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영-
dc.creator김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9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5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6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514-
dc.description.abstractThe air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oyoligosaccharides on intestinal microflora, transit time, lipid profiles and immune responses. Forty-eight male rats of Sprague Dawley strain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SYS: soybean oil-sucrose, SYO: soybean oil- oligo, SES: sesame oil-surcrose, SEO: sesame oil-oligo, BFS: beef tallow-sucrose, BFO: beef tallow-oligo). soyoli해-groups(SYO, SEO, BFO) were fed the diet containing 5%(w/w diet) soyoligosaccharides, but control groups not fed them and groups were fed 20% fats for 4 weeks. The number of fecal bifidobacteria tended to increase after soyoligosaccharides feeding. The significant increase was found in SEO group compared to SES in that of fecal bifidobacteria. Stool wet weight, dry fecal weight and stool water content were incresed significantly in soyoligo-groups(SYO, SEO, BFO). Soyoligosaccharides lowered plasma cholesterol in SEO group significantly more than did other groups. oyoligo-groups(SYO, SEO, BFO) tended to decrease liver triglycerides compared to control groups(BFS, BFO) than that in other dietary fat groups. Soyoligosaccharides and kinds of fats had no effects on plasma C₃concentration and mitigenesis of the spleen cells. Soyoligosaccharides had no effects on plasma leptin and insulin concentration, but kinds of fats did, so that sesame group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plasma leptin concentration, compared to other dietary fat groups. In conclusion, dietary soyoligosaccharides tended to change the composition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beneficially and partially affected on plasma and liver lipid profiles.;본 연구는 대두올리고당이 장내 균총 지질 대사, 장 통과시간, 면역 능력 및 혈중 leptin과 insulin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생후 2주된 48마리의 Sprague Dawley 수컷 흰쥐들을 3가지 식이 지방(참기름, 콩기름, 우지)와 대두올리고당 첨가 유우에 따라 6군(SYS: soybean oil-sucrose, SYO: soybean oil- oligo, SES: sesame oil-surcrose, SEO: sesame oil-oligo, BFS: beef tallow-sucrose, BFO: beef tallow-oligo)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실험식이는 대두올리고당을 식이 무게의 5%로 섭취시켰으며, 지방 섭취량은 식이 지방 급원의 종류에 상관없이 식이 무게의 20%로 하였다. 실험 시작전과 4주 후에 비피더스균 수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서 장내 균총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배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2주째에 장 통과시간(Gastrointestinal transit time)을 관찰하였다. 실험 동물을 희생시키기전 48시간 동안 변을 수거하여 변 양을 측정하였다. 실험 동물을 희생하여 혈장과 간의 총 지방,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을 분석하여 지질대사를 알아보았으며, 면역 능력으로 비장세포의 mitogenesis 능력과 혈장의 immunoglobulin과 C₃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leptin과 insulin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 동물의 체충 증가량 및 식이 섭취량은 식이 올리고당의 섭취 유무와 지방의 종류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실험 동물의 시작 당시의 체중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최종 체중은 식이 지방 종류의 영향으로 참기름군이 콩기름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올리고당의 영향은 없었다. 식 효육은 식이 올리고당의 섭취 유무와는 관계가 없었으나 섭취한 지방 종류에 따라 유의적으로 참기름군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우지군. 콩기름군의 순이었다. 간의 무게와 100g당 체중으로 본 간의 무게가 모두 가장 무게가 많이 나간 군이 참기름군이었고 다음으로 우지군, 콩기름군의 순으로 모든 식이 지방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신장 무게는 우지군이 다른 지방군들보다 유의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갔으며, 100g당 체중으로 본 신장의 무게는 무게가 많이 나간 군부터 우지군, 콩기름군, 참기름군의 순으로 모든 식이 지방군들에 비하여 콩기름군만이 유의적으로 무게가 적었으며, 100달 체중으로 본 부고환 지방의 무게는 역시 올리고당 섭취의 영향은 없었으나, 식이 지방 종류에는 따른 영향으로 콩기름군이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무게가 적었다. 100g당 체중으로 본 신장의 무게는 참기름군이 콩기름군간보다 유의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갔다. 