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1 Download: 0

한국인 지방간 환자의 지방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인 지방간 환자의 지방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ts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fatty liver patients
Authors
李惠媛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Keywords
한국인지방간환자지방영양상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nutrients intake, especially dietary fats, on fatty liver. The subjects were 219 fatty liver patients living in city, ages are from 10s to 60s. Nutrients intake, alcohol intake, food frequency, health state and medical history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and blood sample were tak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Most subjects were obese and were suffering from hepatitis. The most disease of their parents and grandparents was hypertension, and in their brothers, was hepatitis. In nutrient intake, calorie and carbohydrate intake were lower than mean intake of citizen in males and females. Protein and fat was lower than mean intake of citizen in females. The proportion of protein and fat to total calorie were higher than mean intake of citizen. Other nutrient intake were similiar with mean intake of citizen in males and females. With 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trient intake in males and females. With body weight, Vit B_(1) intak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weight group and overweight group in males. Other nutri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males and females. Food intake were higher than mean intake of citizen except eggs and potatoes in males and females. Total food intake per day were higher than mean intake of citizen. With 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les and females except sugar in males. With body weight, meats, fruits, milk and dairy produ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females. Food frequency before disease and after disease had not a little changed, but blue fishes, egges, sugar, candy, biscuits, fried food, butter, margarine, alcohol intake were decreased. Alcohol intake was higher in patients group than normal group. Alcohol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ll groups with age, and body weight in males. But, with increasing body weight, alcohol intake was increased. With age, body weight in fema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nd GOT level were in normal level. SGPT level was higher than normal level. Serum cholesterol, HDL-cholesterol, total lipid, Hb, Hct level were in normal level in males and females. Serum TG level was higher in males than normal level. With age in males, other components except Hb and Hc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body weight in females, only TG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verweight group and other components leve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erum total fatty acid levels were higher in patients group than normal group. In patients group, the proportion of total ω3 fatty acid was higher than that of total ω6 fatty acid. and in normal group, the proportion of total ω6 fatty acid was higher than that of total ω6 fatty acid. P / S ratio was higher in patients group than normal group. Dietary fatty acid intake had no correlations with serum fatty acid concentration except C14:0 and C22:6 ω3 fatty acid. In conclusion, the effect of dietary fatty acid on blood of fatty liver patients, but the higher animal fat, alcohol intake and body weight,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fatty liver was.;본 연구는 지방산 섭취를 증심으로 식품 섭취가 지방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위해 지방간 환자를 대상으로 식품영양섭취와 술 섭취실태, 건강상태, 병력과 혈액성분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지방간 환자 219 명으로 10∼60대의 연령층에 속해 있었다. 영양 섭취실태와 술 섭취실태는 설문지를 통한 개별 면담으로 실시되었고, 혈액 생화학적 검사도 같이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들은 대부분 비만하였으며, 간염, 고혈압과 당뇨병을 많이 앓고 있었다. 가족력은 부모, 조부모의 경우 고혈압이 가장 많았으며, 친형제의 경우에는 간염이 가장 많았다. 2. 영양소 섭취실태의 경우 전체 남·여 별로 구분하였을때 열량과 탄수화물 섭취량은 남·여 모두 성인 도시평균보다 적었고, 단백질과 지방은 여자의 경우에 성인 도시평균 섭취량보다 적었으며, 3 대 영양소를 열량비로 환산시 단백질과 지방의 열량비는 성인 도시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 외 다른 영양소의 섭취는 성인 도시평균 섭취량보다 높았다. 연령군에 따라서는 남·여 모두 모든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한국인 영양 권장량과 비교했을 때 매우 양호한 수준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체중군에서는 남자의 경우 Vit B_(1) 이 정상 체중군이 과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다른 영양소는 남여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 식품 섭취량은 남여별로 구분하였을 때 남·여 모두 알류와 감자류만 제외하고 성인 도시평균 섭취량보다 높아 1 일 총 식품섭취량도 성인 도시평균 섭취량에 비해 훨씬 높았다. 연령군에서는 남자의 경우 당류를 제외하고 남·여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체중군에 따라서는 여자의 경우 육류와 과일은 정상체중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우유 및 유제품은 과체중군이 비만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여자의 경우 그 외 다른 식품과 남자의 경우 모든 식품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지방간 발병전과 발병후의 식품섭취량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그중 등푸른 생선·계란, 설탕·사탕·과자류, 튀김류, 버터·마아가린, 술, 커피, 청량음료와 라면류의 섭취량은 발병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술 총 섭취량은 남자의 경우 정상인에 비해 훨씬 높았고 남·여 모두 연령군, 체중군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비만할수록 술 섭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술 종류별 섭취량은 맥주와 소주가 가장 많았다. 5. 혈액성분에서 alkaline phosphatase 와 SGOT는 남·여 모두 정상범위내에 있었고, SGPT 는 정상범위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체 남·여별로 구분하여볼 때, 혈청 cholesterol, HDL-cholesterol, total lipid, Hb, Hct 는 모두 정상범위내에 있었으나, TG 는 남자의 경우 정상범위보다 높았다. 연령군에 따라서는 남자의 경우 Hb 와 Hct 를 제외하고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체중군에 따라서는 여자의 경우 TG 만 과체중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을 뿐 그 외에는 차이가 없었다. 혈청 지방산 성분을 보면, 남·여 모두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모든 지방산 수치가 높았으며, 환자군에서는 총 ω3 지방산 비율이 ω6 지방산 비율에 비해 높았고, 정상군에서는 총 ω6 지방산 비율이 높았다. p / s 비는 남·여 모두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더 높아 정상군보다 불포화도가 높음을 나타냈다. 식이 지방산 섭취량과 혈청 지방산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Cl4:0 은 남자의 환자군과 여자의 정상군, 환자군 모두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C22:6 ω3는 여자의 정상군에서만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다른 지방산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때 동물성 지방과 술의 섭취량이 증가하고 간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고 비만할수록 지방간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동물성 지방과 술의 섭취를 줄이고 적절한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지방간의 치료 및 예방에 바람직하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