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요아-
dc.creator이요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6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18-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diet quality and weight loss in middle aged women.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for 70 middle aged women aged from 40 to 69 for 6 months from June 2006 to November 2006. Nutrition education was consisted of counseling in portion control, food selection for low carbohydrate and high fiber food items and for improved micronutrient intakes, dietary quality and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 diet quality and dietary behaviors, body composition, and blood profiles were analyzed before starting the program, after 3 months, and after 6 months. Also,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nges in dietary behavior scores. After 6 months, the study subjects showed a decrease in total energy intake and carbohydrate, and intake of protein, calcium, and vitamin 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and mean adequacy ratio (MAR) improved significantly. We also computed a dietary behavior scores and nutritional knowledge scores, and the mean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percent body fat, visceral fat area,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and waist-hip ratio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6 months. We observed a significantly increase in HDL-cholesterol and a decrease in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and an improvement of atherogenic index (AI).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mproved or Not-Improved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changes in dietary behavior scores. The Improved Group showed a decrease in density of carbohydrate, and density of protein, fiber, calcium, phosphorus, iron, potassium and vitami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mproved Group had higher change of fiber, calcium, iron and vitamin C compared to the Not Improved Group. Moreover, the INQ and MA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in the Improved Group. In Improved Group, the body weight, BMI, percent body fat, visceral fat area, hip circumference, and waist-hip ratio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hange percent of body weight, BMI, visceral fat area, and waist-hip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mproved Group compared to the Not-Improved Group. We observed a significantly increase in HDL-cholesterol and a decrease i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and an improvement of atherogenic index in the Improved Group. The Improved Group showed the higher change of triglyceride than Not Improved Group.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mproves diet quality and dietary behaviors by decreasing the intake of carbohydrate and increasing the intake of protein, minerals, and vitamins which can result in a positive change in weight loss and lipid profiles. In addition, these positive changes may prevent and/or management chronic diseases in middle-age women.;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식이 섭취 및 식사의 질 그리고 식행동, 체성분, 혈압 및 혈액성분의 변화를 살펴보고, 식행동 향상 정도에 따라 식행동 점수가 총 3점 이상 오른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의 식이섭취 및 식사의 질, 체성분, 혈청 지질 등 혈액 성분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2006년 6월에서 2006년 11월까지 6개월간 40~69세의 중년여성 70명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 시작 전, 시작 3개월 후, 프로그램 종료 후에 식이섭취, 식사의 질 및 식행동, 체성분, 혈액성분을 분석하였다.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본 연구 대상자의 열량 섭취량과 탄수화물의 섭취는 감소된 반면, 단백질, 칼슘, 그리고 비타민C의 섭취가 증가하여 영양밀도지수(INQ)와 평균영양소적정비(MAR)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식행동 점수와 영양지식 점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체중, 체질량지수(BMI), 체지방률, 내장지방,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복부지방률이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혈압과 혈액 성분 변화를 살펴보면, 혈압, 혈당,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동맥경화지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H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영양교육에 의한 식행동 점수 향상에 따라 식행동 점수가 총 3점 이상 오른 대상자를 식행동향상군, 그렇지 않은 군을 식행동비향상군으로 나누어본 영양밀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결과, 식행동향상군의 경우 탄수화물의 섭취는 감소하고, 단백질, 식이섬유의 섭취량과 무기질 및 비타민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식행동비향상군의 경우, 탄수화물의 섭취는 감소하고, 식이섬유, 비타민B6 그리고 비타민C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두 군의 영양소 섭취 변화율을 비교해 보면, 식행동향상군이 식행동비향상군에 비해 식이섬유, 칼슘, 인, 철분 그리고 비타민C의 변화율이 더 컸다. 또한 식행동향상군의 경우 영양밀도지수(INQ)와 평균양양소적정비(MAR)가 유의적으로 향상된 반면 식행동비향상군은 비타민C의 INQ만 증가할 뿐 다른 영양소의 INQ와 MAR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식행동향상군의 경우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내장지방, 엉덩이둘레 그리고 복부지방률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식행동비향상군의 경우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체지방률 그리고 허리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두 군 간의 체성분 변화율을 비교해 보면 식행동향상군이 식행동비향상군보다 체중, 체질량지수, 내장지방 그리고 복부지방률의 변화률이 더 컸다. 식행동향상군의 경우 혈압, 혈당,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동맥경화지수(AI)는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H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식행동비향상군은 이완기 혈압과 혈당 그리고 동맥경화지수만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두 군의 혈압 및 혈액 성분 변화율을 비교해 보면, 식행동향상군이 식행동비향상군에 비해 중성지방 변화율이 더 컸다. 본 연구 대상자의 내장지방 변화와 혈청지질 성분의 변화가 서로 관련이 있는지 알아 본 결과, 식행동향상군의 경우 내장지방 변화와 총콜레스테롤 변화, LDL-콜레스테롤 변화, 동맥경화지수의 변화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식행동비향상군의 경우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영양교육의 횟수의 증가와 체성분 변화 및 영양소 섭취 변화에 상관성이 있는 알아 본 결과, 영양교육 횟수와 체지방률과 복부지방률 간의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영양교육 횟수가 증가할수록 탄수화물의 섭취는 감소하고, 단백질, 식이섬유, 칼륨, 비타민B₁, 비타민B₂, 비타민B_(6), 비타민C. 비타민 E의 섭취는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대상자들의 열량과 탄수화물의 섭취량은 줄이면서 단백질, 무기질 및 비타민의 섭취량은 증가시켜 식사의 질을 향상시키고, 식행동을 개선시켰을 뿐만 아니라 체성분, 혈압 및 혈액 성분 수준에 영향을 주어 만성질환 예방·관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Introduction = 1 Ⅱ. Materials and methods = 5 A. Study subjects = 5 B. Measurements = 5 1. General characteristics = 5 2.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blood pressure = 7 3. Food and nutrient intakes = 7 4. Diet quality = 8 5.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knowledge = 9 6. Blood Sampling = 9 C. Nutrition education = 10 D. Statistical analysis = 14 Ⅲ. Results = 15 A. Study subjects = 15 1.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life style = 15 2. Anthropometric parameters = 18 3. Food and nutrient intake = 20 a. Food intake = 20 b. Nutrient intake = 22 c. Diet quality = 26 4. Dietary behaviors and nutritional knowledge = 28 5.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profiles = 29 B. Comparison according to improved dietary behavior = 30 1.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life style = 30 2.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knowledge = 33 3. Anthropometric parameters = 35 4. Food and nutrient intake = 37 a. Food group intake = 37 b. Nutrient intake = 39 c. Diet quality = 42 5.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 44 6. Correlation analysis = 46 a.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of visceral fat area and serum lipid profiles = 46 b.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nutrition education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 47 c.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ent intake = 48 Ⅳ. Discussion = 50 References = 56 Appendix = 64 국문초록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3246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Diet Quality and Weight Loss in Middle-aged Women-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영양교육이 중년여성의 식사의 질 및 체중감량에 미치는 효과-
dc.creator.othernameLee,Yo A-
dc.format.pageix,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