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선희-
dc.contributor.author장정희-
dc.creator장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1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8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12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oreigners' acculturation and uncertainty avoidance on dining-out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d foreigners' attitudes toward Korean foods and Korean cuisine restaurants based on their nationality such as USA/Canada, Europe, China, and Philippine. The factors that influencing foreigners' satisfaction with Korean cuisine restaurants were also investigated. The survey was completed by 247 foreigners who reside in Korea.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using median of uncertainty avoidance and accultur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 acculturation group have stayed in Korea longer than low acculturation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ow and high acculturation groups in attitudes toward Korean culture and Korean foods, knowledge of Korean foods, preference of Korean foods, satisfaction with Korean cuisine restaurants, and behavior intentions to Korean cuisine restaura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ow and high uncertainty avoidance groups except satisfaction with staying in Korea and price perception of Korean food. In addition, foreigners living in Korea showed different dining out behavior based on their nationality. USA/Canada and China groups dined out and visited Korean cuisine restaurants more than Europe and Philippine groups. Also, China group was more acculturated than other nationality groups. But USA/Canada and Europe groups' uncertainty avoidance score is lower than China and Philippine groups. China group showed the highest knowledge level of Korean foods and preferred Korean foods. USA/Canada and Europe groups perceived price of Korean foods as cheap compared to China and Philippine groups. USA/Canada, Europe, and China groups were more satisfied with Korean cuisine restaurants and higher behavior intentions to Korean cuisine restaurants than Philippine group. The attitudes toward Korean foods, knowledge of Korean foods and acculturation influenced on preference of Korean foods. Also, the price perception of Korean food, attitudes toward Korean foods,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s influenced on satisfaction with Korean cuisine restaurants. Keywords: Acculturation, Uncertainty avoidance, Foreigner, Satisfaction with Korean cuisine restaurants, Knowledge of Korean foods, Dining-out behavior, Attitudes of Korean foods ;최근 인적 이동과 교류를 통하여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외식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국내에 거주하면서 한국 문화에 적응하는 정도와 불확실하거나 정형화되지 않은 상황 또는 환경을 회피하려는 개인적 특성에 따라 외국인들의 국내 음식점을 이용하는 행태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문화적 적응도와 불확실회피성에 따른 외식 이용 행태의 차이를 파악하고 한국 음식과 한국 음식점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그리고 외국인을 출신 국적에 따라 미국/캐나다인, 유럽인, 중국인, 필리핀인 집단으로 나누어 그들의 외식 이용 행태를 비교하였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247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문화적 적응도와 불확실회피성,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 한국 체류에 대한 만족도, 한국 음식에 대한 태도,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도, 한국 음식에 대한 선호도, 한국 음식에 가격 인식도, 한국 음식점에 대한 만족도, 한국 음식점에 대한 재방문 의도, 한국 음식점에 대한 추천 의도로 구성되었다. 조사대상자의 문화적 적응도 중앙값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어 조사한 결과 문화적 적응도가 높은 집단의 거주기간은 낮은 집단보다 길게 나타났으며, 문화적 적응도에 따른 외식 빈도, 1인당 지출하는 평균 외식 비용, 외식 지출 비용, 한국 음식점 방문 빈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문화적 적응도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한국 문화 및 음식에 더 긍정적이고 우호적이었으며, 한국 체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으며, 한국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 적응도가 높은 집단의 한국 음식점에 대한 만족도 및 행동 의도는 낮은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불확실회피성 중앙값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어 조사한 결과 불확실회피성이 낮은 집단의 거주기간이 높은 집단보다 길게 나타났으며, 불확실회피성이 낮은 집단의 외식 빈도, 1인당 지출하는 평균 외식비용, 외식에 지출하는 월평균 비용이 높은 집단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확실회피성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한국에서 체류하는 것에 대한 만족도가 높 았으며, 한국 음식에 대한 가격에 대해 비싸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적응도와 불확실회피성을 기준으로 문화적 적응도가 높고 불확실회피성이 높은 집단, 문화적 적응도가 높고 불확실회피성이 낮은 집단, 문화적 적응도가 낮고 불확실회피성이 높은 집단, 문화적 적응도가 낮고 불확실회피성이 낮은 집단으로 나누었다. 