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혜진-
dc.creator이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7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5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0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583-
dc.description.abstract<원문누락> effect, which was followed by citrus pectin and JSDF. Among the soluble fibers, PSDF had the lowest retarding effect. Retarding effect of TDF was dependent upon the amount of SDF in TDF. Regarding bile acid dialysis, insoluble detary fibers as well as soluble detary fibers showed the retarding effects, among which JSDF had the greatest retarding effect, followed by citrus pectin. Among the extracted fibers, dietary fibers from dried jujubes were more effective than those from persimmon peels, and SDF seemed to show higher retarding effects than IDF and TDF. On cadmium transport retardation, all dietary fibers except a-cellulose had the retarding effects and PSDF showed the greatest effect which was followed by PIDF and CMC. Among the extracted fibers, dietary fibers from persimmon peels showed higher retarding effects than those from dried jujubes. In conclusion, the extracted dietary fibers showed higher retarding effect on Cd transport than glucose and bile acid transport, and the effect of SDF was higher than TDF and IDF.;본 연구에서는 감 과피와 건대추의 식이 섬유의 생리적 기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감 과피와 건대추로부터 각각 총 식이 섬유(total dietary fiber : TDF), 불용성 식이 섬유(insoluble dietary fiber : IDF), 수용성 식이 섬유(soluble dietary fiber: SDF)를 추출하고, 반투막을 이용한 in vitro 실험을 통해 glucose, bile acid, cadmium에 대한 투과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이를 상품화된 식이 섬유인 α-cellulose, CM-cellulose(CMC), citrus pectin의 효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감 과피로부터 얻은 식이 섬유의 수율은 신선물 기준으로 TDF가 14.04%, IDF가 11.61%, SDF가 1.76%였고, 추출한 TDF의 순도는 76.0%였으며 그 중 IDF의 함량은 65.9%, SDF의 함량은 10.1%였다. 건대추로부터 얻은 식이 섬유의 수율은 신선물 기준으로 TDF가 14.80%, IDF가 9.98%, SDF가 2.80%였고, 건대추로부터 추출한 TDF의 순도는 75.2%였으며 그 중 IDF의 함량은 55.9%, SDF의 함량은 19.3%였다. 식이 섬유의 glucose의 투과 억제 효과를 살펴 보면, 투석 초 2시간까지 비교적 높은 효과를 보이다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투석 24시간에 이르면 모든 군들이 control과 비슷한 수준으로 glucose가 투과되었다. 모든 식이 섬유군들 중 수용성 식이 섬유군들인 CMC, citrus pectin, 건대추의 SDF, 감 과피의 SDF군에서는 glucose 투과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나 불용성 식이 섬유인 IDF군들과 α-cellulose군에서는 glucose 투과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용성 식이 섬유군 중에서 CMC의 투과 억제 효과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citrus pectin과 건대추의 SDF는 효과가 비슷하였으며 감 과피의 SDF는 효과가 비교적 낮았다. TDF군들 중에서는 감 과피의 TDF에 비해 SDF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건대추의 TDF가 더 높은 효과를 보였다. 투석막을 통한 bile acid의 투과는 glucose 투과시와는 달리 서서히 이루어졌으며, 수용성 식이 섬유군들 뿐만 아니라 불용성 식이 섬유군들도 bile acid 투과 억제 효과를 보였다. 투석 24시간동안 건대추의 SDF와 citrus pectin이 가장 높은 bile acid 투과 억제 효과를 보였고 다음으로 건대추의 TDF, IDF, 감 과피의 SDF가 비슷한 효과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감 과피의 IDF와 CMC가 이들보다 다소 낮은 효과를 나타냈다. 감 과피의 TDF와 α-cellulose는 효과가 가장 낮았으나 투석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 과피의 TDF가 α-cellulose에 비해 투과 억제 효과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식이 섬유의 Cd 투과 억제 효과를 살펴보면 α-cellulose를 제외한 모든 식이 섬유군에서 glucose, bile acid때보다는 높은 투과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대체로 투석 초 30분에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로 효과가 감소하였다. 투석 24시간동안 감 과피의 SDF가 가장 큰 Cd 투과억제 효과를 보였고 다음으로 Cd과의 결합력이 높은 감 과피의 IDF와 CMC가 높은 효과를 나타냈으며 감 과피의 TDF도 Cd 투과 억제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대추의 TDF, IDF, SDF군들과 citrus pectin은 투과 억제 효과가 비슷하였으나 citrus pectin의 효과가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감 과피의 TDF 내에는 IDF의 함량이 SDF의 6.5배였고 건대추의 TDF내에는 IDF의 함량이 SDF의 2.9배로, 건대추의 TDF가 감 과피의 TDF에 비해 SDF의 함량이 더 높았다. Glucose의 투과 억제에 있어서 불용성 식이 섬유들은 효과가 없었던 데 반해 수용성 식이 섬유들은 효과를 나타냈는데, 특히 건대추의 SDF가 citrus pectin과 비슷하게 높은 효과를 보였고 TDF의 효과는 TDF내의 SDF의 함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Bile acid 투과 억제에 있어서는 감 과피와 건대추의 TDF, IDF, SDF가 모두 효과를 보였으나 건대추의 식이 섬유들이 감 과피의 식이 섬유들에 비해 더 효과적이었고, SDF들이 TDF와 IDF에 비해 억제 효과가 더 켰으며 특히 건대추의 SDF의 효과가 가장 높아서 citrus pectin과 비슷하였다. Cadmium 투과 억제는 α-cellulose를 제외한 모든 군들이 높은 효과를 보였는데, 감 과피의 식이 섬유들이 건대추의 식이 섬유들보다 효과가 더 높았고 특히 감 과피의 SDF와 IDF가 매우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실험재료 및 방법 = 4 A. 식이 섬유의 추출 및 함량분석 = 4 1. 시료 = 4 2. 시료의 전처리 = 4 3. 식이 섬유의 추출 및 정제방법 = 5 B. 식이 섬유의 투과 억제 실험 = 8 1. Glucose 투과 억제 효과 = 8 1) 반투막 투과 실험법 = 8 2) Glucose 함량 분석 = 9 2. Bile acid의 투과 억제 효과 = 9 1) 반투막 투과 실험법 = 9 2) Bile acld 함량 분석 = 10 3. Cadmium 투과 억제 효과 = 11 1) 반투막 투과 실험법 = 11 2) Cadmium 함량 분석 = 11 4. 통계 처리 = 12 Ⅲ. 실험 결과 및 고찰 = 13 A. 식이 섬유의 수율 및 순도 = 13 B. 식이 섬유의 투과 억제 효과 = 17 1. Glucose 투과 억제 효과 = 17 2. Bile acid 투과 억제 효과 = 23 3. Cadmium 투과 억제 효과 = 30 Ⅳ. 요약 및 결론 = 36 참고문헌 = 39 Appendix = 49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455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
dc.subject대추-
dc.subject식이섬유-
dc.subject포도당-
dc.subject담즙산-
dc.subject카드뮴-
dc.subjectVIRTRO-
dc.title감 과피와 대추로부터 분리한 식이 섬유의 포도당, 담즙산, 카드뮴 투과 억제에 관한 in vitro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