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恩禎-
dc.creator李恩禎-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3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9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3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 가임기 여성들의 임신시 건강에 영향을 주는 영양위험인자를 규명하기 위하여 식생활 태도 및 식애 섭취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가임기 여성(17-39세) 3,195명(가임여성 1,434명, 임신 여성 1,761명)으로 체위, 혈액성상, 영양소 섭취량 및 식습관, 생활습관과 다이어트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들을 체중에 따라 저체중군(BMI<18.5), 정상체중군(18.5<BMI<22.9), 과체중군(BMI≥23.0)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가임여성이 25.6세, 임신여성이 29.5세였고 BMI (Body Mass Index)의 분포는 가임여성이 저체중 25.3%, 정상체중 66.8%, 과체중 7.9%이었으며 임신여성은 각각 21.4%, 63.3%, 15.3%로 분류돼 가임여성의 저체중 비율이 임신여성보다 높았으며 모든 대상자에서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연령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평균 BMI는 가임여성(19.9)보다 임신여성(20.5)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임신여성이 음주와 흡연자의 비율이 낮고 영양보충제 섭취비율이 높아 임신을 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었다. 대상자중 다이어트를 시도한 비율은 가임여성이 임신여성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두군 모두 체중증가를 주된 원인으로 꼽았으며 식사거르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결식횟수는 가임여성이 임신여성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주로 아침식사의 결식횟수가 다른 끼니보다 많았다. 건강식이지표 점수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가임여성이 임신여성보다 더 낮았고, 유제품, 과일, 규칙적인 섭취의 점수가 낮고 간식, 튀김, 지방이 많은 육류의 섭취의 점수가 높아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을 형성하고 있었다. 식품섭취빈도법으로 조사한 영양소 섭취량은 가임여성의 경우 지방 에너지 섭취비율이 높았으며 임신여성은 탄수화물 에너지 섭취비율이 높았고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이러한 결과를 비만도에 따라 비교해 보면 가임여성은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음주와 흡연의 비율은 감소하고 영양보충제 복용비율이 증가했으며 다이어트 경험은 많았다. 과체중군은 건강 때문에 다이어트를 하며 식사조절 및 운동을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그러나 저체중군에서도 다이어트 경험자도 다수 존재했고(26.1%) 이들은 옷맵시를 위해 다이어트를 시도했으며 주로 식사거르기를 선택해 과체중군과 차이를 보였다. 결식횟수는 저체중군에서 높았고 식습관 점수는 과체중군보다 높았다. 영양소 섭취량에서 저체중군은 지방 에너지의 섭취비율이 높았으며 과체중군은 탄수화물 에너지의 섭취비율이 높아 차이를 보였다. 임신여성은 임신전 비만도가 낮을수록 음주와 흡연의 비율은 감소했고 임신기간중 체중증가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임신 초기 심한 입덧경험의 비율이 증가했다. 비만도 증가에 따라 다이어트 경험자가 많았으며 과체중군에서 결식횟수가 가장 높았고 건강식이지표 총 점수도 가장 낮았으며 과일, 황색채소 섭취, 규칙적인 섭취에서 특히 낮은 점수를 받아 가임여성과는 달리 임신여성의 과체중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대상자 중에서 가임여성 113명과 임신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심층분석을 실시하였으며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한 영양소 섭취량과 혈액성분을 분석하였다. 가임여성과 임신여성은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결과 에너지와 칼슘, 철분,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B_(2)의 평균 섭취량이 권장량에 못미치고 있었다. 가임여성은 비만도가 높을수록 비타민 B_(2)의 섭취량은 증가하고 섬유질,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C의 섭취량은 감소하였고 이 결과는 과체중군에서 유제품, 과일, 채소등의 섭취가 낮았던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임신여성은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지방 에너지 섭취 비율이 높고 탄수화물 에너지 섭취비율이 낮았으며 칼슘, 철분, 비타민 A, 비타민 B_(2), 나이아신의 섭취량은 증가했으나 권장량에 달하지는 못했다. 혈액성상은 가임여성에서 albumin,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IgA, IgG는 정상범위에 있었으나 hemoglobin과 TEC는 정상범위의 하한범위에 속했고 C_(3)는 정상이하였다. 임신여성에서는 TIBC,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의 수치가 높았고 특히 과체중군의 혈중 cholesterol, hemoglobin의 수치가 높았으며 TIBC는 저체중군 전원에서 정상범위보다 높아 빈혈의 위험이 있었다. 그러므로 임신전 저체중군은 임신기간 중에 지속적인 빈혈의 위험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 음주, 흡연 등을 포함한 건강습관, 다이어트 실태, 식습관, 충분한 영양소 섭취는 가임여성보다 임신여성에서 더 잘 형성되어 있었고 가임여성은 저체중군에서 임신여성은 과체중군에서 좋지 않은 식습관 및 건강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저체중이었던 여성이 임신을 하면 식생활 개선에 관심을 기울이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 빈혈로 판정된 대상자는 가임여성과 임신여성 모두 체중이 낮았고 식습관이 불량했으며 단백질-열량을 비롯한 철분, 칼슘등의 섭취량이 매우 부족해 영양소 섭취량과 체중, 빈혈발생과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임신여성에서는 저체중군이 빈혈의 위험이 가장 높았고 입덧이 심했으므로 식생활 태도가 좋았음에도 임신후 영양개선의 효과가 크지 못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가임기 여성은 충분한 영양섭취를 통해 임신전에 정상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임신여성의 비만도에 따른 임신결과를 지속적으로 추적조사하고 가임여성 중 저체중군의 생활습관 및 다이어트 실태, 식습관을 세분해서 임신전 체중과 임신결과와의 관계를 명백히 밝혀 위험인자를 도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the nutritional risk factors which might have impacts on pregnancy in child-bearing women, The subjects were 3,195 child-bearing women aged 17-39years, composed of 1,434 non-pregnant and 1,761 pregnant wome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 based on BMI(Body Mass Index) : low weight(LW, BMI≤18.5), normal weight (NW,18.5<BMI<22.9), over