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우수진-
dc.creator우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8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2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8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27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reviewed the 19th Century ballet (and ballet works, 「La Sylphide」and 「The sleeping Beauty」) and interpreted them from the viewpoint of feminism. As the basic framework of the study, I viewed the above works in terms of socio-political context of 19th Century ballet as well as its aesthetic aspects. This study made an issue of the way the feminism dance theory focuses mainly on the analysis of the superficial image of women in the dance. As an alternative, I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 itself of he works. Most of the early feminist dance theorists adopted the framework of "Victim-Heroin" dichotomy in their analysis of feminine images. Whereas Sylphide in 「La Sylphide」is an object of praise in that she is a beautiful woman, she is also interpreted as an object of feminine abhorrence in that she is an immoral person who enticed James from the happy, normal marriage. On the same token, while witch Madge is an object of feminine abhorrence in that she is an ugly person, she possesses mysterious charm that cannot be ignored. Thus, it is evident that the framework of dichotomy cannot be simply applied to women in dance. The typical viewpoint in the existing cultural theory that views attractive women as nice but silly and unattractive women evil and nasty does not have strong enough theoretical grounds. This stydy gave more attention to the image in the "performance"of the female dancer than the image in the "plot"of the works in the analysis of the female image. Among the many ballet works that deals with marriage, 「The sleeping Beauty」 exhibits one of the most grandeur wedding ceremony scenes. This ballet is thus often seen as a typical representation of patriarchy. The male role in this work, however, is obscure while female role enjoys the highest agency. We also see the weakened gender role message of the original fairy tale by which this work was influenced. The makers of this ballet intentionally reconstructed the work as to give focus on the active princess in spite of the original fairy tale based on patriarchal idea. From this viewpoint, the image of beauty, feebleness, and passivity Aurora the heroin implies is countered by her image of challenge, strength, and autonomy exhibited through her performance. Also in Love pas de deux, Aurora, with the aid of Prince Desire, expanded her movement vocabulary by which she achieved rich expressiveness and overflowing aesthetic appreciation. Based on the above study, it could be said that the 19th Century ballet not only reflected the dominant culture as the Literature and the Art of the time did but also influenced the culture of the time.;본 연구는 19세기 발레를 페미니즘 관점에서 재해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19세기 발레는 낭만발레와 러시아 궁정발레를 포함한다. 또한 페미니즘 관점이란 무용 및 무용작품을 분석할 때 성 역할과 여성이미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19세기 여성무용가를 살펴보면 불행하게도 그 중에서 안무가의 역할을 한 여성은 거의 없었고 대부분 무용수의 역할을 담당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세기 발레와 성 역할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먼저 발레대본(narrative) 자체에 나타난 여성의 역할을 분석해보면 이 시기 발레작품에 나타나는 여성은 대부분 가정주부나 어머니보다는 결혼 전 젊은 여성이었으며 일하는 여성에 대한 재현은 거의 나나타지 않았다. 한편 발레기법과 성 역할의 관계성은 19세기에 새롭게 등장한 포인트 웤과 보다 발전된 형식을 갖추게 된 파 드 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포인트 웤의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으나 「사실피드」에서 마리 탈리오니(Marie Taglioni)가 선보인 포인트 웤은 그것이 명실상부한 여성의 영역임을 확증하는 것이었으며 여성에게 고유한 움직임 어휘를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1820년대에 전통적인 소프트 슬리퍼를 신고 발가락 끝으로 잠시 동안만 떠 있던 묘기는 1860년대 이후부터 끝ㅇ르 무디고 견고하게 만든 보다 발전된 슬리퍼의 개발로 확장된 표현성과 기능을 가진 기법으로 발전되었다. 보다 빠른 그리고 많은 횟수의 턴이 가능하게 되었고, 동장은 더욱 정확하고 깨끗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19세기에는 파 드 듀의 형식이 발전하면서 남녀 무용수의 움직임 어휘가 다양해졌을 뿐 아니라 각각의 움직임에 독특성이 더해짐으로써 남녀 무용수역할구분이 뚜렷해지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는 동작이 현자하게 구분되는 발레 언어가 호평을 받았는데 여성무용수는 까다롭고 복잡한 발동작과 보다 섬세해진 균형 잡기에 남성은 이전보다 훨씬 높은 도약, 비트에 맞춘 점프, 그리고 늘어난 턴 획수에 익숙해 졌다. 대부분 초기 페미니즘 무용이론에서 여성이미지 연구는 여성의 표면적 이미지만을 다루었으며 이항대립(희생자/위대한 여성)적 관점을 수용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무용분석의 과정과 결과를 단순화시키고 균형을 잃은 정치적 단정으로 치우치는 오류를 범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라실피드」에서 실피드는 아름다운 여성이라는 점에서는 찬미의 대상이지만 제임스를 유혹하여 행복하고 정상적인 결혼으로부터 일탈시킨 여성이라는 점에 있어서는 여성혐오의 대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마녀 맷지는 추한 외모를 가진 여성이라는 점에서는 여성혐오의 대상이지만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비밀스로운 영묘함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발레작품에 나타난 여성을 이항 대립적인 틀의 어느 한 족에 끼워 맞출 수 없었다. 따라서 기존의 문화이론에서 사용되었던 아름다운 여성은 착하고 순진하며, 못생긴 여성은 사악하고 교활하다는 식의 분법적인 틀은 설명력이 떨어진다. 또한 「잠자는 숲 속의 미녀」를 분석하면서 작품의 이야기 구조(plot) 뿐 아니라 여성무용수의 움직임수행(performance)에 나타난 이미지도 고려하였다. 왜냐하면 발레작품을 분석하면서 움직임을 간과하는 것은 무용의 독특성을 희석하여 분석의 폭을 제한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결혼을 주제로 한 발레작품 중에서 「잠자는 숲 속의 미녀」는 가장 화려한 결혼식 장면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흔히들 이 작품을 전형적인 가부장제의 재현으로 해석한다. 하지만 이 직품의 세계에서 오로라는 이야기구조상 아름답고 연약하고 수동적인 이미지를 보여주는 오로라는 이야기구조상 아름답고 연약하고 수동적인 이미지를 보여주는 오로라는 움직임수행의 측면에서 오히려 도전적이고, 힘과 자율권을 가진 여성의 이미지로 나타났다. 남성은 사라져버리고 여성이 최고의 권위를 구가하며 특히 이 작품에 영감을 주었던 원작 요정이야기의 성 역할 메시지는 발레로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약화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4 II. 이론적 배경 5 A. 페미니즘의 태동과 전개 5 B. 페미니즘 예술이론 14 C. 19세기 발레 24 1. 낭만발레 24 2. 러시아 궁정발레 28 III. 발레와 성 역할 31 A. 결혼이야기(marriage plot) 와 성 역할 31 B. 기법과 성 역할 36 1. 포인트 웤(point work) 36 2. 파 드 듀(pas de deux) 41 IV. 발레 작품에 나타난 여성이미지 46 A. 「라실피드」(La Sylphide) 46 B. 잠자는 숲속의 미녀 (The Sleeping Beauty) 54 V. 결론 74 참고문헌 78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865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발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La Sylphide' 와 'The sleeping beauty'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