문화적 적응도가 높고 불확실회피성이 낮은 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한국 문화와 음식에 대한 태도가 우호적이고 긍정적이며, 한국 음식점에 대해 만족하고 재방문 의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 적응도가 높고 불확실회피성이 높은 집단의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 한국 음식점에 대한 추천 의도가 문화적 적응도가 높고 불확실회피성이 낮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국 음식에 대한 선호도와 한국 음식점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한국 음식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도와 문화적 적응도가 높을수록 한국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음식의 가격이 저렴할수록 한국 음식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한국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한국 음식점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출신 국적에 따라 한국 음식과 한국 음식점에 대한 태도 및 행동 의도에 차이가 있었다. 미국/캐나다인 집단의 거주기간은 유럽인, 중국인, 필리핀인 집단보다 길게 나타났으며, 미국/캐나다인과 중국인 집단의 외식 빈도 및 한국 음식점 방문빈도는 유럽인과 필리핀인 집단보다 더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캐나다인, 유럽인, 필리핀인 집단은 중국인 집단과 비교하여 문화적 적응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미국/캐나다인과 유럽인 집단의 불확실회피성이 중국인과 필리핀인 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중국인 집단은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가 높은 반면 필리핀인 집단은 두 항목에 있어 그 점수가 낮았다. 미국/캐나다인과 유럽인 집단은 중국인과 필리핀인 집단보다 한국 음식에 대한 가격을 비싸게 인식하지 않았으며, 한국 음식점에 대해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방문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필리핀인 집단을 제외한 세 집단은 한국 음식점에 대한 추천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외국인의 문화적 적응도를 높여 한국 음식과 한국 음식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국내 거주 외국인 현황 = 5 B 외국인의 한국 음식에 대한 인식과 한국 음식점 이용 행태 = 9 1 외국인의 거주기간과 한국 음식에 대한 인식의 관계 = 9 2 외국인의 한국 음식에 대한 인식과 한국 음식점에 대한 이용 행태 = 11 C 문화적 적응도에 관한 이론적 고찰 = 16 1 문화적 적응도의 개념과 측정항목 = 16 2 문화적 적응도와 식습관과 외식 행동과의 관계 = 23 D 불확실회피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 25 Ⅲ 연구 모형 및 연구 조사 방법 = 28 A 연구 조사 방법 = 28 1 설문조사 = 28 2 설문도구 개발 = 28 B 통계분석 = 33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 35 A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외식 이용 행태 = 35 B 조사대상자의 한국 음식에 대한 태도 = 42 1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와 한국 체류에 대한 만족도 = 42 2 한국 음식에 대한 태도와 이해도 = 43 3 한국 음식에 대한 가격 인식도와 한국 음식점에 대한 만족도 및 행동 의도 = 46 C 출신 국적에 따른 집단 간 비교 = 48 1 출신 국적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 차이 = 48 2 출신 국적에 따른 외식 이용 행태 차이 = 51 3 출신 국적에 따른 문화적 적응도, 불확실회피성,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와 한국 체류에 대한 만족도 차이 = 55 4 출신 국적에 따른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 차이 = 57 5 출신 국적에 따른 한국음식에 대한 가격 인식도와 한국 음식점에 대한 만족도 및 행동 의도 차이 = 59 D 한국 음식에 대한 선호도와 한국 음식점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61 E 연구 결과 = 63 Ⅴ 연구 결과 및 분석 Ⅱ = 65 A 조사대상자의 문화적 적응도와 불확실회피성 = 65 B 문화적 적응도에 따른 집단 간 비교 = 67 1 문화적 적응도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 차이 = 67 2 문화적 적응도에 따른 외식 이용 행태 차이 = 70 3 문화적 적응도에 따른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와 한국 체류에 대한 만족도 차이 = 73 4 문화적 적응도에 따른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 차이 = 74 5 문화적 적응도에 따른 한국 음식에 대한 가격 인식도와 한국 음식점에 대한 만족도 및 행동 의도 차이 = 75 C 불확실회피성에 따른 집단 간 비교 = 77 1 불확실회피성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 차이 = 77 2 불확실회피성에 따른 외식 이용 행태 차이 = 80 3 불확실회피성에 따른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와 한국 체류에 대한 만족도 차이 = 83 4 불확실회피성에 따른 한국 음식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 차이 = 84 5 불확실회피성에 따른 한국 음식에 대한 가격 인식도와 한국 음식점에 대한 만족도 및 행동 의도 차이 = 85 D 문화적 적응도와 불확실회피성에 따른 한국 음식과 한국 음식점에 대한 태도와 행동 의도 차이 = 86 E 연구 결과 = 89 Ⅵ 제언 = 91 참고문헌 = 94 부록 -① 표 = 102 부록 -② 설문지 = 113 Abstract =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66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외국인의 문화적 적응도와 불확실회피성에 따른 한국 음식에 대한 태도와 한국 음식점 이용 행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fluence of Acculturation and Uncertainty Avoidance on the Dining Out Behavior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dc.creator.othernameJang, Jung Hee-
dc.format.pageⅹ,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