흉선의 무게는 절대 무게나 100g당 체중으로 본 무게나 모든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실험식이 섭취전의 변 내 비피더스균 수에서 군간의 차이가 없었고, 4주 후에는 지방 올리고장 섭취 유무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올리고당을 섭취하고 난 4주 후의 균수를 보면 참기름순(SEO)은 대두올리고당을 섭취한 군이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SES)보다 비피더스 균수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콩기름군이나 우지군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올리고당을 섭취시킨 참기름군(SEO)만이 4주동안 비피더스 균의 수가 실험 시작시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각 군의 건변 무게는 지방의 종류와 올리고당의 섭취에 따른 차이가 있었는데, 양이 많은 순서부터 우지군, 참기름군, 콩기름군의 순 이었고, 지방 종류에 상관없이 올리고당을 섭취한 군이 건변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많았다. stool wet weight는 지방 종류에 따른 영향은 없었으나 올리고장의 효과에 있어 올리고당이 stool wet weight 모두 SEO군과 BFO군이 가장 유의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갔으며 다음으로 군 SYO, SES, BFS군의 순이었고, SEO군과 BFO군보다 유의적으로 SYS군이 가장 무게가 적게 나갔다. 혈장의 총지방량은 식이 지방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는데, 콩기름군이 참기름, 우지군보다 유의적으로 농도가 높았다. 지방군의 종류에 따라 혈장 총지방에 대한 대두올리고당의 영향은 달랐는데, 콩기름군은 대두올리고당의 섭취한 군들이(SEO, BFO)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장 총 콜레스테롤도 식이 지방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 참기름군과 우지군이 콩기름군 보다 유의적으로 농도가 높았다.올리고당 섭취의 영향은 참기름군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 올리고당을 섭취한 참기름군(SEO)의 참기름군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 올리고당을 섭취한 참기름군(SES)보다 낮게 나타났다. 혈장중성지방도 식이 지방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 우지군과 참기름군이 콩기름군보다 유의적으로 농도가 높았으나 올리고당의 효과는 없었다. 간의 총비장량은 식이지방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 콩기름군이 우지군, 참기름군보다 유의적으로 농도가 높았다. 간의 총 콜레스테롤은 지방이나 올리고당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 콩기름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참기름군, 웆군보다 높았다. 올리고당의 섭취가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모든 식이 지방군에서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Mitigen 증식능력에 대해서는 T-cell의 증식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ConA와 PHA, 그리고 B-cell의 증식을 자극하는 PWMdo 대해서 올리고당의 첨가 유무와 지방 급원의 종류가 영향을 우지 않았다. 혈장 면역글로빈과 C₃의 양을 보면, 대올리고당의 섭취 영향은 없었으나 식이 지방 지방 종류의 영향으로 우지군이 다른 식이 지방군들에 비하여 IgG의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콩기름군, 참기름군의 순으로 농도가 낮았다. 농도가 가장 높았던 우지군에서만 올리고당으로 인항 혈장 IgG의 증가 경향이 나타났다. C₃은 모든 식이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식이 지방과 올리고당의 섭취유무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장의 leptin 농도는 올리고당의 섭취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식이 지방 종류에 따른 차이가 있어, 참기름군이 다른 식이 지방군보다 유의적으로 농도가 낮았다. 혈장의 insulin 농도는 식이 섭취한 올리고당의 영향은 없었으나, 식이 지방 종류의 영향으로 참기름군이 다른 식이 지방군들보다 유의적으로 농도가 높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서론 1 실험 재료 및 방법 4 1. 실험 동물의 사육 및 식이 4 2. 혈액과 장기의 채취 8 3. 생화학적 분석 8 1) 비피더스 균수 측정 8 2) 장 통과시간 11 3) 혈액과 간의 지질수준 분석 11 A. 혈장의 총지방,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분석 11 B. 간의 총지방,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분석 11 4) 비장세포의 면역 증식 능력 측정 12 5) 혈장의 면역 글로불린, C₃수준 측정 14 6) 혈장의 insulin과 leptin의 농도 분석 14 4. 자료 분석 14 실험결과 및 고찰 15 1. 실험 동물의 사육 효과 15 1) 식이 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식이 효율 15 2) 장기 무게 18 2. 비피더스균 증식 효과 21 3. 변 무게와 장 통과시간에 미치는 영향 24 4. 체내 지질 대사 27 5. 면역 능력에 미치는 영향 34 6. 혈장의 insulin과 leptin 수준에 미치는 영향 39 요약 및 결론 45 참고문헌 48 ABSTRACT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277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대두올리고당이 흰쥐의 장내 균총, 지질 대사 및 면역 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