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농촌주부의 활동량과 식이섭취량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농촌주부의 활동량과 식이섭취량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Dietary consumption and daily acticity survey of farm housewives
Authors
윤군애.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Keywords
농촌주부활동량식이섭취량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공업화되기 시작하면서 도시로의 인구 집중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고, 농촌의 청소년과 30대 이하의 장년층이 도시로 이동하면서 농촌의 노동력은 감소되었다. 따라서 가사활동은 물론이며 농업생산 활동중에 많은 부분까지도 농촌 주부들의 손에 맡겨지게 되었다. 또한 영농 방법을 보면 아직 개별적이고 농기구도 기계화되지 못하여 재래적인 농기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농촌 주부들의 노동 부담량은 매우 큰 실정이다. 한편 농촌의 식생활 구조를 살펴보면 70%이상의 식품 공급을 자급자족에 의존하고 구매력은 낮기 때문에 대부분이 곡류와 채소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물성 식품의 섭취율이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탄수화물의 섭취는 높은 반면에 지방과 단백질의 부족하고 칼슘과 철분이 권장량에 미달되는 등의 영양 섭취부족 및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농촌 주부들은 과중한 노동을 수행하고 있으면서도 이를 뒷받침해야 할 영양소 섭취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기에 촛점을 맞춰 1. 조사 대상자에 관한 일반적 요인의 분석 2. 식성 분석 3. 식품 공급실태 분석 4. 식사 준비시 식생활에 대한 주부들의 태도 분석 5. 영양 섭취실태 파악 및 영양판정 6. 농촌 주부들의 일과와 활동량 분석 7. 활동량과 영양소 섭취량 사이의 균형 8. 농촌 주부들의 자각피곤 정도와 영양 섭취실태 사이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농촌 주부들의 피곤도를 영양과 관련시켜서 진단하고자 한다. 그 결과 농촌 주부들은 평균 국민학교 졸업자로서 학력 수준이 낮으며, 적은 소득으로 인해서 식품구매력이 낮고 대부분의 식품공급을 자가생산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지 못하고 주로 식물성 식품에 편중된 섭취를 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하루일과중에 많은 시간을 농업활동에 할애하고 있어서 식생활에 소홀해지게 되고, 자신들의 영양이나 건강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영양불량상태를 초래하고 있다. 반면에 이들은 활동량이 많아서 하루중에 노동시간이 평균 11시간 30분이나 되며 이로 인해서 소모되는 열량등의 영양소요량이 크다. 결국 농촌 주부들은 많은 노동으로 소모하는 열량은 평균 3,028Kcal로써 크지만 섭취하는 열량은 평균 2,122Kcal로써 섭취량과 소모량 사이에 불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그 밖에 단백질. 칼슘. 철분등의 영양소 섭취량이 권장량에 미달되고 있다. 이로 인해서 농촌주부들은 상당히 피곤을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피곤도는 식사의 양과 질이 떨어질수록 그리고 열량.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칼슘 및 각 비타민등의 영양소 섭취량이 낮을수록 더욱 크게 나타난다.;Korea has begun industrialization in 1960's. As a consequence of this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of population movement started to be born big metropolitan city area and accelerated decreasing young labor powers in the farm area. As a matter of fact, farm housewives were taken charge of agricultural production activity in addition to the major contributor to obligatory domestic labor. This survey was based on this point and 226 subject were investigated in July 16th to August 30th in 1982. This survey were concentrated following respec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1.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survey design 2. Food preference analysis 3. Status of food supply divided into purchasing and self-producing amount 4. Analysis of major concern of housewives when they prepare meal. 5. Nutrients intake survey and acc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of farm housewives 6. Daily total activities for 24 hours basis and its classification as well as analysis. 7. Balancing between intake and output of energy amount 8. Analysis of farm housewives nutritional intake status according to self feeling of tiredness The result of these analysis showed that farm housewives were educated for average 6 years schooling which is low in compare to city housewives. Income level and purchasing power of food were very low. So they were mostly rely upon, self-producing food commodity for daily consumption of food. Therefore food items composed of their diet were showed low varieties concentrated on vegetable and cereal grains mostly. Housewives devoted most of their daytime for farm production activities which do not give them any allowances to prepare their meal cooking for whole family. And their meal mostly composed of ready-made food such as Kimchi and soybean paste even though they have the full of fresh vegetable in the garden. Farm housewives carried too. much burden for farm production activity. So they could not pay attention for their nutritional status and on health condition. On the view point of nutrient intake of those farm housewives they consumed low level of calorie intake as well as other nutrients like calcium, iron and protein to be calculated as probable deficiency 35.8% in calorie intake by Beaton suggested calculation in concerning of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Despite of all the fact they had to work hard for farm production. The level of dailv activity calculated in terms of calorie showed average 3,028 Kcal which is for more than intake amount of calorie (2,122 Kcal) from diet of the population of farm housewives. This fact produce unbalanced condition in intake and output of energy status. Therefore Dost of the Korean farm housewives get along daily life in tired condition. And this tiredness is increased with becoming lower in quality and quantity of diet, and decreasing the nutrient intake such as energy, protein, carbohydrate, fat calcium and various vitami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