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남수-
dc.contributor.author이지원-
dc.creator이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1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9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14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된 교육매체 및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영양시범학교’라는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3월부터 7월까지 한 학기 동안 85명의 4학년 아동과 그들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영양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영양지식 점수 향상과 식행동 변화, 식이섭취 실태 변화 및 체위 개선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아동의 아침식사 습관에 따른 영양지식, 식행동, 식이 섭취 및 신체지표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였다. 학부모 교육을 통한 학부모의 식행동 변화와 자녀의 식행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였고, 학부모의 영양교육에 대한 관심을 분석하였다.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의 영양지식 점수는 교육 전 7.4점에서 교육 후 10.1점으로 유의적으로 향상되었고, 식행동 점수는 교육 전에 73.2점에서 교육 후 80.2점으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아동의 교육 전 후의 식이 섭취실태에서 변화가 나타났는데, 채소 및 과일군, 고기, 생선, 계란 및 콩류,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증가 한 반면, 유지 및 당류의 섭취는 교육 후 유의적으로 감소 하였다.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한 후 영양밀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인, 칼륨, 단백질, 칼슘, 비타민 A, 나이아신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고, 지질의 섭취는 교육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 하였다. 식사의 질을 평가한 INQ에서는 인, 단백질, 칼슘, 비타민 A의 INQ가 교육 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양교육 전 후에 아동의 신체계측 변화를 살펴 보았다. 신장은 137.3cm에서 139.3cm로, 체중은 35.5kg에서 36.0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동의 BMI가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지방율, WHR, 체지방량은 교육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제지방량과 근육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영양교육 후 가장 먼저 변화되는 영양지식의 향상이 실제 식행동 개선, 식이섭취 실태 개선 및 신체지표 변화로 연결되는지 그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양교육 후에 변화된 영양지식점수의 향상과 식행동 점수, 식이섭취 및 신체조성의 변화는 유의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아동의 아침식사 패턴에 따라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군(Group І)과 불규칙적으로 하는 군(Group Ⅱ) 으로 나누어 영양지식 점수와 식행동 점수를 비교한 결과, Group І의 영양지식과 식행동 점수는 Group Ⅱ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두 군의 식이섭취 실태를 비교한 결과, Group І의 유지 및 당류의 섭취는 Group Ⅱ와 비교하여 더 낮았고, 영양밀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철분, 비타민 A, 엽산의 영양밀도가 Group І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roup І의 비타민 A에 대한 INQ가 Group Ⅱ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신체계측의 차이를 살펴보면, Group І의 경우 Group Ⅱ보다 신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 교육 후 학부모 식행동 점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교육 전에 76.9점에서 교육 후 79.4점으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아동의 식행동 점수와 학부모의 식행동 점수는 교육 후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학부모 식행동 변화가 클수록 아동의 교육 후 식행동 점수가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영양지식을 향상시키고 식행동과 식이 섭취 및 신체조성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아동의 효과적인 영양교육을 위해서는 학부모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는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model school’ for prim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Eighty-five 4th children from primary school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in five sessions for five month period. A monthly parents’ educational material was sent to parents five times and the ‘parents’ nutrition class’ was given three times. W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in primary school children.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the parents’ dietary behavior and their perception for dietary behavior were also examined and it was to seek for the nutrition education direction for children. The dietary intake data was collected by 3-day food record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 Upon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program, both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mong the children. Total food intake adjusted vegetables and fruit, meat, fish, eggs and beans and milk products intak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fats and sugar intak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Energy intake was increased from 1,571.9kcal to 1,734.1kcal with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nutrient density for protein, Ca, P, K, vitamin A and niacin. Also,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 protein, Ca, P, vitamin A was increased. While children's height, weight, lean body mass and soft lean ma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program, a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body mass index, percent body fat, waist-hip ratio and body fat mass. The changes in nutrition knowledge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anges in dietary behavior scores, micronutrient intake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In this study, the 85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eating breakfast regularly (Group І) or irregular breakfast eaters (Group Ⅱ) according to breakfast pattern. Comparison between group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 and dietary behavior score with Group І achieving the highest mean scores compared to Group Ⅱ. Nutrient density of the iron, vitamin A, folate and vitamin B1werehigherforGroupІcomparedtoGroupⅡ. Also, among the Group І, body h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Group Ⅱ.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arents’ dietary behavior score, from 76.9 before to 79.5 after participating in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ost-education program dietary behavior scores of the children and the scores of the par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nhancement of nutrition knowledge through well-planned long-term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not only for the improvement of dietary behaviors and dietary intakes but also for the positive changes in anthropometric parameters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Since children’s dietary behavior and parents' dietary behavior are correlated, the nutrition education for parents also should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to have the consistent nutrition education at home as well as the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for children at school for children's proper dietary behavi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INTRODUCTION = 1 Ⅱ. SUBJECTS AND METHODS = 5 A. Subjects = 5 B. Nutrition Education Program = 5 1. Children = 5 2. Parents = 7 C. Data Collection = 10 1. General Characteristics = 10 2. Nutritional Knowledge = 10 3. Dietary Behavior = 11 4. Food and Nutrient Intakes = 11 5. Diet Quality = 12 6. Physical Activity = 12 7. Anthropometric Measurements = 12 8. Parental Opinions = 13 D. Statistical Analysis = 13 Ⅲ RESULTS = 15 A. Children = 15 1. General Characteristics = 15 2.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 17 a. Nutritional Knowledge = 17 b. Dietary Behavior = 19 3. Diet Intake = 21 a. Food Intake = 21 b. Nutrient Intake = 23 4. Diet Quality = 27 5. Physical Activity = 29 6. Anthropometric Measurements = 30 7. Correlation Analysis = 32 8. Comparison according to breakfast eating pattern = 34 a. General Characteristics = 34 b.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 36 c. Diet Intake = 38 d. Diet Quality = 41 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 43 B. Parents = 45 1. General Characteristics = 45 2. The Perception of Parents of their children’s Dietary Behavior = 47 a. Breakfast = 47 b. Unbalanced Diet = 49 3. Dietary behavior = 51 4. Correlation Analysis = 53 5. The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for Children = 54 a. Nutrition Education Needs of Parents regarding Children = 54 b. Important Topic for Child Nutrition Education = 56 Ⅳ. DISSCUSSION = 58 REFERENCES = 67 APPENDICES = 73 국문초록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49274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Effect of Nutrition Model School Program on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Body Composition in Primary School Children-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영양시범학교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영양지식, 식행동, 식이섭취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dc.format.pageⅶ,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