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진선-
dc.creator박진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6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0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629-
dc.description.abstractIn a cognitive respect, students' results of educational activities can be shown through academic performance evaluation.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which is meant for the evaluation of achievement of highschool curricula, can be different from highschool regular test. As we examine correlation between ranking percentage of math section and grade percentage of highschool, we will find more to talk about many problems seen in actual math education in highschool. Therefore, to verify that the grade percentage of highschool math,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o calculation for the transcripts, corresponds with the ranking percentage of Scholastic Aptitude Test properly, I comput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ASin of grade percentage by grades, department, gender and test application type and dealt with the problems shown by the regressive modeling formula and the scatter plot, which are for how much the school grade percentage predicts the results of the college test percentage. For this I got the most exact Excel data by individual and semester of school math grade percentage and math percentage in Scholastic Aptitude Test of February graduates in 2007, who are from liberal arts highschool in competitive districts - Ansan, Yongin and Chungnam. The following is the statistical analysis by SPSS 12.OK for Windows after through classification and integration by various criteria. First, among all of the highschool boys and girls,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7. This shows that the evaluation goals of school curricula and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are getting close and that school grade percentage is well-proportionate to the ranking percentage of the Test. Second, between natural science highschool boys who took type ga and natual science highschool girs who took type na, They showed strong relevance between school grade and the Test. On the other hand, the whole students of natural science highschool students showed no relevance. One of the reasons wh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lowered after data integration is that the application ratio for type na was 62.3% out of the samples of this study and boys, more than girls, seemed not be well prepared for math Ⅱ and other optional subjects. And girls who took type ga, as they are going higher years, seemed to lose confidence and interest in natural sciences. But the fact that natural science students who have been poor at differential and integral calculus can be admitted to the colleges will make college students of low scholastic ability. Therefore as for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s of college, where a certain level of differential and integral calculus is needed for easier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college administrations should draw a limit within type ga in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Third, out of sample students of this study, there are 13.4% of students who took math ga, which means there's a wid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math exams. The fact that a lot of students are trying to avoid majoring in natural science is worrisome indeed in terms of nation's future as well as for individual. And from the relatively low possibility of liberal art students continuing their special careers further, the present academic declination in math can affect the opportunity for hig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careers. Therefore, it is their school teachers and parents that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the highschool students make their careful decisions on their course. Lastly, for this research is for the students of competitive districts,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more study such as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other districts, and between special purpose highschools and general highschools, research on how to promote the confidence in school grade percentage through a variety of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hool grade and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research on the problems that arise as natural science students take type na in math section, and how to improve college admission system based on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e active education field.;인지적 측면에서 교육활동의 결과는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해서 파악될 수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성취도를 측정하는 평가로서 고등학교 정기고사와 별개일 수가 없다. 