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혜-
dc.creator김성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7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5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5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517-
dc.description.abstract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a diabetes which begins or is recognized during pregnancy, is getting much more attention because of its association with macrosomia, congenital malformation of infant and high probability of shifting to NIDDM in the pregnant women years later.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nalyse the factors affecting blood glucose in pregnant women with GDM by comparing anthropometric data, dietary behaviors and pregnancy outcome in pregnant women with GDM to those without it. The study subjects were 21pregnant women with GDM and 43 control women receiving prenatal care at the Obstetrics and Gynaecology depar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ce in the mean age between two than the control women by.2.6cm. CGM prevalence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high pre-pregnancy bady weight. GDM=61.1kg, Non-GDM=54.1kg), body mass index(BIM: GDM= 23.95kg/m², Non-GDM=20.5kg/m² and triceps skin fold thickness at 28 week of gestation(GDM=30.9mm, Non-GDM=24.7mm). Family history in diabetes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DM group(GDM=52.4%, Non-GDM=23.3%). More irregular meal behaviors, more Frequent snacking and high intakes on calories and carbohydrate were observed in GDM group. A decrease in mean gestation was reported in, 37.2 weeks in average which is shorter than control group by one and half week Although mean birth weight of two groups' infants were no different prevalence of macrosomia(>4,000g at birth) in GDM group,4.7%. PP2 blood glucose level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height(r=-0.23567, p=0.0652) an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BMI(r=0.47321, p=0.0001), Triceps skinfold thickness(r=0.45399, p=0.0002), Systolic blood pressure(r=0.31537, p=0.0141), diastolic blood pressure(r=0.028545, p=0.0271) and energy intake (r=0.36525, p=0.0035) implying that the smaller height are and the higher BMI, blood pressure and energy intake are, the higher blood glucose level is. These data can be used in screening pregnant women with GDM and also provide basic guidelines for blood glucose management during pregnancy.;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은 임신 주에 처음 발병하거나 발견되는 다양한 형태의 당대사 장애로, GDM 임신부에게는 거대아 분만률이 높고, 임신성 당뇨병을 경험했던 여성이 수년 후에 제 2형 당뇨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 문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GDM 임신부의 체위, 비만도, 식이 섭취실태, 임신결과를 정상임산부와 비교분석하고, 둘 때, GDM 인신부의 혈당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인체계측적 요인과 식생활요인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C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관리를 받고있는 임신부들로 NDDG (1979, National Diabetes Data Group) 기준에 따라 임신성 당뇨병으로 판정된 사람 21명과 정상인 43명이었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임신성 당뇨병균이 30.8±4.4세. 대조군은 30.5±4.0세로 비슥하게 고정시켰다. 인체계측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GDM군의 신장은 158.7±4.6cm로 대조군에 비해 2.6cm 작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임심 전 체중은 GDM군 61.1±9.8kg, 대조군 54.1±7.1kg, 임신전 BMI는 GDM군 23.9±3.5kg/m², 대조군 20.5±2.4kg/m²로 GDM 군의 임신 전 체중과 BMI가 정상군에 비해 모두 유의적으로 높았다. 임신 28주에 측정된 GDM군의 Triceps skinfold thickness는 30,9±7.4mm로 대조군의 24.7±4.6mm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당뇨병에 대한 가족력도 GDM군이 52.4%로, 대조군의 23.3%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습관 비교 결과, GDM군의 경유 불규칙한 식사율과 간식빈도가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된 영양섭취량 분석 결과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GDM군의 열량과 탄수화물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임신결과를 종합해 볼 때, GDM군의 재태기간은 37.2±2.5주로 대조군에 비해 1.5주 짧았다. 신생아 평균채중에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었지만, 출생체중이 4,000g을 초과하는 거대아 발생빈도는 GDM의 경우 19.1%로 대조군 (4.7%)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았다. 임신 24~28주에 측정된 GDM군의 식후 2시간 혈당수준은 신장과 음의 상관관계(r=-0.23567, p=0.0652)가 있었고, 임신 전 BMI(r=0.47321, p=0.0001), Triceps skinfold thickness(r=0.45399, p=0.0002),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 r=0.31537, p=0.0141, Diastolic blood pressure: r=0.028545, p=0.0271)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식생활 요인 중 열량 섭취량은 혈당 수준과 섭취량이 양의 상관관계(r=0.36525, p=0.0035)를 나타냈다. 신장이 작고 비만도와 혈압 섭취열량이 높을수록 임신 후반부의 혈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GDM을 선별(screening)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임신기간동안 혈당 조절을 위한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연구내용 및 방법 4 A. 연구 대상자 및 기간 4 B. 조사내용 및 방법 5 C. 자료의 처리 및 분석 7 III. 연구 결과 및 고찰 8 A. 일반적인 특징(General Characteristics) 8 B. 혈당, 생화학 지수 11 C. 산과적 특성(Obstetric characteristics) 18 D. 흡연 및 알코올 섭취 실태 20 E. 건강 관련 인자(Health related variables) 23 F. 스트레스 요인 분석 25 G. 식이 섭취 실태 27 H. 임신결과(Pregnancy outcomes) 34 I. 혈당과 다른 인자들의 상관성 비교 40 IV. 요약 및 결론 54 참고문헌 56 부록1. 일반사항 및 식이섭취조사 설문지 65 Abstracts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220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임신성 당뇨병환자의 인체계측적 특성과 식품영양섭취실태 및 산과적 결과-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