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남수-
dc.contributor.author윤희경-
dc.creator윤희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4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38-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 weight control progra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he program was composed of diet and behavioral modifications for 8 weeks. A total of 160 participants enrolled the weight control program. Upon completion of the program, 97 participants experienced weight loss and 63 did not. On completion of 8 weeks' program, the intakes of carbohydrate and fa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groups. All INQ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fiber, calcium, folate had an INQ of less than 1.0 at the baseline. Yet upon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all had reached to 1.0, except for fiber. The variety scores of protein source and adequacy scores of vegetable, fiber and vitamin C and moderation scores of empty calorie food from DQI-I increased significantly in weight loss group. Total DQI-I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weight loss group. The moderation scores of empty calorie food from DQI-I increased significantly in weight gain group, also. In the weight loss group, weight, BMI, body fat, percent body fat and waist-hip ratio decreased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weight loss group had higher changes of weight (weight loss group: -2.3% and weight gain group: 1.5%; p<0.001), body fat (-4.5% and 1.6%, respectively, p<0.001), percent body fat (-3.0% and 0.6%, respectively, p<0.01), waist-hip ratio (-0.7% and 0.6%, respectively, p<0.001) and skeletal muscle (-0.9% and 1.9%, respectively, p<0.01) compared to the weight gain group. On completion of 8 weeks' program, serum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groups(p<0.05). In addition, triglyceride and AI leve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subjects. The blood profile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weight loss group and weight gain group. The change of DQI-I scor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eight (r=-0.160, p<0.05) and BMI(r=-0.159, p<0.05) changes. These results show that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may help improved diet quality leading to successful weight management for the college females along with decreased triglyceride and AI.;본 연구는 서울 E 여자 대학교의 교내 보건소 체중조절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대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총160명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영양교육은 저탄수화물, 고단백질, 고섬유질 식이를 중심으로 교육하였고, 24시간 식사회상법을 이용하여 첫째주와 마지막주에 식이 섭취조사를 한 뒤 CAN pro 3.0을 이용하여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체중감소군 체중증가군으로 나누어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후의 식이섭취, 체성분, 혈액성분 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프로그램 시작 전에 비해 두 군 모두 탄수화물, 지방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은 두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 개인간의 열량섭취의 차이를 고려하여 식사 1000kcal당 영양소함량(영양밀도)을 비교하였더니 두 군 모두 프로그램을 종료 후에는 시작 전에 비해 단백질, 섬유질, 인, 칼륨, 비타민B1, 비타민B6, 비타민C, 엽산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영양밀도지수(INQ)는 체중감소군에서는 단백질, 섬유질, 인, 비타민B6, 나이아신, 비타민C, 엽산, 칼슘, 비나민B1, 아연이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체중증가군에서는 단백질, 섬유질, 인, 비타민B2, 비타민B6, 나이아신, 비타민C, 엽산, 칼슘, 아연이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체중감소군에서는 DQI-I 의 총점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다양성 항목의 단백질 급원식품 점수와 적정성 항목의 채소와 섬유질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절제성항목에서는 empty calorie foods점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체중증가군에서는 DQI-I 총점과 모든 항목의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empty calorie foods점수만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다. 체중감소군에서는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 waist-hip ratio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체중증가군에서는 체중, BMI, 체지방량, 체지방률의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waist-hip ratio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두 군간의 체성분 변화율을 비교해보면 체중감소군이 체중증가군에 비해 체중, BMI, 체지방량, 체지방률, waist-hip ratio가 더 감소하였다. 두 군 모두 중성지방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의 DQI-I변화와 체성분 변화가 서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본 결과, 전체대상자에서 DQI-I가 증가할수록 체중과 BMI의 감소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대상자들의 탄수화물과 지방의 섭취량은 줄이면서 단백질, 무기질 및 비타민의 섭취량은 증가시켜 식사의 질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체성분, 혈액 성분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연구내용 및 방법 = 6 A. 연구대상자 및 기간 = 6 B. 체중관리 프로그램 = 6 1. 영양교육 = 6 2. 행동수정 요법 = 9 3. 통계적 자료의 처리 및 분석 = 9 C. 신체계측 및 혈액성분검사 = 10 1. 신체 계측 = 10 2. 혈액 성분 검사 = 10 D. 식품섭취 및 식습관 조사 = 11 1. 식품섭취 조사 = 11 2. 식사의 질 평가 = 11 가. 평균적정섭취비(MAR) = 11 나. 영양의 질적지수(INQ) = 12 다. DQI-I = 12 Ⅲ. 연구결과 = 16 A. 전체대상자 분석 = 16 1. 신체계측 = 16 2. 식품,영양소섭취량 및 식사의질 = 18 가. 식품군별 섭취량 = 18 나. 영양소 섭취량 = 20 3. 식사의 질 평가 = 23 가.영양밀도지수(INQ)와 평균영양소적정비(MAR) = 23 나. DQI-I = 23 4. 혈액성분 = 26 B. 체중증가감소에 따른 비교 = 27 1. 신체계측 = 27 2.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 30 가. 식품군별 섭취량 = 30 나. 영양소 섭취량 = 32 3. 식사의 질 평가 = 36 가. 영양밀도 지수(INQ)와 평균 영양소 적정(MAR) = 36 나. DQI-I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 38 4. 혈액성분 = 40 C. DQI-I 와 체성분의 상관관계 = 42 Ⅳ. 고찰 = 43 Ⅴ. 요약 및 결론 = 48 참고문헌 = 51 ABSTRACT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14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체중관리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식습관, 신체성분,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weight management program on diet quality,blood lipids profiles and body composition in college female students-
dc.creator.othernameYun, Heekyung-
dc.format.pageⅵ,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