따라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리영역석차백분위와 고등학교 내신석차백분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때 우리는 고등학교 수학교육현장의 실제상황을 파악하여 나타나는 문제점들에 대하여 논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래서 학생부 성적을 산출하는데 가장 중요한 수학 내신석차백분위가 수능석차백분위를 적절히 변별(내신과 수능을 비교한 글들을 보면 대부분 내신의 변별력이 수능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등하다는 결론이었다. 본 연구에서도 문항제작등의 신뢰도와 타당도면에서 볼 때 내신보다는 수능이 학력의 척도로서 좀더 잘 변별해 준다고 보았다)해 주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학년별, 계열별, 남·여별, 수능시험 응시형태별로 석차백분위를 고전검사이론에 근거하여 역정현변환(아크사인)한 Pearson상관계수를 구하였고 내신석차백분위로 수능석차백분위를 어느 정도 예측해볼 수 있는지 회귀분석을 통한 모형식과 산점도를 살펴보고 나타난 문제점에 대하여 논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 용인시, 충남의 비평준화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라는 공통점을 지닌 세 학교에서, 2007학년도 2월 졸업생들의 각 개인별, 매학기별 수학내신석차백분위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리영역석차백분위의 가장 정확한 엑셀자료를 받았다. 이 자료들을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통합한후 SPSS 12.OK for Windows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얻은 통계처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계열 남·여학생들은 내신과 수능간에 Pearson상관계수가 0.7정도 되었다. 이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평가목표와 수능시험의 평가목표와 상당히 근접하였다고 볼 수 있고 내신석차백분위가 수능석차백분위를 적절히 변별해 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자연계열 수리가형 응시 남학생들과 자연계열 수리나형 응시여학생들은 내신과 수능간의 강한 관련성을 보였으나, 자연계열 전체 남·여학생들은 내신과 수능간에 아무런 상관관계도 보이지 않았다. 이처럼 자료를 통합후 상관계수가 낮아진 원인 중에는, 자연계열 수리나형 응시비율은 본 연구의 표본집단에서 62.3%로서 이들 중 특히 남학생들이 학교시험에서 수학Ⅱ와 선택과목을 소홀히 임하였다고 보여 진다. 그리고 수리가형 여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이공계열 관련 공부에 대한 자신감의 결여, 학업흥미 상실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자연계열 학생들이 수학Ⅱ와 미분적분학의 학습을 소홀히 하고 이공계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공계 대학생들의 학력저하 현상이 문제점으로 크게 대두될 수 있다. 따라서, 수학Ⅱ와 미분적분학이 기본적으로 학습되어 있어야만 대학수업이 가능한 자연 및 공학계열 학과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반드시 수리가형만으로 제한하여 선발하였으면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표본학생 중 수리가형응시생은 전체의 13.4%로 수리‘가’형과 수리‘나’형의 현격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오늘날 자연계열을 많은 학생들이 기피하고 있다는 사실은 개인적인 면에서뿐만 아니라, 국가 장래면 에서도 매우 염려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인문계열은 자연 계열에 비하여 전문 직업인으로 진출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수학에서의 열세는 고등교육 수혜 기회와 더 나아가 직업 세계로의 진출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등학교에서 계열을 결정해야 하는 시점에서 진로에 대한 신중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교사와 학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본 연구는 비평준화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이후 폭넓은 지역과 특목고, 일반고와의 비교등 다양한 연구분석을 통하여 내신과 수능간의 상관관계 등을 통한 내신의 신뢰성 제고방안에 대한 연구, 자연계열 학생들이 수능시험에서 수리나형으로 응시하는 문제점에 대한 연구, 일선 교육현장의 실제상황을 고려한 현실적이며 합리적인 대학입시제도 개선방안등이 수립되었으면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연구 범위 및 분석결과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학교 수학교육과정의 개관 = 6 1. 수학교육의 목적 = 6 2.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과 시사점 = 7 3.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이해 = 9 B.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리 영역 개관 = 11 1. 수리 영역의 개념 = 11 2. 수리 영역의 평가개념 = 12 3. 수리 영역의 평가목표 및 영역 = 12 3.1 내용 영역 = 13 3.2 행동 영역 = 14 4. 수리영역의 출제 방향 및 범위 = 18 5. 수리영역의 출제의 기본원칙 = 19 C. 선행연구 고찰 = 20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5 A. 연구 대상 = 25 B. 연구 절차 = 2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8 A. 인문계열 남·여학생 = 29 B. 자연계열 남·여학생 = 30 1. 자연계열 남학생 = 32 2. 자연계열 여학생 = 34 C. 수리가형과 나형 = 37 1. 수리가형 = 39 2. 수리 나형 = 41 3. 자연계열 수리나형 = 43 D. 인문계열·자연계열 = 45 E. 남학생·여학생 = 46 Ⅴ. 요약 및 결론 = 51 참고문헌 = 57 부록 = 60 <부록Ⅰ> 각학교별 내신석차백분위와 수능석차백분위자료 = 60 <부록Ⅱ> 내신과 수능간의 상관계수와 회귀분석통계 자료 = 83 ABSTRACT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137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수학내신 석차백분위와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석차백분위와의 상관관계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Correlation between Grade Percentage of Highschool And Ranking Percentage of Mathmatics Section in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for College-
dc.creator.othernamePark, Jinsun-
dc.format.pagevii,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수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