 w-3/w-6 ratio를 증가시켜 적혈구막의 fluidity를 증진시키고 trapped Ca 함량을 감소시켜, 세포부피의 감소가 적게되어 적혈구의 deformability를 증진시켰으리라 생각된다. 이 때 혈액 viscosity와 peripheral resistance도 감소시켜 혈전 감소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으리라 사료된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식물성유지중 linolenic acid를 총지방산의 40%이상 함유한 들깨유가 체내 지방 축적을 줄이고, 지질함량을 낮추고, 혈전 경향을 감소시키며 적혈구 성상 및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식품으로 권장될 수 있겠다.; In this experiment, we investigated the hypolipidemic and antithrombotic effects, and the changes of erythrocyte function of rats fed diets with different common oils in Korea for different feeding periods(4 week or 12 week), using Korean sesame oil, perilla oil, rice bran oil and mixed oil rice bran oil and mixed oil. W-3/w-6 ratio of each group was 0.001, 1.44, 0.03 and 0.112 respectively. P/S ratio of each group was 9.64, 10.49, 5.58 and 1.68, respectively. The result were as follows : 1. According to the We, body fat accumulation was increased. 2. Perilla oil(w-3 rich) decreased total lipi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and increased HDL/total cholesterol ratio. 3. With regard to the composition of platelet fatty acids, Perilla oil increased w-3/w-6 ratio of the platelet. Perilla oil lengthened bleeding time and decreased MDA(MalonDiAldehyde) formation which determined in place of Thromboxane A_(2)(TXA_(2)) in platelet. This result can suggest that linolenic acid of perrilla oil seem to suppress the conversion of linoleic acid to arachidonic acid(AA 20:4, w-6) and eicosapentaenoic acid(EPA. 20:5, w-3) trannnsformed from linolenic acid to suppress the conversion of archidonic acid to TXA_(2). Since TXA_(2) is platelet-ag-gregating and vasoconstricting agent, the reduction of TXA_(2) generation by platelet with increased linolenic acid intakes shows prolonged bleeding time. 4. W-3/w-6 ratio of erythrocyte membrane followed the tendency of the platelet. The composition of erythrocyte membrnae fatty acid affected membrane fluidity and cellular function. Perilla oil (w-3 rich) increased w-3/w-6 ratio of erythrocyte membrane and which increased its fluidity, decreased amount of trapped Ca, inhibited decrease of cell volume and increased deformability. In conclusion, w-3 rich perilla oil has strong hypolipidemic and antithrombotic effects by changing fatty acid profiles of the platelet and erythrocyte, and positive effect of erythrocyte fun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