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5 Download: 0

미세결정화키틴과 팜유의 수준을 달리한 식이가 흰쥐의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

Title
미세결정화키틴과 팜유의 수준을 달리한 식이가 흰쥐의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CC(MicroCrystalline Chitin) and Plam Oil that Differ in the Level of the Lipid Metabolism in the Rat
Authors
李知娟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Keywords
미세결정화키틴팜유식이지방대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effects of MCC and p a h oil on lipid metabolism were assessed in adolescent rat with different levels. Dietary fat level were 20%, 40% (Kcal/'Kcal) and MCC level were 0%, 2%, 4% (wt/wt). The experimental period took 8 weeks. During the experiment, the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factors. The weight of thymus however, is lower in high fat groups compare to mddle fat groups. The contents of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in plsama and HD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ietary factors. The concentrations of cholesterol in LDL, and VLDL, and the triglyceride content of VLDL was higher in high fat groups than to middle fat groups. By adding MCC, it lowered the LDL triglyceride in the high fat groups. The anaylsis of plasma fatty acids generally reflected the dietary palm oil intake as evidenced by the increased level of palmitic acid(l6:0), oleic acid(l8:l) and linoleic acid(18:2). The level of total lipid in liver was also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MCC. However, the content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eterol in liv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epididymal fat pad which contained the contents of total lipi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factors. MCC had significant effects on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of feces, but not on total cholesterol. In conclusion, the level of MCC had little hypolipidemic effects on lipid metabolism in the rat which led to a high fat diet. The middle fat group which contained 4% of MCC showed increased contents of fecal triglyceride than the others, and this result indicated that MCC had an effect on lipid absorption. Therefore, the other physiological functions of MCC need to be tested for useful applications of MCC.;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대두유 다음으로 많이 소비되면서 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많은 식물성 유지인 팜유와 게껍질에서 추출한 키틴을 인산화한 미세 결정화키틴(MCC)의 수준을 달리한 식이가 흰쥐의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평균 체중이 149.86±4.49g인 Sprague-Dawley 종 수컷 흰쥐 60마리를 식 이내 팜유 수준(열량의 20%, 40%) 및 매세 결정화 키틴의 첨가수준 (식이 무게의 0%, 2%, 4%)에 따라 6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증가량과 식이효율은 식이에 따른 차이가 없었고 식이 섭취량은 고지방군이 중지방군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다. 흉선의 무게는 고지방군에서 MCC 첨가로 감소되었다. 간과 비장, 신장과 부고환 지방의 무게는 여섯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장내 총지방량은 식이 지방 수준에 의한 영향으로 고지방군이 중지방군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혈장 중성지방량은 식이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장 총콜레스테롤량은 0HP군의 혈장내 총 콜레스테롤량이 가장 높아서 가장 낮은 수준의 2MP군과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HDL 콜레스테롤은 고지방군에서 MCC 첨가로 감소되었다. LDL과 VLDL의 콜레스테롤은 고지방군이 중지방군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LDL의 중성지방량은 MCC 첨가로 고지방군에서 감소되었다. VLDL의 중성지방량은 고지방군이 중지방군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혈장의 지방산 조성은 식이 지방인 팜유의 지방산 조성을 반영하였다. 간의 총지방량은 MCC 수준에 의한 영향으로 중지방, 고지방 군 모두에서 MCC 4%군이 높았다. 간의 중성지방량과 총 콜레스테롤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부고환 지방조직의 총지방량과 총콜레스테롤량, 중성지방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변으로의 총지방 배설량은 고지방군에서 MCC 첨가군이 무첨가군보다 높았다. 변으로의 중성지방 배설량은 MCC에 의한 영향을 받아 중지방, 질지방군 모두에서 MCC 첨가군이 무첨가군보다 높을 경향을 보였다. 게껍질에서 추출한 키틴을 인산화한 미세결정화 키틴이 팜유를 먹인 흰쥐의 체내 지방대사에 있어서 고지방 섭취시 다소의 hypolipidemic effect를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MCC 4%를 첨가했을때 변으로의 총지방과 중성지방의 배설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지방의 흡수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