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경희-
dc.creator송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3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0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3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02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nderachievers situation who show very poor progress in their learning and identify the right role supplementry educational institutes as one of the ways to guide the underachievers effectively and normalize school education. For performing the purpose, the states of school education was investigated first, and then, the origin and background of supplementary educational institute was examined to find out its function and problem. To verify the validity, questionnaire survey tha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stuelents, their parents,teachers and supplementary educational institutes' instructor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acquired from the investigation and survey; First, student's general opinions were that the supplementary educational institutes were necessary, and especially, needed for individual guidance for the underachievers rather than for students who were good at their studies. Second, similarly, students' parents showed the positive response about the necessity of supplementary institute's education, and replied that the individual guidance was condueted better at supplementary educational institute than at school. Thus, they showed the conclusion that the educational institute was needed for the underachievers. Third, teachers showed the negative response about the item that the educational institute was supplementary organization to school, which was contrary to that of students, parents, or the educational institutes' instructors. Rut they replied that they could not have enough time to guide individually students who were poor at mathematics course although repeated learning was needed for the students. This fact indicated the individual guidance for the underachievers was somewhat difficult to do at school. Fourth, the educational institutes' instructors answered that they felt a heavy burden at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s and owing to tlie institutes' features, the individual guidance for the underachievers could be better performed at the institutes than at school. Based up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c suggested: First, since this study is of narrow-scoped-character, more comprehensive and positive research about the supplementary educational institute is expected to come out. Second, school is needed not to focus on the education for entrance into college hut to do their best for students to grow up as human beings of balanced character who are warm-hearted, care for and trust in other people. Third, the edutional institutes are required to fulfill their fundamental tasks as a supplemantary organization to school education and play the role of supporting school education's limitations, instead of simply pursuing commercial and profit-making purpose. Fourth, student's parents are needed to avoid the self-centered behaviors and act as full-fledged citizens with a right-directed educational view so that both school and educational institutes can be faithful to their principal missions.;본 연구는 학습결손에 의한 학습 부진아를 이해하여 이들의 효과적 지도 방안의 일환으로 보습학원의 올바른 역할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을 위하여 먼저 학교교육의 현황을 살펴 보았으며 보습학원의 기원, 생성배경을 통해 보습학원의 문제점과 장점을 알아 보았다. 본 연구에서 작성한 학생, 학부모, 교사, 학원강사의 설문조사를 이용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실행과정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설문조사 결과 대형 입시학원과는 달리 소수의 인원으로 능력별, 계층별 수업이 가능한 보습학원의 수업 만족도가 높았다. 그리고 공부를 잘하는 학생보다는 학습 부진아의 개별지도를 위해서 학원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도 학생과 마찬가지로 학원 교육의 필요성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개별지도가 학교에서 보다는 학원에서 더 잘 이루어진다고 응답함으로써 학습결손에 의한 학습 부진아를 위해서 학원교육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보였다. 셋째, 교사는 학원이 학교의 보조적 기관이라는 문항에 부정적 반응을 보였는데 이것은 학생, 학부모, 학원강사의 응답과는 대조적인 반응이다. 그러나 수학을 못하는 학생에게는 반복학습이 필요하지만 학교에서는 그들을 개별지도할 충분한 시간이 없다고 응답함으로써 학교에서는 학습 부진아에 대한 개별지도에는 무리가 있음을 나타낸다. 넷째, 학원강사는 학생들의 수학성취도에 커다란 부담을 느끼며 학원의 특성상 학교보다는 학원에서 수학을 못하는 학생의 개별지도가 더 잘 이루어진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학급은 중학교 무시험 전형이후 학생의 개인차가 심한 이질적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위계성이 강한 수학만이라도 계층별, 능력별 수업을 함으로써 교사의 개인차에 의한 수업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학원 교육이 학교 교육을 보완하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입시에서의 학원 수업에 의한 효과를 축소하고, 계층별, 능력별 학습과 소수인원의 수업이 가능한 보습학원의 장점을 이용하여 학습 결손에 의한 학습 부진아의 능률적인 학원수업의 효과를 위해 보습학원의 제도적 개편이 필요하다. 셋째, 보습학원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살려서 학습 부진아를 조기 발견할 수 있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함으로써 학원이 원래의 목적대로 학교를 보완하는 기관으로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위하여는 학부모의 입시에 대한 건전한 사고와 꾸준한 노력, 그리고 인식의 변화가 요구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학교교육의 현황 = 6 B. 보습학원의 기원 = 15 C. 보습학원의 생성배경과 역할 = 17 D. 보습학원의 기능과 문제점 = 20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4 A. 연구방법의 개요 = 24 B. 연구대상의 선정 = 24 C. 설문지의 구성 = 24 D. 설문지 분석 방법 = 25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27 A. 학생의 설문조사 분석 = 27 B. 학부모의 설문조사 분석 = 32 C. 학교교사의 설문 조사분석 = 39 D. 학원강사의 설문조사 분석 = 43 Ⅴ. 결론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1 부록 = 54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835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수학과-
dc.subject학습부진아-
dc.subject보습학원-
dc.title중학교 수학과 학습부진아를 위한 보습학원의 역할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6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수학교육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