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4 Download: 0

The Association of Dietary Intakes during Pregnancy and Lead Levels in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Title
The Association of Dietary Intakes during Pregnancy and Lead Levels in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Other Titles
임신부와 제대혈의 혈중 납 농도와 임신 중 임신부의 식이 섭취와의 관련성 연구
Authors
이아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dietary intakes and lead levels in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The collaborating multi-centers of Seoul, Ulsan, and Cheonan, came together for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Mothers and Children’s Environment and Health (MOCEH) which enrolled 310 women during the second trimester (12~28weeks) of their pregnancy from August 2006 to February 2007. In 310 pregnant women, dietary intake during pregnancy was assessed by 1-day 24-hour recall method. Blood sample from maternal at mid-term 12-28 wks of gestation and their cord blood at delivery were collected. Blood lead levels were analyzed by atomic-absorption spectrometry methods. Lead levels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were 0.076±0.031umol/L and 0.049±0.022umol/L, respectively. Lead levels of umbilical cord blood in highest terti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lowest and median tertile. Maternal blood lead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lead level of umbilical cord blood. In the maternal subjects, blood lead level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t and meat products intake during pregnancy. Blood lead level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milk and milk products intake during pregnancy. In umbilical cord blood, lead level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milk and milk products intake and sugar and sugar products intake during pregnancy. Maternal whose milk and milk products intake were below the median value showed high in blood lead levels of maternal subjects and their newborns than those with intakes above the median. Maternal calcium intakes were below the median value showed high in maternal blood lead levels than those with intakes above the median. In the maternal subjects, after adjustment for maternal age, passive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blood lead levels were positively influenced by intakes of meat and meat products. blood lead levels were negatively influenced by intakes of milk and milk products. In umbilical cord blood, after adjustment for maternal age, passive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blood lead levels were negatively influenced by intakes of milk and milk products and sugar and sugar products. Therefore, in this study, show that the association of maternal dietary intakes such as calcium, meat and meat products, milk and milk products and sugar and sugar products, and lead levels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intake during pregnancy may effects lead levels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careful regulation of dietary intake during pregnancy is perceives to be important in order to bring about desirable pregnancy outcomes.;본 연구는 임신부와 제대혈의 납 농도와 임신 중 모체의 식이 섭취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전향적 코호트 연구로서, 2006년 8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임신 12-28주의 임신부 31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 졌다. 임신부의 임신 중 식이 섭취는 24시간 회상법 (24h-recall)을 통해 조사하여 Can-pro 3.0으로 분석하였다. 임신부의 혈액은 12-28주, 제대혈은 분만 당시에 수집하였으며 이들의 납 농도는 atomic-absorption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임신부와 제대혈의 혈중 납 농도는 각각 0.076±0.031umol/L와 0.049±0.022umol/L이다. 이는 미국질병관리본부에서 발표한 납 국제 허용치인 0.483umol/L (10ug/dL)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임신부의 혈중 납 농도를 3분위수로 나누어 제대혈의 납 농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임신부의 혈중 납 농도에 따른 제대혈의 납 농도는 1삼분위수보다 2삼분위수와 3삼분위수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임신부와 제대혈의 혈중 납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임신부의 혈중 납 농도와 제대혈의 납 농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 임신부의 식품군별 섭취와 임신부와 제대혈의 혈중 납 농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임신부의 경우, 임신 중 육류 및 그 제품 섭취는 혈중 납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는 혈중 납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제대혈의 경우, 우유 및 유제품과 당류 및 그 제품의 섭취는 납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임신부의 식품군별 섭취를 중위 값으로 나누어 혈중 납 농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임신부와 제대혈의 혈중 납 농도는 임신부가 임신 중 우유 및 유제품을 중위 값보다 많이 섭취한 그룹 보다 적게 섭취한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임신부의 영양소별 섭취를 중위 값으로 나누어 혈중 납 농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임신부의 혈중 납 농도는 임신부가 임신 중 칼슘 섭취를 중위 값보다 많이 섭취한 그룹 보다 적게 섭취한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제대혈의 혈중 납 농도와는 관련성을 찾지 못했다. 임신부와 제대혈의 납 농도에 영향을 주는 임신부의 식이 섭취 요인을 알아 본 결과, 육류 및 그 제품 섭취가 임신부의 혈중 납 농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우유 및 유제품 섭취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대혈의 혈중 납 농도는 우유 및 유제품, 당류 및 그 제품 섭취에 유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신부의 식이 섭취는 임신부와 제대혈의 납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임신부와 제대혈의 납 농도와의 관련성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바람직한 임신결과를 위해서는 모체의 적절한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