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5 Download: 0

불임 여성의 비타민 B 영양상태 및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

Title
불임 여성의 비타민 B 영양상태 및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
Other Titles
Vitamin B₂Vitamin B6, Folate, Vitamin B12 Status and Serum Homocysteine Levels in Infertile Women
Authors
임민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Keywords
불임 여성비타민 B영양상태혈청 호모시스테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여성에게서 적절한 수준의 비타민 B_(2), 비타민 B_(6), 엽산 및 비타민 B_(12)의 영양상태는 임신과 출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은 태반의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에 혈전을 유발하여 태반 조기박리 혹은 태반 경색을 일으켜 반복 자연유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임 여성 115명과 자녀를 한 명 이상 출산한 경험이 있는 대조군 49명을 대상으로 조사 대상자의 식이 섭취 실태와 혈청 비타민 B_(2), 비타민 B_(6), 엽산, 비타민_(12) 및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하였다 이들 자료로부터 식품군별 섭취량, 영양소 섭취량, 식습관, 혈청 비타민 B 및 호모시스테인 수준과 이들의 영양상태, 건강관련 생활 습관에 따른 혈청 비타민 B와 호모시스테인 수준, 혈청 비타민 B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의 상관관계 및 비타민 B 섭취량과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불임 여성에서 대조군에 비해 비타민 B_(2), 비타민 B_(6)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불임 여성의 엽산, 비타민 _(12) 섭취량이 대조군에 비해 적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불임 여성의 혈청 비타민 B_(2), 비타민 B_(6), 엽산, 비타민 B_(12) 및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대조군의 비타민 B_(6), 엽산, 비타민 B_(12)의 영양상태가 양호했던 반면, 불임 여성에서 엽산 영양 결핍인 경우가 41.3%,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인 사람이 13.3% 이었다. 음주 대조군의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은 비음주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간접 흡연을 경험한 대조군은 간접 흡연 경험이 없는 대조군에 비해 혈청 riboflavin 농도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영양 보충제를 복용하는 불임 여성의 혈청 비타민 B_(2), 비타민 B_(6) 농도는 영양 보충제를 복용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높았고, 호모시스테인 수준은 낮았다.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은 불임 여성의 혈청 flavin mononucleotide(FMN), 4-pyridoxic acid(PA), 엽산 수준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조군에서는 혈청 pyridoxal 5'-phosphate(PLP)와 엽산 수준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총 비타민 B_(2) 섭취량과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간의 상관성을 보면, 불임 여성과 대조군 모두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총 비타민 B_(6) 섭취량과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간의 상관성은 불임 여성에서만 유의적인 음의 상관성이 나타났다. 총 엽산 섭취량과 호모시스테인 수준간의 상관성은 불임 여성에게만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총 비타민 B_(l2) 섭취량과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은 두 군 모두 음의 상관성은 보였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불임 여성을 대상으로 혈청 비타민 B_(2), 비타민 B_(6), 엽산, 비타민 B_(12) 및 혈청 호모시스테인을 동시에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며, 더욱이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비타민 B의 섭취와 혈청 비타민 B와 호모시스테인 농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대해 보고된 바가 없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불임 여성에서 비타민 B 섭취량이 적었고 이에 따른 혈청 비타민 B 영양상태가 낮고, 호모시스테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보아 앞으로도 혈청 비타민 B_(2), 비타민 B_(6), 엽산, 비타민 B_(12) 및 혈청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동시에 분석하여 전체적인 비타민 B 영양상태와 고호모시스테인혈증 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불임 여성에게 있어서 비타민 보충제의 적절한 처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Adequate vitamin B_(2), vitamin B_(6), folate and vitamin B_(12) nutrition is known to be important for reproductive function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erum vitamin B_(2). vitamin B_(6), folate and vitamin B_(12) status and serum homocysteine levels in 115 women(aged 33.2±4.0 year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infertility, and 49 women(aged 34.5±3.8 years) having at least one live born child. Dietary intakes of nutrients were determined by a 24-hour recall method. Serum vitamin B_(2), vitamin B_(6) and homocysteine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by a HPLC-fluorescence detection method and serum folate, vitamin B_(12)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by a radioimmunoassay method. Total vitamin B_(2) and vitamin B_(6) intakes in infertile wome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control even 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folate and vitamin B_(12) intake between infertile women and control. Serum vitamin B_(2) vitamin B_(6), folate and vitamin B_(12)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infertile women than those in control and serum homocystein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fertile women than those in control. Thirteen percent in infertile women and zero percent in control were assessed as hyperhomocysteinemic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hyperhomocysteinemia between infertile women and control. More forty one percent infertile women were assessed as folate deficient than control. The control who experienced drinking had higher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s, and the control who experienced smoking had lower serum riboflavin concentrations, and the infertile women with nutrient supplementation had higher serum FAD, PLP, PA concentrations and lower strum homocysteine levels. Serum folate concentration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um homocysteine of the infertile women and control. Total vitamin B_(2) intake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um homocysteine of the infertile women and control. Total vitamin B_(6), folate intak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homocysteine of infertile women only. In conclusion, infertile women are needed to intake more B vitamins intakes. Furthermore researches are needed to estimate adequate B vitamin supplementation in infertile wom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