weight(OW, BMI≥23.0). For pregnant women, pre-pregnant BMI were us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ietary intakes using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eight reducing experience, lifestyle, and eating habits were surveyed. Further detailed analysis of blood values and dietary intakes using 24-hr recall method were made in subgroup of 113 non-pregnant women and 200 women of 24-28 weeks of pregnancy. The non-pregnant women had significantly lower mean age and mean BMI than pregnant subjects. The distribution of non-pregnant subject in each BMI classes was LW, 25.3%; NW, 66.8%; and OW, 7.9%. For pregnant women, it was LW, 21.4%; NW, 63.3%; and OW, 15.3%. Most subjects had experiences of practicing weight-reducing regimen because of gaining weight and skipping meal was the most often used method. With increasing BMI, weight reducing practices were more popular in both groups. In non-pregnant women, 26.1% of LW group had tried weight loss diet and main purpose was to keep body shape rather than gaining weight. LW group had more tendency of skipping meal and unbalanced diet. Subjects in higher BMI group complained less subjective symptoms of anemia and had less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p<0.05) In pregnant women, however, subjects in LW group reported the lower experience of weight-reducing regimen,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skipping meal. They also showed higher score of health eating index.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in non-pregnant subjects, overweight had better food habits than low weight subjects, on the other hand, in pregnant women, low weight subjects had better food habits. The nutrients intake measured by 24-hr recall method were low in all subjects, especially energy, Ca, Fe, vitamin A, vitamin B_(1), and B_(2). With increasing BMI, nutrients intake were increasing in most nutrients, however, they still did not reach Korean RDA. In pregnant women compared to non-pregnant subjects, hemoglobin level was lower and TIBC level was higher which suggest the higher risks of anemia, Also pregnant subjects showed higher levels of serum cholesterol, triglycerides. LW group of pregnant women reported an increased experience of morning sickness and decreased total weight gain. Their Hb level was lower and TIBC was higher than OW group. The subjects with iron-deficient anemia (defined by hemoglobin level less than 11.0g/㎗ in the pregnant and 1200g/㎗ in the non-pregnant) showed lower body weight, more frequent skipping meals, low ccore in health eating index. Also their energy and protein intakes were very low, and especially iron intake was less than 50 percents of Korean RD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nutritional risk factors for child-bearing women in Korea is undesirable food practice such as skipping meals and unbalanced diet. Part of the reason is misinformation on weight reducing diet practice. This may have long lasting impact on pregnancy when these subjects have conceived. In this study the pregnant women with low pre-pregnancy BMI showed more pregnant-related complications such as morning sickness, low weight gain, and anemia rate even though there was an evidence that they tried to correct their food habits.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establish explicit relationship between pre-pregnancy body weight and pregnant outcome in child-bearing women in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연구내용 및 방법 = 5 1. 연구 대상자 및 기간 = 5 2. 조사내용 및 방법 = 5 A. 전체대상 조사 = 5 (1) 설문지 개발 = 6 (2) 식이섭취조사 = 6 (3) 신체계측조사 = 6 B. 심층분석대상 조사 = 7 (1) 설문지 조사 = 7 (2) 식이섭취조사 = 7 (3) 신체계측조사 = 7 (4) 혈액성분 분석 = 8 3. 자료의 처리 및 분석 = 9 Ⅲ. 연구결과 = 10 A. 전체대상 조사 = 10 1. 조사대상자의 특성 및 임신실태 = 10 (1) 일반적 특성 = 10 (2) 신체계측치 = 17 (3) 조사대상자의 임신실태 = 19 (4) 조사 대상자의 비만도 분포 = 22 2. 비만도에 따른 다이어트 실태 = 23 3. 비만도에 따른 식습관 조사 = 34 4. 비만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 = 44 B. 심층분석대상 조사 = 50 1. 신체계측치 = 50 2. 영양소 섭취량 = 52 3. 혈액성분 = 57 4. 혈액성분과 체위 및 영양소 섭취량의 상관분석 = 61 5. 빈혈판정자 분석 = 65 Ⅳ. 고찰 및 결론 = 70 참고문헌 = 80 부록1. = 86 부록2. = 101 Abstract =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055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가임여성-
dc.subject임신여성-
dc.subject비만도-
dc.subject영양위험 요인-
dc.title가임여성과 임신여성의 비만도에 따른 영양위험 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Nutritional risk factors for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of child bearing age by BMI-
dc.format.pageix,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